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다양한 경험을 자처했다.
기업, 신문사, 시민단체, 청소년 기관, 마을공동체지원센터에서의 경험이 지금의 자양분이 되었다.
본격적으로 교육행정학을 공부하면서 마을교육공동체를 알게 되었고,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를 교육공동체 관점에서 공부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충북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던 중 제주도에 터를 잡기 시작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공동체연구센터에서 연구 활동을 하며 제주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지역사회에서 교육공동체센터를 운영하는 꿈을 꾸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축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주민자치 실천에 관한 연구』(공저), 『복잡계 이론과 교육행정학』(공저),
『지속가능한 교육청-지자체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연구』(공저), 『교육지원청 기능 개편 사례 분석』(공저), 『자유학기(학 년)제 발전 방향 탐색』(공저),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 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과정 및 활용 방안 연구』
(공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업무 변화의 쟁점 탐색』(공저) 등이 있으며, 산문집 『말로는 표현이 부족한 것들의 이야기』가 있다.
청소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다양한 경험을 자처했다.
기업, 신문사, 시민단체, 청소년 기관, 마을공동체지원센터에서의 경험이 지금의 자양분이 되었다.
본격적으로 교육행정학을 공부하면서 마을교육공동체를 알게 되었고,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를 교육공동체 관점에서 공부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충북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던 중 제주도에 터를 잡기 시작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공동체연구센터에서 연구 활동을 하며 제주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지역사회에서 교육공동체센터를 운영하는 꿈을 꾸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축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주민자치 실천에 관한 연구』(공저), 『복잡계 이론과 교육행정학』(공저),
『지속가능한 교육청-지자체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연구』(공저), 『교육지원청 기능 개편 사례 분석』(공저), 『자유학기(학 년)제 발전 방향 탐색』(공저),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 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과정 및 활용 방안 연구』
(공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업무 변화의 쟁점 탐색』(공저) 등이 있으며, 산문집 『말로는 표현이 부족한 것들의 이야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