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3개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줄기세포의 정의와 유형, 세포 분화의 원리부터 연구의 역사, 배아줄기세포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발전 과정, 그리고 질환별 임상 응용 사례까지 줄기세포 과학의 전 영역을 아우른다. 성체줄기세포, 조혈모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신경줄기세포, 암줄기세포, 만능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의 특성과 기능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심장질환, 척수손상, 탈모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과학적 맥락 속에서 조명하였다. 특히 최근 줄기세포, 재생의학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의 원리와 개발과정, 그리고 그 임상적 활용은 이 책의 핵심 축 중 하나로, 입문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풀어냈다.
Contents
머리말 / iii
SECTION 01 줄기세포란? / 1
PART 01 줄기세포란? / 3
CHAPTER 01 줄기세포의 정의 / 4
CHAPTER 02 줄기세포 연구의 중요성 / 6
2.1 인간배아의 발달 과정 연구 / 6
2.2 장기이식 / 7
2.3 질병 모델 수립 및 치료제 스크리닝 / 8
CHAPTER 03 분화능에 따른 줄기세포의 구분 / 9
PART 02 줄기세포 연구의 역사 / 13
CHAPTER 04 줄기세포 연구의 역사 / 14
4.1 골수 유래 줄기세포 발견 / 14
4.2 신경 줄기세포 발견 / 14
4.3 골수 유래 조혈모세포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 확인 / 15
CHAPTER 05 1970년대, 줄기세포 응용 연구의 시작 / 16
5.1 인간 제대혈 유래 조혈모줄기세포 발견 / 16
5.2 최초의 인공수정 배아 출생 및 줄기세포 생물학의 발달 / 16
CHAPTER 06 1980년대, 만능줄기세포의 발견 / 18
6.1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의 발견 / 18
CHAPTER 07 1990년대, 암줄기세포의 발견과 최초의 복제 실험 / 21
7.1 암줄기세포의 발견 / 21
7.2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발견 / 21
7.3 복제양 돌리 / 23
CHAPTER 08 2000년대,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개발 / 25
8.1 마우스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발명 / 25
8.2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발명 / 26
CHAPTER 09 2010년대,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최초 임상연구 / 28
PART 03 줄기세포 종류 / 31
CHAPTER 10 성체줄기세포란? / 32
10.1 성체줄기세포의 정의 / 32
10.2 성체줄기세포의 명명법 / 34
10.3 성체줄기세포의 기본 속성 / 34
10.4 성체줄기세포의 자기재생과 다능성 / 35
10.5 성체줄기세포의 적소 / 38
CHAPTER 11 조혈모줄기세포 / 41
11.1 조혈모줄기세포의 원천 / 42
11.2 조혈모줄기세포의 형태 / 42
11.3 조혈모줄기세포의 적소 / 42
11.4 조혈모줄기세포의 다능성 분화 / 43
11.5 조혈모줄기세포의 발견 / 44
11.6 조혈모줄기세포의 연구 및 활용 / 44
CHAPTER 12 중간엽줄기세포 / 46
12.1 중간엽줄기세포의 원천 / 46
12.2 중간엽줄기세포의 형태 / 46
12.3 중간엽줄기세포의 특징 / 47
12.4 중간엽줄기세포의 자기재생능과 다능성 기전 / 48
12.5 중간엽줄기세포의 면역조절 및 면역특권 / 49
12.6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능 / 50
CHAPTER 13 신경줄기세포 / 52
13.1 신경줄기세포란? / 52
13.2 신경발생: 배아 / 54
13.3 성체에서의 신경발생:
성체신경줄기세포의 적소 / 55
13.4 뇌실하대에서의 신경발생: 측뇌실하대에 존재하는 성체신경줄기세포의 특징 / 56
13.5 해마에서의 신경발생: 해마의 치상회 과립세포하층의 성체 신경줄기세포의 특징 / 57
13.6 신경줄기세포의 분화 및 특이적 마커 발현 / 58
13.7 신경줄기세포의 임상적 적용 및 한계점 / 60
CHAPTER 14 암줄기세포 / 62
14.1 암줄기세포의 정의 / 62
14.2 암줄기세포의 특징 / 63
14.3 암줄기세포 모델 / 65
14.4 상피-중간엽 전이 / 67
14.5 암줄기세포의 다양한 종류 / 70
14.6 암줄기세포의 치료적 접근 / 75
14.7 암줄기세포에 대한 논쟁 / 79
CHAPTER 15 만능줄기세포란? / 82
15.1 자기재생능 / 83
15.2 만능분화능 / 84
