은폐된 서술자

소설이 영혼이 되는 소설
$19.44
SKU
979116020209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Mon 04/2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0 - Mon 04/1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17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91160202090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 『소년이 온다』
박경리의 대하소설 『토지』를 “이 땅의 자주적 비평”을 통해 읽다

『유역문예론』, 『문학과 예술의 다시 개벽』 등을 통해 “이 땅의 자주적 비평”을 이어온 임우기 평론가의 신간『은폐된 서술자』가 출간되었다. 오랫동안 우리 한국문학사에서 보기 드문 독창적 문예비평을 선보여온 저자는 ‘창조적 유기체론’을 특징으로 하는 ‘유역문예론’을 발표하며 기존의 한국 문예이론이 짚어내지 못한 서술 속 숨겨진 화자 ‘은폐된 서술자’ 개념을 이야기해왔다. 이러한 문예비평의 저변을 넓힌 유례없는 창조적 시도는 2023년 김준오시학상 수상이라는 성과를 거두며 그 가능성을 확립하기도 했다.

신간 『은폐된 서술자』는 한국문학사상 역사적 사건인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에 있어, 『작별하지 않는다』, 『소년이 온다』 등 한강 소설을 ‘시적 문체’나 역사에 기반한 소설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는 기존 비평을 탈피한, ‘창조적 유기체’로서 ‘화생하는’ ‘생령체’로서의 소설이라 이야기한다. 이렇듯 서구적 서술이론으로 해석할 수 없는 한강 소설의 “근원적 기운”을 감지한 저자는 한강 소설 속 유역문예론이 중시하는 ‘진실(誠實, 至誠, 修心正氣)’의 관점을 발견하며 그의 소설은 “‘이 땅의 산 혼(生魂, 地靈)’을 지극정성을 다하여 체득”한 탁월한 작품이라 말한다.

더불어 또 하나의 한국문학사상 기념비적 소설인 대하소설 『토지』의 완간 30주년을 맞아 당시 책임편집인 및 발간인으로서의 소회를 밝히며 “우리 겨레가 자부하고 자랑하는 대하소설”이 지닌 ‘이 땅의 혼’의 정수와 문학적 위대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렇듯, 한국문학에 있어 기념비적인 소설들을 저자는 “한국문학사의 절묘한 시점에” 고유한 “이 땅의 자주적 비평”을 선보인다.
Contents
서문

1부 은폐된 서술자

- 소설이 영혼이 되는 소설

2부 소설이 영혼이 되는 소설

- 어떻게, 死地에서 소설이 숨을 쉬는가?

3부 “동학으로 끝냈어요.”라는 한 말씀

- 소설 『토지』에 관한 짧은 추억

[跋文] 안삼환 한국문학사에 새로이 등장한 ‘이 땅의 자주적’ 비평
찾아보기
Author
임우기
문평(文坪, 1990년대 초 大山 김석진 선생이 지어주신 號), 본명은 임양묵(林楊?). 문학평론가. 대전에서 태어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독어독문학을 공부했으며, 1985년 「세속적 일상에의 반추」(김원우론)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살림의 문학』(문학과지성사, 1990), 『그늘에 대하여』(강, 1996), 『길 위의 글』(솔, 2010),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달아실, 2017) 등의 평론집을 펴냈다.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32·33호(2019년 가을·겨울 호)에 「유역문학론」 1, 2를 발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4·35·36호(2020년 봄·여름·가을 호)에 걸쳐 ‘유역문예론’의 관점으로 본 봉준호·이창동·홍상수 감독의 영화 세계에 대한 평론을 연재하였다. 이를 묶어 『한국영화 세 감독, 이창동·홍상수·봉준호』(솔, 2021)를 펴냈다.
문평(文坪, 1990년대 초 大山 김석진 선생이 지어주신 號), 본명은 임양묵(林楊?). 문학평론가. 대전에서 태어나 대학 및 대학원에서 독어독문학을 공부했으며, 1985년 「세속적 일상에의 반추」(김원우론)로 비평 활동을 시작했다. 『살림의 문학』(문학과지성사, 1990), 『그늘에 대하여』(강, 1996), 『길 위의 글』(솔, 2010), 『네오 샤먼으로서의 작가』(달아실, 2017) 등의 평론집을 펴냈다.

『영화가 있는 문학의오늘』 32·33호(2019년 가을·겨울 호)에 「유역문학론」 1, 2를 발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34·35·36호(2020년 봄·여름·가을 호)에 걸쳐 ‘유역문예론’의 관점으로 본 봉준호·이창동·홍상수 감독의 영화 세계에 대한 평론을 연재하였다. 이를 묶어 『한국영화 세 감독, 이창동·홍상수·봉준호』(솔, 2021)를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