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굴기를 꿈꾸는 현대의 제국,
21세기 중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그들과 대화할 것인가?
유학의 부흥, 문화 보수주의와 민족주의, 소수민족…
현대 중국 사회의 가장 뜨거운 이슈에 대한 사상적 탐구
중국 사상사 연구자가 현재 중국에서 논의되는 첨예한 이슈들에 대한 사상적 접근을 시도한 책이다. 유학의 부흥, 중국 정부의 문명중국 기획, 국가와 지식인의 관계, 보수주의와 민족주의, 소수민족 문제 등 현대 중국의 가장 민감한 주제들을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다룬다. 오늘날 중국을 보는 한국의 시각은 숭중崇中 또는 혐중嫌中의 어느 한쪽에 치우쳐 있다. 저자는 두 시각 모두에 동의하지 않으며, 중국 자체의 메커니즘에 대한 정확한 인식 위에서 중국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한국 및 동아시아의 문제로 파악하는 중층적 시점을 확보하고자 시도한다. 이러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문학과 철학 및 사상 분야뿐만 아니라 역사와 사회과학 등 분야를 막론하고 현재 중국의 사상 지형을 좌우하는 지식인들의 주장과 견해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저자가 주로 참고한 《21세기二十一世紀》 《개방시대開放時代》 《문화종횡文化縱橫》 같은 중국의 잡지들은 현재 중국의 사상과 문화를 주도하는 매체들이다.
이 책은 오늘날 중국이 직면한 현안들과 관련해 현재의 논의 지형을 소개하고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같은 주제가 근대 시기에는 어떻게 논의되고 평가되었는지를 더불어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이슈를 연속적이고 구조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끔 구성했다. 21세기 대국을 꿈꾸는 현재의 중국이 사상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고 있는지 면밀히 검토하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오늘의 중국을 어떻게 바라보고 동아시아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서문 : 21세기, 중국의 자기인식은 가능한가
-‘제국성’과 ‘근대 극복론’의 유혹
1부 국가, 유학, 지식인
1장 현대 중국의 유학 부흥과 ‘문명제국’의 재구축
1. ‘권력-지식 복합체로서의 유학’인가, ‘비판담론으 로서의 유학’인가
2. ‘유학 비판’을 통한 ‘국민국가’ 건설
3. ‘유학긍정’을 통한 21세기 ‘문명제국’의 기획
4. 중국모델론과 유학담론
5. ‘비판담론으로서의 유학’의 재건을 위해
2장 중국의 유학담론과 복수의 공공성
1. 왜 ‘복수의 공공성’인가
2. 유학 불러오기에서의 정체성, 역사성, 윤리성
3. 권력과 소비사회
4. 타자성과 윤리성
5. 약자의 기입공간으로서의 ‘복수의 공공성’
2부 문화적 보수주의, 정치적 보수주의, 그리고 유학
3장 1990년대 중국 신보수주의의 탄생과 유학의 재 조명
1. 중국의 보수와 진보,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중국 신보수주의의 출현 배경과 성격
3. 중국 신보수주의의 연원과 특징
4. 신보수주의의 문화 구상과 유학의 재해석
5. 신보수주의가 구상하는 중국의 미래와 동아시아
4장 5.4 시기 신지식인 집단의 출현과 보수주의
1. 5.4 신문화운동과 보수주의의 논의 조건
2. 신문화운동과 5.4운동, 그리고 제1차 세계대전
3. 신지식인 집단의 출현과 신문화운동의 유가윤리 비판
4. 신문화운동에 대한 보수주의의 초기 대응
5. 5.4의 보수주의-근대 성찰의 가능성과 한계
3부 현대 중국의 민족주의와 그 아포리아
5장 현대 중국의 민족주의와 동아시아 인식
1.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아포리아
2. 1990년대 이후 중국 민족주의 담론의 발생 배경
3. 중국 민족주의 담론의 내용과 쟁점
4. 민족주의 담론 속의 동아시아 인식과 비판
5. 중국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6장 중국 근대 민족주의의 구조와 성격
1. 근대 중국 민족주의의 아포리아
2. 중국 민족주의의 구국적 성격-사회주의와 결합
한 정치민족주의
3. 중국 민족주의의 구망적 성격-보수주의와 결합 한 문화민족주의
4. 중국의 독자적 근대와 민족주의의 향방
4부중국의 소수민족 문제와 중화민족론
7장 중국의 주변 문제, 티베트를 보는 다른 눈
―한족 출신 양심적 지식인 왕리슝과의 대담
1. ‘황화黃禍’를 예언하는 불복종의 작가정신
2. 일상화.대중화한 민족 갈등
3. 달라이 라마라는 ‘피안’
4. 마음속의 경찰, 종교
5. 부메랑으로 돌아올 세속화정책
6. 중화민족, 제국의 영광과 꿈
7. 티베트를 보는 균형 잡힌 관점과 아시아적 전망
8장 현대 중국의 소수민족과 ‘국민화’ 이데올로기
1. 중화민족 개념-‘국민화’ 이데올로기
2. 민족담론과 소수민족의 시선
3. 중화민족의 외연 확장과 그 의미
4. 당대의 중화민족 해석-중화민족다원일체론
5. 다민족사회와 공존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