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하는 대학에 날개가 있을까

$12.96
SKU
979115925461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0/23
Pages/Weight/Size 125*200*10mm
ISBN 9791159254611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누구’를 위한 대학이 아닌
‘모두’를 위한 대학을 만들어야 할 때

해마다 정치인들의 자녀가 사학비리에 연루됐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진영을 마다하지 않고 연루된 사학비리와 같은 소식에 시민들은 매번 분노하지만, 이 같은 비리들은 계속될 전망이 높다. 하지만 단지 사학비리와 연루된 그 ‘사람들’만 문제가 있는 걸까? 이쯤이면 우리가 믿고 있는 ‘대학’을 지탱하는 시스템 그 자체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이제는 단순히 특정한 인물을 비난하는 걸 넘어, 우리시대 대학이 어쩌다 이런 상황까지 오는지 살펴볼 때가 왔다. 이 책에서는 대학시스템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연구하고 있는 저자들이 대한민국 대학의 실상을 낱낱이 드러내보이고, 미래 교육을 위한 대안을 내놓는다.
Contents
여는 글_벼랑 끝 대학을 다시 세워낼 수 있을까

대학은 기업이 아니다_김창인

대학기업화에 대한 단상
대학과 기업의 잘못된 만남
대학기업화의 헬조선 패치
대학이 돈을 버는 방법
그렇게 대학은 괴물이 되었다
‘좋은 대학’과 ‘나쁜 대학’을 가르는 기준
누구의 것도 아닌, 모두의 대학
참고문헌

학벌론_이동현

우리는 ‘학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학벌의 ‘폐해’ | 학벌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가
학벌과 학교력
학벌? 학교력? | 학벌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 학교력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 학벌과 학교력은 어떻게 관계되는가
현대 한국의 학교력
학교력의 내용과 구성 | 학교력의 기능 및 한계 | 정당화기제 | 재생산기제 | 학교력의 역사적 기원
학벌과 학교력은 어떻게 폐지할 수 있는가
폐지를 위한 대안들 | 그래서 어떻게 폐지해야 한다고? | 연착륙의 길
학벌과 학교력의 격차를 완화할 궁극의 길은 무엇일까
참고문헌

학생회의 위기를 넘어_고준우

OO대학교 총학생회 이야기학생회의 위기: 대표성과 효용성의 상실
위기의 원인 : 학생운동의 퇴조
어떻게 학생회를 위기에서 구할 것인가? 혹은 왜 학생회를 위기에서 구해야 하는가?
[부록] 학생회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

닫는 글_대학을 바꾸기 위한 ‘대학’이라는 실험장
Author
김창인,이동현,고준우
세상을 바꾸기 위해 이것저것하고 있다. 2009년 중앙대 입학 후, 대학을 기업화하려는 두산그룹과 학교 본부에 맞서다 수차례 징계를 받았고, 2014년 5월에 대학은 기업이 아니라는 내용의 대자보를 붙이고 자퇴했다. 이후 대학 구조조정과 대학 기업화 문제를 다룬 책 《괴물이 된 대학》을 썼다. 현재 청년지식공동체 〈청년담론〉의 대표를 맡고 있고, 팟캐스트 〈이상한 청년들의 고급진 상식〉을 운영 중이다.
세상을 바꾸기 위해 이것저것하고 있다. 2009년 중앙대 입학 후, 대학을 기업화하려는 두산그룹과 학교 본부에 맞서다 수차례 징계를 받았고, 2014년 5월에 대학은 기업이 아니라는 내용의 대자보를 붙이고 자퇴했다. 이후 대학 구조조정과 대학 기업화 문제를 다룬 책 《괴물이 된 대학》을 썼다. 현재 청년지식공동체 〈청년담론〉의 대표를 맡고 있고, 팟캐스트 〈이상한 청년들의 고급진 상식〉을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