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이라는 사회적 약자의 역사는 질곡의 한국사에서
어떻게 전승되고 기록되었으며 마침내 자리매김 되었는가?
소수자의 역사는 차별과 배제의 역사인 동시에 사람다움을 지켜주는 인권의 역사이자
각기 다른 삶을 포용하는 다양성의 역사다!!
『보이지 않은 역사』는 “소수자의 권리는 어떻게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기획되고 시작된 연구의 결과물이다. 저자는 특히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작은 이’(약자)로서 시각장애인을 주목하고, 그들이 어떻게 질곡의 한국사에서 역사의 한 몫을 감당해왔는지 살핀다. 그리고 “이런 특정 장애의 역사가 전체 역사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 하고 묻는다. 기존의 역사 서술은 주류적 권력집단 혹은 민족 중심으로 서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사회적 약자 집단이나 소수자의 작은 역사는 잘 보이지도, 보려고 하지도 않았다. 그렇다면 존재를 부정할 수 없는 작은 주체들의 역사는 ‘어떻게’ ‘어떤 자료’에 기반을 두어 기록되었고 가시화되었을까? 이 같은 질문의 답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저자는 소수자의 역사는 한편으로 차별과 배제의 역사이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 사회의 구성원이자 동등한 권리를 가진 시민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권리투쟁의 역사이기도 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Contents
저자의 말
서문
‘낯설게 하기’의 역사 / 배제의 역사 / 타자의 역사 / 한국의 장애 역사 / 장애/장애인의 개념 / 시각장애인의 역사 기록과 구술 자료 / 책의 구성
1장 계몽과 자선, 시각장애인의 타자화
암흑 속의 시각장애인 / 문명의 타자 / 무능력과 준금치산자 / 자선과 자혜
2장 ‘맹인’ 점복업 조합의 호혜적 경제활동
맹인 점복업 조합의 오래된 미래 / 맹인 조합과 맹인 직업의 변화 / 해방 이후 맹인 점복업자들의 단체 활동과 사단법인 설립 / 문생 중심의 조합 운영과 경제활동 / 작은 이들의 연대와 호혜
3장 맹인과 함께 만든 한글 점자, 훈맹정음
식민지기의 맹인 교육과 전통적 교육 / 박두성의 교육활동과 훈맹정음(訓盲正音) / 시각장애인과 함께 만든 점자 / 구술문화에서 문자문화로
4장 ‘사람취급’ 받을 권리
소수자의 권리의 역사 / 식민과 탈식민화 과정에서 안마업의 변동 / 시각장애인의 권리 주장 / 작은 이들의 저항
5장 시각장애인의 구술전통과 이야기의 힘
이야기 전통과 구술문화 / 시각장애인의 구술문화의 형식적 특성 / 되풀이되는 서사와 집합 기억
6장 동아시아 시각장애인 생존권의 상이한 경로
동아시아의 시각장애인들 / 동아시아 시각장애인의 안마업의 역사 / 식민/탈식민 과정에서 시각장애인의 직업 변화 / 동아시아 시각장애인의 다른 경로와 저항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주윤정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장애, 생명사회학, 인간-동물 관계, 사회운동 등을 연구 하는 사회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선임 연구원으 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연구, 「탈시설 운동과 사람중심 노동: 이탈리아의 바자리 아법과 장애인 협동조합운동」(2019), 「법 앞에서: 형제복 지원 피해생존자들의 해방과 기다림의 정치」(2018) 연구 등이 있다. 생명의 취약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 고 있으며,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의 역사 뿐 아니라 사회적 포용의 가능성에 대한 실천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장애, 생명사회학, 인간-동물 관계, 사회운동 등을 연구 하는 사회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선임 연구원으 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시각장애인에 대한 연구, 「탈시설 운동과 사람중심 노동: 이탈리아의 바자리 아법과 장애인 협동조합운동」(2019), 「법 앞에서: 형제복 지원 피해생존자들의 해방과 기다림의 정치」(2018) 연구 등이 있다. 생명의 취약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 고 있으며,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배제의 역사 뿐 아니라 사회적 포용의 가능성에 대한 실천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