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와 지혜와 행복의 철학』의 내용은 정답이 아니다. 다만 정답을 찾아보자는 화두를 던지고 그러한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는 많은 것들이 상대적이고 다원적이라고 믿지만 어쩌면 그 상대성을 포괄하는 커다란 보편성이 숨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떻게 부도덕한 정치인들에 대해 분노하고, 공교육에서 도덕을 논하며 사람들끼리 서로 존중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을까?
프랑스의 초현실주의 작가로 유명한 폴 엘뤼아르는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시인은 영감을 주는 자이지 받는 자가 아니다.”
이 책의 목적은 교화가 아니라 철학적인 아이디어를 던지는 것이다.
3장 봉사
성인군자의 삶
공리주의
클라우드 아틀라스 : 우리의 인생은 우리 각자의 것이 아니다
4장 종교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성서 논쟁
원죄론, 우리는 모두 죄인인가
기독교의 역사①
기독교의 역사② : 성상 파괴 논쟁
기독교의 역사③ : 암흑의 시대, 중세시대
기독교의 역사④ : 떨어지는 교황의 권위
기독교의 역사⑤ : 위클리프와 후스
만인제사장주의
가톨릭 vs 개신교 : 성모(?) 마리아
가톨릭 vs 유대교 : 돈이란?
불교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불교의 인생관
신이 되려는 자, 신을 추종하는 자
나가르주나
임제
지눌
종교는 필요한가
5장 공동체
인간의 정체성
개인주의와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개인의 선택 vs 선택한 적 없는 공동체
존 롤즈의 자유주의
마이클 샌델의 공동체주의
간통죄
운명론
조선시대 향약 : 4대 덕목
6장 진리
철학이란
인식 밖에 존재하는 것
진리 : 보편성 vs 상대성
소피스트, 궤변론자인가 현자인가
소피스트의 궤변
4대 성인
소크라테스의 진리를 찾아서
지식과 덕
소크라테스의 죽음
플라톤의 이데아론
성리학의 진리관
장자
왕충, 이치를 무시하다
양명학의 진리관
성즉리와 심즉리
진리에 따른 삶
7장 이성
고대 그리스의 이성
중세의 신학
근대 이성적 사고의 출현
성리학과 이성
계몽주의
데이비드 흄, 이성은 감정의 노예
이성의 한계, 포스트모더니즘
감정이 중요한가 이성이 중요한가
8장 자유
헤겔의 자유를 향한 투쟁
에리히 프롬 자유로부터의 도피
자유의 진정한 의미
부록 지식
지식
경험적 지식
논리적 지식
명제적 지식
올바른 지식 탐구
Author
장현아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광주광역시 교육청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군자는 글로 벗을 모으고, 벗으로 자신의 덕을 보충한다′는 생각과 더불어 조금이라도 사회에 기여하려는 생각으로 다양한 글을 쓰려고 한다. 전작으로는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는 이 시대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보편적 진리관을 토대로 쓴 『정의와 지혜와 행복의 철학』, 합리적 사고와 올바른 철학의 길을 제시하는 『철학의 제1법칙』이 있다. 현재 광주에서 학생부터 성인을 대상으로 한 독서모임 독서홀릭을 운영 중이다. 독서홀릭은 전남대학교로부터 2018년에 '광주 전남이 읽고 톡하다' 독서 운동에서 우수상을 받은 경력이 있다.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를 졸업하고 광주광역시 교육청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다. ′군자는 글로 벗을 모으고, 벗으로 자신의 덕을 보충한다′는 생각과 더불어 조금이라도 사회에 기여하려는 생각으로 다양한 글을 쓰려고 한다. 전작으로는 다양한 가치관이 공존하는 이 시대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보편적 진리관을 토대로 쓴 『정의와 지혜와 행복의 철학』, 합리적 사고와 올바른 철학의 길을 제시하는 『철학의 제1법칙』이 있다. 현재 광주에서 학생부터 성인을 대상으로 한 독서모임 독서홀릭을 운영 중이다. 독서홀릭은 전남대학교로부터 2018년에 '광주 전남이 읽고 톡하다' 독서 운동에서 우수상을 받은 경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