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거시경제적 과제와 대응방향

$7.56
SKU
979115932779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2/31
Pages/Weight/Size 152*232*20mm
ISBN 9791159327797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에서 나타난 거시경제적 현상을 분석하는 한편, 코로나19 이후의 여건 변화와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가늠해 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Contents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코로나19 팬데믹과 경기순환: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제1절 서 론
 제2절 코로나19 팬데믹의 특징
 제3절 코로나19 이후 정책대응
 제4절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 록

제3장 포스트 코로나 노동시장 구조변화

 제1절 서 론
 제2절 구조모형
 제3절 모수 설정
 제4절 코로나19 시기의 고용충격
 제5절 코로나19 이후 고용구조 변화
 제6절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제4장 기업의 다변화와 경기변동성

 제1절 서 론
 제2절 선행연구
 제3절 기초 자료
 제4절 이론모형
 제5절 실증분석
 제6절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제5장 경기안정을 위한 재정정책의 역할

 제1절 서 론
 제2절 선행연구 분석
 제3절 코로나19 위기 시 한국 정부의 재정대응 평가
 제4절 코로나19 이후 재정계획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제5절 요약 및 소결
 참고문헌
 부 록

제6장 저물가, 저금리 환경에서의 통화정책과 거시정책 조합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실질금리를 통해서 살펴본 한국의 통화정책
 제3절 코로나19 위기에서의 통화정책
 제4절 거시정책 조합
 제5절 통화정책 운용체계에 대한 논의
 제6절 맺음말
 참고문헌
 부 록

제7장 결 론

ABSTRACT
Author
정규철,조덕상,엄상민,오지윤,허진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