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필립스곡선을 통해 한국의 장기 기대인플레이션과 이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고착 정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대인플레이션의 동학이 2012년 이후 크게 달라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1% 내외로 하락하면서 물가안정목표인 2%를 하회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기대인플레이션이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에 강하게 고착되어 있어 저물가 현상이 장기화될 우려를 함의하였다. 분석 결과는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으로 높아지더라도 다시 물가안정목표를 하회하는 낮은 수준으로 수렴할 수 있음을 뜻한다.
통화당국은 기대인플레이션이 물가안정목표에 안착되도록 통화정책을 운용하면서 경제주체들의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뒷받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플레이션 동학 이면에 있을 수 있는 경제구조의 변화에 대해 엄밀히 분석하고 물가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운용체계상의 문제점 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사전적 정책방향 제시 등으로 물가안정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경제주체들이 통화당국의 물가안정목표 달성에 대해 강한 신뢰를 형성할 경우 장기 기대인플레이션이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고, 인플레이션도 안착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발간사
요 약
제1장 들어가며
제2장 선행연구
제3장 기대인플레이션 설문조사
제4장 기대인플레이션 추정
제1절 필립스곡선 모형
제2절 칼만필터 모형
제3절 분석자료
제4절 선형 회귀분석 결과
제5절 칼만필터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