15.3 만능줄기세포의 특성 및 감별법 / 84
CHAPTER 16 배아줄기세포 / 87
16.1 배아줄기세포의 정의 / 87
16.2 배아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의 차이 / 88
16.3 배아줄기세포의 유래: 만능줄기세포의 발견 / 89
16.4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의 비교 / 91
16.5 배아줄기세포의 배양방법 / 92
16.6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의 동향 / 96
16.7 마우스 배아줄기세포의 만능성 유지 신호전달 경로 / 98
16.8 배아줄기세포의 완전 만능 및 준만능성 / 102
16.9 배아줄기세포의 한계점 / 105
SECTION 02 유도만능줄기세포 / 109
CHAPTER 17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개발 / 110
17.1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정의 / 112
17.2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개발 / 113
17.3 마우스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개발 / 114
17.4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개발 / 115
CHAPTER 18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역사 / 118
CHAPTER 19 유도만능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의 유사성 / 123
CHAPTER 20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제작 / 126
20.1 역분화인자 / 126
20.2 역분화인자 도입방법 / 129
20.3 역분화인자 도입방법 비교 / 134
CHAPTER 21 유도만능줄기세포의 기원세포 / 137
CHAPTER 22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분화 / 141
CHAPTER 23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적용 / 148
CHAPTER 24 유도만능줄기세포의 한계 / 151
CHAPTER 25 유도만능줄기세포 특허 분석 / 156
25.1 iPSC 특허의 법적 상태 분류 / 156
25.2 소유 조직 유형에 따른 특허 분포 / 157
25.3 소유자 유형에 따른 특허군 비율 / 157
25.4 주요 iPSC 특허 발명자 / 157
25.5 주요 iPSC 발명자 순위 / 159
25.6 가장 많이 인용된 iPSC 특허 / 159
25.7 주요 iPSC 특허 출원 국가 / 159
25.8 연도별 특허 출원 동향 / 160
25.9 질병별 iPSC 특허 / 161
25.10 iPSC 제조 기술 관련 특허 / 161
25.11 iPSC로부터 분화된 세포 유형 관련 특허 / 161
25.12 질병 특화 기술의 특허 출원 동향 / 162
CHAPTER 26 유도만능줄기세포 생성을 위한 유전자 편집 기술 / 163
CHAPTER 27 유도만능줄기세포 은행구축 / 167
SECTION 03 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 / 173
CHAPTER 28 이식 줄기세포의 역할 이해 / 174
28.1 줄기세포의 치료 용어 및 개념 / 175
CHAPTER 29 심장질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 향후 방향 / 178
29.1 심장질환의 줄기세포 향후 방향 / 179
CHAPTER 30 척수 손상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전망 / 184
30.1 척수 손상에서의 줄기세포 치료 동향 / 184
30.2 신경 재생에 도움을 주는 요인 / 190
30.3 척수 손상에서의 줄기세포 이식방법 / 190
30.4 미래의 줄기세포를 이용한 척수 손상 치료 전망 / 193
30.5 새로운 접근법: 생체재료 / 199
30.6 근위축성 측상경화증, 루게릭병을 치료하기 위한 줄기세포 치료법 전망 / 201
CHAPTER 31 뇌 질환을 위한 새로운 줄기세포 치료의 가능성과 전망 / 203
31.1 알츠하이머병 / 203
31.2 파킨슨병 / 209
31.3 뇌졸중 / 212
31.4 줄기세포를 이용한 골관절염 치료 / 213
31.5 외상성 뇌손상 / 219
CHAPTER 32 줄기세포를 이용한 피부질환 및 안과 치료 / 223
32.1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응용프로그램 / 223
32.2 탈모 / 226
32.3 황반변성질환 / 229
CHAPTER 33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임상동향 / 232
33.1 iPSC를 이용한 임상 연구의 분류 / 232
33.2 iPSC 치료 연구의 질병 대상별 비교 분석 / 234
33.3 국가별 iPSC 치료 연구 비교 분석 / 240
찾아보기 /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