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택시산업에 기반을 둔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모빌리티 서비스는 ‘디지털 전환’에 힘입어 함께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나 해외에 도입된 모빌리티 서비스들은 그러한 전환과정을 반영한다. 변화도 많고 발전도 빠른 모빌리티 산업의 추세는 정부의 정책에도 영향을 주었다. 기존의 교통서비스 종사자와 새로운 모빌리티 업체들의 상생을 도모하면서도 혁신을 이끌어 내기 위한 논의가 이미 진행되었고, 2020년에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이 개정되어 모빌리티 서비스 도입에 대한 제도적 기틀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에는 한계가 존재하므로 시장의 상황을 고려하여 정책을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국내 시장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택시 중심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대상으로 시장 분석을 시도한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운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고, 여기에 소비자 선호 설문조사를 연결하여 모빌리티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심층적으로 파악한다. 이 과정을 통해 얻은 시장에 대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Contents
발간사
요 약
제1장 서 론
제2장 모빌리티 산업의 발전
제1절 여객운수법 개정의 과정
제2절 여객자동차 운송플랫폼사업의 도입
제3절 국내 모빌리티 서비스의 현황
제4절 해외 모빌리티 서비스의 현황
제3장 택시산업의 수요 추정
제1절 국내외 택시운행 데이터의 현황
제2절 택시의 대기시간과 공급 데이터
제3절 택시호출 자료를 통한 수요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