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교육공동체를 발견하기 위해 알아야 할 20가지 원리
$18.36
SKU
97911593022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1/24 - Thu 01/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1/21 - Thu 01/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16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59302220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Contents
추천의 글 | ‘주체와 사람’이 있는 교육공동체 이야기_김용련(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머리글 | 왜 교육공동체를 이야기하는가?

1부 교육공동체와 교육정책은 무엇인가?

1장 교육공동체의 이해
1. 교육공동체가 등장하다
2. 교육공동체는 ○○이다
3. 교육공동체를 연구하는 사람들
4. 학교조직에서 교육공동체의 의미

2장 교육정책의 이해: 자유학기(년)제를 중심으로
1. 자유학기(년)제 정책이 등장하다
2. 자유학기(년)제는 ○○이다
3. 자유학기(년)제 정책이 가져온 변화
4. 자유학기(년)제 정책을 연구하는 사람들

2부 교육공동체와 교육정책은 어떻게 만날까?

3장 교육공동체와 교육정책이 만나다
1.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진 교육공동체와 교육정책의 만남
가. 이야기에 등장하는 학교?지역사회?가정
나.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
2. 교육공동체 실천 사례: 학교 담에 만들어진 교육공동체의 문
가. 교육공동체를 가로막는 경계의 ‘담’
나. 담에 생긴 ‘틈’ 121 다. 틈이 모여 만들어진 변화의 ‘문’

4장 교육공동체는 무엇을 통해 형성되었을까
1. 영향요인 1: 교육에 대한 관심, 의지, 헌신, 협동, 참여
2. 영향요인 2: 관계의 상호성, 신뢰성, 의존성, 의사소통
3. 영향요인 3: 연계의 유대 및 결속

5장 교육공동체 형성의 의미는 무엇일까
1. 라온중?지역사회?가정 간 연계에서 교육공동체 형성의 의미
2. 학교조직에서 교육공동체 형성의 의미

3부 교육공동체는 어떻게 발견할 수 있을까?

6장 교육공동체를 발견하기 위해 알아야 할 20가지 원리
1. 교육공동체의 실제
2. 교육공동체를 발견하기 위해 알아야 할 20가지 원리
하나. 학교에는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둘. 학교에는 열정을 지닌 교원(교사, 교장)이 있다
셋. 학부모는 학교?지역사회?가정을 연결하는 중요한 주체이다
넷. ‘나’의 아이 교육에서 ‘마을’의 아이 교육으로 생각이 전환되는 지점이 있다
다섯. 지역사회에는 교육과 관련된 문제의식이 있다
여섯. 지역사회에는 교육에 관심 있는 사람(활동가)이 있다
일곱. 지역사회에는 전문성 있는 교육자원이 있다
여덟. 지역사회에는 정보가 집합되고 공유되는 장소, 매체, 사람 등이 있다
아홉. 준비된 지역사회에서는 이미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열. 교육이라는 공통의 관심사를 지닌 개인 또는 집단이 있다
열하나. 교육공동체 주체는 크고 작은 니즈(needs)가 있다
열둘. 작은 단위에서의 활동이 중요하다
열셋. 민간 중심의 조직 및 단체의 활동이 중요하다
열넷. 민과 관의 중간 역할(조정)이 필요하다: 중간지원조직
열다섯. 누구나 넘나드는 만만한 공간이 필요하다
열여섯. 개인의 희생은 선택이고, 보상은 필수이다
열일곱. 교육을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내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
열여덟. 교육은 더 이상 학교의 책임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열아홉. 언어로 정리된 비전과 철학이 필요하다
스물. 누구나 교육과 아이들에 대한 보편적이고 특별한 마인드가 있다

참고 문헌 292
Author
홍지오
청소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다양한 경험을 자처했다.
기업, 신문사, 시민단체, 청소년 기관, 마을공동체지원센터에서의 경험이 지금의 자양분이 되었다.
본격적으로 교육행정학을 공부하면서 마을교육공동체를 알게 되었고,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를 교육공동체 관점에서 공부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충북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던 중 제주도에 터를 잡기 시작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공동체연구센터에서 연구 활동을 하며 제주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지역사회에서 교육공동체센터를 운영하는 꿈을 꾸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축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주민자치 실천에 관한 연구』(공저), 『복잡계 이론과 교육행정학』(공저),
『지속가능한 교육청-지자체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연구』(공저), 『교육지원청 기능 개편 사례 분석』(공저), 『자유학기(학 년)제 발전 방향 탐색』(공저),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 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과정 및 활용 방안 연구』
(공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업무 변화의 쟁점 탐색』(공저) 등이 있으며, 산문집 『말로는 표현이 부족한 것들의 이야기』가 있다.
청소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다양한 경험을 자처했다.
기업, 신문사, 시민단체, 청소년 기관, 마을공동체지원센터에서의 경험이 지금의 자양분이 되었다.
본격적으로 교육행정학을 공부하면서 마을교육공동체를 알게 되었고,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를 교육공동체 관점에서 공부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충북대학교 초빙교수로 재직하던 중 제주도에 터를 잡기 시작했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공동체연구센터에서 연구 활동을 하며 제주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지역사회에서 교육공동체센터를 운영하는 꿈을 꾸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축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주민자치 실천에 관한 연구』(공저), 『복잡계 이론과 교육행정학』(공저),
『지속가능한 교육청-지자체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연구』(공저), 『교육지원청 기능 개편 사례 분석』(공저), 『자유학기(학 년)제 발전 방향 탐색』(공저),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교 육공동체 형성과정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지역사회?가정의 연계와 의미』,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과정 및 활용 방안 연구』
(공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업무 변화의 쟁점 탐색』(공저) 등이 있으며, 산문집 『말로는 표현이 부족한 것들의 이야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