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지식 소환을 위한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 담론
$24.84
SKU
979115930151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1/27 - Fri 01/3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1/22 - Fri 01/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7/27
Pages/Weight/Size 152*224*30mm
ISBN 9791159301513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왜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 교육이론이 필요한가?
힘 있고 정의로운 지식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이정표


이 책의 목적은 교육과정에서 지식이 왜 중요한가, 어떤 지식이 필요한가 하는 점을 비판적 ·실천적 사실주의의 관점에서 고찰하는데 있다. 그동안 입시 위주의 단편적 지식교육의 폐해가 매우 컸던 만큼 이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른바 구성주의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득세를 하게 됨에 따라 실생활에 당장 유용하지 않는 지식은 교육과정에서 배제되어 왔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가르치는 지식이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할 따름이라는 비판적 관점도 제기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비판적 관점도 경청해야 한다. 그렇다고 하여 지식 무용론, 반-지성주의로 빠지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 단편적 암기만을 중시하는 지식교육, 삶과 무관한 지식교육은 경계해야 하지만 삶의 주인으로 성장하는 데에 필요한 지식, 사회를 변혁시켜 나가는 ‘힘이 있는 지식’은 마땅히 교육과정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아야 된다.
_ 「머리말」에서
Contents
머리말

1 지식사회의 위기와 지식이론의 요청 지식이란 무엇인가

지식사회의 위기
‘실재’로서의 지식 요청
자연현상에 관한 지식과 사회현상에 관한 지식의 차이
지식의 인식론적 차원과 존재론적 차원
인식론적·존재론적 오류의 극복

2 구(舊)교육사회학과 신(新)교육사회학 사이의 논쟁 재생산을 넘어

구교육사회학과 신교육사회학 사이의 논쟁
자유인문주의 교육 과 직업주의 교육 사이의 논쟁
진보주의 교육을 둘러싼 논쟁
구성주의자와 실 증주의자, 그리고 사실주의자 사이의 논쟁

3 뒤르켐의 지식사회학 뒤르켐 이론의 재부상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교육과 도덕
과학·사회·지식과 교 육의 문제
근대성의 복잡성과 사회질서의 개체성 요청
기계적 연대와 유기적 연대
거룩한 실재와 세속적 실재
뒤르켐의 세속적 합리주의
뒤르켐의 지식사 회학
뒤르켐 이론에 대한 평가

4 바실 번스타인의 교육과정사회학 번스타인 이론의 독특성

뒤르켐 이론의 새로운 해석
번스타인의 사회학과 비 판적 사실주의
지식의 순일성, 권역, 포괄적 유형 그리고 3학4과의 뒤집기
재 생산을 넘어선 지식의 재맥락화
경계선의 설정과 권력의 목소리
지식의 분류 화와 얼개화
수직적·수평적 담론과 위계적·수평적 지식구조
지식의 강한 문 법과 약한 문가시적?비가시적 교수
전통적 교수학과 진보적 교수학의 접점
번스타인 이론에 대한 평가

5 마이클 FD 영의 지식이론과 교육과정 비판 마이클 FD 영의 학문적 전환

비고츠키의 지식이론 수용
보수적·도구적·포스 트모던 교육과정 논의에 대한 비판
진리의 요청과 진실성의 목소리
지식의 사 회적 사실주의 접근
‘사실’로서의 교육과정과 ‘실천’으로서의 교육과정
사회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사실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
지식 및 교육과정의 절연과 혼 종
지식의 분류 및 교수의 통제 그리고 코드
미래를 위한 대안적 교육과정
‘힘 있는 사람의 지식’에서 ‘정의로운 힘을 가진 지식’으로
‘힘을 가진 지식’이 이끄는 학교
마이클 FD 영 이론에 대한 평가

6 지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사회적 사실주의 접근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의 인식론적 오류

사회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사실 주의의 관계/ 이론적 지식과 일상적 지식의 구별
지식 및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적·사회적 사실주의 접근
‘비판적’ 사실주의와 ‘사회적’ 사실주의의 융합

7 교육과정 이론의 위기와 교육과정정책의 방향 교육과정 이론의 위기

교육철학과 교육과정
갈등하는 교육과정 그리고 모순의 발생
교육과정을 개념화·이론화하기
우리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우리 는 어떤 유형의 교육과정을 필요로 하는가?
지식의 생산·획득 및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 정책의 전망과 과제
Author
심성보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 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을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상임대표, 흥사단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 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 우리는 지금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을 절실히 요구한다.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 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을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상임대표, 흥사단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 한국 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 우리는 지금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을 절실히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