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문명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문명 진보의 동인, 미래를 향한 도전과 응전을 들여다본다. ‘물질 문명’에서 ‘정보 문명’으로 전환하는 과정, 그에 따른 신기술 부상과 새로운 가치의 창출, 디지털 정보문명 시대의 모습과 다가올 미래, 정보 문명과 에너지의 상관성, 에너지 수확 기술의 진화, 에너지에 따른 문명 수준의 결정 등을 다룬다.
주제 하나하나가 다소 딱딱하다는 느낌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너무 걱정할 필요 없다. 일상생활이나 매스미디어를 통해 흔히 접하게 되는 상황, 인류가 밟아 온 궤적을 예시로 들어 누구나 쉽게 와 닿게 기술했다. 수식이나 물리적 이론 전개는 최대한 배제하고, 필요한 배경 지식은 간략하게 풀어서 기술했기에 읽기에 부담이 없을 것이다. 분량은 적지만 수필이나 소설을 읽을 때의 카타르시스, 전공 서적을 읽을 때의 지식 축적의 기쁨, 교양서적을 읽을 때의 통찰력 증진을 고루 느낄 수 있도록 구성했다.
Contents
1 인류 문명의 발자취
2 정보의 역사
3 정보와 전력
4 전력과 에너지
5 에너지와 문명
6 미래를 위한 준비
Author
노진서
고려대학교 재료공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과정 중에는 IBM 왓슨연구소 물리과학부에서 공동연구원으로 연구에 참여했다. 이후 삼성종합기술원과 삼성전자 System LSI 에서 차세대 메모리 및 로직 소자 연구를 수행했으며, 연세대학교 나노과학기술연구소를 거쳐 2013년부터 가천대학교 물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나노재료의 합성과 응용, 물리화학적 기전 연구를 수행하며, 약 120편의 SCI 논문을 발표했다.
고려대학교 재료공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 캠퍼스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과정 중에는 IBM 왓슨연구소 물리과학부에서 공동연구원으로 연구에 참여했다. 이후 삼성종합기술원과 삼성전자 System LSI 에서 차세대 메모리 및 로직 소자 연구를 수행했으며, 연세대학교 나노과학기술연구소를 거쳐 2013년부터 가천대학교 물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나노재료의 합성과 응용, 물리화학적 기전 연구를 수행하며, 약 120편의 SCI 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