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튜어트 밀 선집

$54.43
SKU
979115931571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Mon 05/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24 - Mon 04/2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28
Pages/Weight/Size 160*232*53mm
ISBN 9791159315718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국내 최초로 출간되는 존 스튜어트 밀의 핵심 저작선



‘19세기 대표 지성’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의 정치·사회 저작을 엮은 선집이다.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자유론』 등 개별 저술은 여러 차례 출간되었지만, 밀의 핵심 저작이 한 권으로 묶여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번역은 우리나라 최고의 밀 권위자인 서병훈 숭실대 정치학과 교수가 맡았다. 서병훈 교수는 지난 25년간 존 스튜어트 밀의 정치사상을 집중 연구하면서 그에 관해 네 권의 책을 썼고, 밀의 저작 네 권을 번역하기도 했다. ‘존 스튜어트 밀 선집’은 이미 출간된 『자유론』, 『공리주의』, 『종교론』, 『여성의 종속』 외에 『대의정부론』과 『사회주의론』을 함께 엮은 책이다. 서병훈 교수가 오랫동안 밀을 연구하며 정리한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와 각 권에 관한 간략한 해제를 덧붙였다.



150년도 넘은 고전이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닐까? 당시 급진적이라 평가받던 밀의 주장은 어쩌면 우리에게 낡게만 느껴질지 모른다. 하지만 밀이 그토록 염원했던 참된 자유, 개인의 행복, 착취하지 않는 시스템, 남녀평등은 여전히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오랫동안 수많은 사상과 제도가 존재했음에도, 도리어 그때와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더욱 절절하다. 오늘날 ‘존 스튜어트 밀 선집’이 여전히 무거운 의미로 독자들에게 읽혀야 할 이유다.



Contents
옮긴이 서문―왜 존 스튜어트 밀을 읽어야 하나

공리주의
1장 머리말
2장 공리주의란 무엇인가
3장 왜 효용 원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가
4장 효용 원리를 어떻게 증명할 것인가
5장 정의는 효용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해제 제1원리를 찾을 수 있을까

종교론
1장 자연을 믿지 마라
2장 신은 존재하는가?
3장 종교는 필요하다
4장 결론: 새로운 종교
해제 공리주의의 승화

자유론
1장 머리말
2장 생각과 토론의 자유
3장 개별성: 행복한 삶의 중요한 요소
4장 사회가 개인에게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의 한계
5장 현실 적용
해제 그게 자유냐

대의정부론
1장 정부 형태의 선택
2장 좋은 정부 형태의 기준
3장 대의정부가 가장 이상적인 정부 형태다
4장 대의정부의 작동을 가로막는 사회 조건
5장 대의기구의 주요 기능
6장 대의정부를 가로막는 위험 요소들
7장 인민 전체를 대표하는 참된 민주주의, 다수파만 대표하는 거짓 민주주의
8장 선거권 확대
9장 2단계 선거가 꼭 필요할까
10장 투표 방식에 대하여
11장 의원 임기는 어느 정도가 좋은가
12장 의원들이 반드시 서약을 해야 하는가
13장 상원이 있어야 하는가
14장 대의정부의 행정부에 대하여
15장 지역 대의기구에 대하여
16장 대의정부와 민족
17장 연방 대의정부
18장 자유국가의 지배를 받는 식민지 정부에 대하여
해제 이게 민주주의냐

사회주의론
1장 머리말
2장 현재 사회 질서에 대한 사회주의자의 비판
3장 사회주의자의 비판에 대한 검토
4장 사회주의의 어려움
5장 사유재산권은 절대적 권리가 아니다
해제 ‘자유사회주의’에 대한 소망

여성의 종속
1장 역사의 순리
2장 왜곡된 결혼 생활
3장 역할과 직업의 평등
4장 여성해방이 남성도 구원한다
해제 ‘벌거숭이 불의’에 대한 전면전

