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변하고 있는 세상처럼 국제개발협력의 오늘은 날마다 새로워지고 있다. 오늘날 국제개발협력의 패러다임은 지속가능 개발이다. 과거의 공여국-수원국 양자 관계를 넘어 지금은 사람과 국가, 지구상의 모두에게 이로운 상생의 길을 모색하려 한다. 따라서 우리 모두가 내일을 위해 함께 희망을 심고 싹을 틔어야 할 때다.
KOICA ODA교육원에서 엮은『국제개발협력 입문편』은 국제개발협력의 정의부터 방향, 역사, 최근 동향과 이슈,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그리고 한국의 위상과 비전까지 촘촘히 다루고 있는 개괄서이자 안내서다. 무엇보다 KOICA, 개발NGO, UN, 세계은행 등, 국제개발협력으로 진로를 정하고 자신의 꿈을 펼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 어떻게 꿈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지를 안내한다. 이 책은 처음 국제개발협력을 접하는 모든 이들이 빼놓지 말아야 할 필독서라 할 수 있다.
『국제개발협력 심화편』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빼놓을 수 없는 9개 주요 이슈들을 개별화하여 심도 있게 다루었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가의 기반을 닦을 수 있는 교육, 건강한 국민을 만들어줄 보건의료 시스템 및 환경 제공, 그리고 도시뿐 아니라 농촌지역의 고른 성장, 바람직한 국가 행정시스템, 남성과 여성의 평등과 국민의 인권을 기반에 둔 국가시스템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한 고려와 이러한 이슈 간 접목에 대해 논의했다.
Contents
제1장 교육
1. 교육의 중요성
2. 세계 교육현황
3. 교육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교육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과 전략
5.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6.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교육 분야 성과와 과제
제2장 보건
1. 보건의 중요성
2. 국제보건 현황
3. 보건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보건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
5.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6.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보건 분야 성과와 과제
제3장 농림수산
1. 농림수산업의 중요성
2. 세계 농업 현황
3. 농림수산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농림수산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과 전략
5. KOICA 지원 현황과 전략
6.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농림수산 분야 성과와 과제
제4장 거버넌스
1. 거버넌스의 이해
2. 거버넌스의 발전
3. 거버넌스 측정지표
4. 거버넌스 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 현황과 전략
5. KOICA의 지원 현황과 전략
6. 거버넌스 원칙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7. 거버넌스 분야 성과와 과제
제5장 환경
1. 들어가며
2. 환경과 국제개발협력의 중요성
3. 환경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4. 환경 분야 국제개발협력의 주요 대응전략
5.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6. 환경 분야 성과와 과제
제6장 젠더
1. 들어가며
2. 개발과 젠더 논의의 등장배경과 전개과정
3. 21세기 국제개발협력과 성 주류화의 진전
4. 21세기 성 주류화 규범과 원칙
5. 국제개발협력 프로그램과 사업의 성 주류화 추진 도구들
6. 성 인지적 관점을 적용한 국제개발협력 사례 연구
제7장 인권
1. 인권의 이해
2. 인권과 국제개발협력
3. 인권기반 접근 국제개발협력
4. 인권기반 접근 프로그래밍
5. 나오며
제8장 빈곤
1. 들어가며
2. 빈곤의 이해
3. 국제 빈곤 분석
4. 국제 빈곤 현황 및 동향
5. 빈곤과 국제개발협력
6. 빈곤 감소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7. 빈곤층 친화적 성장을 위한 국제개발협력 사업
8. 나오며
부록 과학·기술·혁신
1. 개발도상국 발전에서 과학기술의 역할
2. 과학·기술·혁신과 국제개발협력
3. 한국의 발전 경험
4. ODA 사업에서의 과학·기술·혁신
5. SDGs 목표 관련 적정기술 및 KOICA 사업 사례
6. 국제개발협력에서 과학·기술·혁신의 강조: 기회와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