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가 꿈이었던 필자는 대학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하고 학교에서 학생들과 신나게 역사 수업을 했다. 한국사 그리고 지역사를 어떻게 잘 수업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조선후기 사원경제사를 공부했으니, 꿈은 이루었다. 혁신학교에서 근무하면서 시민교육 관점에서 역사 수업은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교사로서의 삶을 성찰하게 되었다. 역사 수업을 고민하던 교사는, 역사교육 정책을 추진하면서 ‘교육과정 안팎을 넘나드는 공공 역사 관점의 역사 수업’에 대해 학교 현장의 역사 선생님들과 함께 그 답을 찾아가고 있다. 수업의 답은 현장에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 간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학교사로 읽는 일본 근현대사』(공역), 『교사 학습공동체』(공저), 『학교 자치1』(공저), 「조선 후기 안성지역 사찰의 불사와 후원자 연구」, 「조선후기 여흥 민문의 불교 후원」, 「민주주의 요소로 본 역사교육 내용 선정 원리」, 「초중등학생 역사의식 조사 사례 분석: 일제 잔재 청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구술사 탐구 프로젝트 활동 사례 분석」, 「학습자 주도 역사 탐구 활동의 역사교육적 함의」,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관련 쟁점과 과제(공동연구)」 등 한국사, 역사교육, 교육정책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역사학자가 꿈이었던 필자는 대학에서 역사교육을 전공하고 학교에서 학생들과 신나게 역사 수업을 했다. 한국사 그리고 지역사를 어떻게 잘 수업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조선후기 사원경제사를 공부했으니, 꿈은 이루었다. 혁신학교에서 근무하면서 시민교육 관점에서 역사 수업은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교사로서의 삶을 성찰하게 되었다. 역사 수업을 고민하던 교사는, 역사교육 정책을 추진하면서 ‘교육과정 안팎을 넘나드는 공공 역사 관점의 역사 수업’에 대해 학교 현장의 역사 선생님들과 함께 그 답을 찾아가고 있다. 수업의 답은 현장에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 간 네트워크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학교사로 읽는 일본 근현대사』(공역), 『교사 학습공동체』(공저), 『학교 자치1』(공저), 「조선 후기 안성지역 사찰의 불사와 후원자 연구」, 「조선후기 여흥 민문의 불교 후원」, 「민주주의 요소로 본 역사교육 내용 선정 원리」, 「초중등학생 역사의식 조사 사례 분석: 일제 잔재 청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구술사 탐구 프로젝트 활동 사례 분석」, 「학습자 주도 역사 탐구 활동의 역사교육적 함의」, 「국가교육위원회 설립 관련 쟁점과 과제(공동연구)」 등 한국사, 역사교육, 교육정책에 관한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