존 스튜어트 밀의 생애―‘다 이루었다’ 말할 수 있는 사람
찾아보기
Author
존 스튜어트 밀,서병훈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밀은 1806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며 경제학자였던 제임스 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아주 어릴 때부터 그에게 극도로 엄격한 영재교육을 시켰다. 그 결과 밀은 3살 때부터 그리스어를 배워서 8살에 헤로도토스와 플라톤의 저작들을 원어로 읽었고, 8살부터는 라틴어를 배워서 오비디우스 등이 쓴 라틴어 고전도 읽었다. 12살부터는 스콜라 철학의 논리학을 공부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작들을 원어로 읽었다. 13살 때는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의 저작을 통해 정치경제학을 공부했다. 14살 때는 프랑스에서 1년을 지내면서 몽펠리에 대학에서 화학, 논리학, 고등수학에 관한 강의를 들었다. 17세 때인 1823년에는 영국 동인도 회사에 입사하여 아버지의 조수로 일했으며, 그 후 1858년까지 재직하며 연구와 저술 활동을 병행했다.

20살 무렵 밀은 심각한 정신적 위기에 부딪힌다. 신경쇠약으로 우울증에 빠져 자살을 생각할 정도였다. 하지만 그는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작품을 읽고 다시 재기했다. 이때부터 밀의 사상은 변하기 시작했다. 그는 엄격한 공리주의적 이성 제일주의의 문제점을 깨달았고, 사색과 분석뿐만 아니라 수동적인 감수성이 능동적 능력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을 비판하고, 자본주의의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제한적인 정부 개입을 옹호하는 경제학 사상을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회주의 사상과,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밀은 행동하는 사상가였다. 그는 사상에만 갇혀 있지 않았다. 1865년부터 1868년까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의 학장으로 재임했고, 같은 기간 동안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하원의원으로 활동했다. 1866년, 그는 하원의원으로서 헌정사상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주장했고, 보통 선거권의 도입 같은 선거제도의 개혁을 촉구했다. 또한 노동조합과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한 사회개혁과 아일랜드의 부담 경감 등도 주장했다.

주요 저서로 『논리학 체계』(1843), 『정치경제학 원리』(1848), 『자유론』(1859), 『대의정부론』(1861), 『공리주의』(1863), 『자서전』(1873) 등이 있다.
영국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인 밀은 1806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며 경제학자였던 제임스 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아주 어릴 때부터 그에게 극도로 엄격한 영재교육을 시켰다. 그 결과 밀은 3살 때부터 그리스어를 배워서 8살에 헤로도토스와 플라톤의 저작들을 원어로 읽었고, 8살부터는 라틴어를 배워서 오비디우스 등이 쓴 라틴어 고전도 읽었다. 12살부터는 스콜라 철학의 논리학을 공부했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작들을 원어로 읽었다. 13살 때는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의 저작을 통해 정치경제학을 공부했다. 14살 때는 프랑스에서 1년을 지내면서 몽펠리에 대학에서 화학, 논리학, 고등수학에 관한 강의를 들었다. 17세 때인 1823년에는 영국 동인도 회사에 입사하여 아버지의 조수로 일했으며, 그 후 1858년까지 재직하며 연구와 저술 활동을 병행했다.

20살 무렵 밀은 심각한 정신적 위기에 부딪힌다. 신경쇠약으로 우울증에 빠져 자살을 생각할 정도였다. 하지만 그는 시인 윌리엄 워즈워스의 작품을 읽고 다시 재기했다. 이때부터 밀의 사상은 변하기 시작했다. 그는 엄격한 공리주의적 이성 제일주의의 문제점을 깨달았고, 사색과 분석뿐만 아니라 수동적인 감수성이 능동적 능력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을 비판하고, 자본주의의 모순을 바로잡기 위해 제한적인 정부 개입을 옹호하는 경제학 사상을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회주의 사상과, 자유주의 정치철학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

밀은 행동하는 사상가였다. 그는 사상에만 갇혀 있지 않았다. 1865년부터 1868년까지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의 학장으로 재임했고, 같은 기간 동안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하원의원으로 활동했다. 1866년, 그는 하원의원으로서 헌정사상 최초로 여성 참정권을 주장했고, 보통 선거권의 도입 같은 선거제도의 개혁을 촉구했다. 또한 노동조합과 협동농장을 중심으로 한 사회개혁과 아일랜드의 부담 경감 등도 주장했다.

주요 저서로 『논리학 체계』(1843), 『정치경제학 원리』(1848), 『자유론』(1859), 『대의정부론』(1861), 『공리주의』(1863), 『자서전』(1873)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