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문학사

$37.80
SKU
979115925217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7/04/14
Pages/Weight/Size 170*233*35mm
ISBN 9791159252174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전통천문학에 대한 기존 관점의 전환을 제안한다. ‘한국에서의 천문학의 역사’를 탐구할 것이 아니라 ‘한국의 역사 속의 천문학’을 탐구해야 한다고 본다. 한국의 역사 속에서 천문학이 수행했던 역할의 의미와 가치를 온전히 드러내는 위해서는 천문학 지식과 천문학적 활동을 ‘이론적 차원’과 ‘실행적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한국의 역사 속에 서양의 것과도 중국의 것과도 다른 천문학이 있었으며, 그것이 한국의 역사를 보다 한국적이게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의 조공책봉 관계가 강제하는 제약 속에서도 한국 왕조는 자국 내에서 독자적인 천문학을 실행할 필요가 있었고, 실행하고자 노력하였으며, 단절 없이 지속적으로 실행하였다.

한국 민족은 공동체로 존재하는 내내 스스로 천문학을 실행함으로써 동일한 시간규범을 공유하며 수준 높은 문화생활을 영위하였다. 한국 천문학사는 이처럼 한국에서 천문학을 실행한 역사이며, 그것을 담아내고자 한 것이 이 책이다.
Contents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서문

제1장 서론: 한국 천문학사의 구성

1절 연구사

2절 서술의 범위와 사료
1. 시간적 범위
2. 주요 사료

3절 연구의 관점 전환

제2장 고대의 천문학

1절 삼국시대 이전의 천문학
1. 고조선과 한국의 고대천문학
2. 고인돌 별자리와 고대천문학의 독자(獨自)기원설
3. 한국의 고대천문학과 중국 천문학의 영향

2절 삼국시대의 천문학
1. 삼국시대의 천문학 연구사
2. 조공책봉 체제와 한국의 고대천문학

3절 한국 고대역법의 재검토
1. 고구려의 역법
2. 백제의 역법
3. 신라의 역법

4절 고대의 천문의기(天文儀器)
1. 천문학과 시간
2. 해시계
3. 물시계와 누각(漏刻)제도
4. 고대의 천문도(天文圖)


제3장 고려시대의 천문학

1절 고려시대의 역법
1. 정삭(正朔)과 조공책봉(朝貢冊封)
2. 고려의 대외관계와 역법
3. 고려와 주변국의 역일 비교
4. 고려 역일의 특징
5. 고려의 수시력 채용

2절 고려시대 역서의 발행과 유통
1. 고려시대의 역서
2. 고려시대 역서의 유통


제4장 조선전기의 천문학

1절 조선전기의 역산(曆算) 연구
1. 『칠정산내편(七政算?篇)』의 성립 과정
2. 의기의 제작과 역산서의 정리
3. 조선전기 역산 연구의 특징

2절 조선전기 천문학사의 쟁점
1. 세종대 이후의 역산 활동
2.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고찰


제5장 조선후기의 천문학

1절 시헌력 시행과 서양천문학 도입
1. 책봉국과 정삭의 변화
2. 시헌력의 도입과 시행
3. 시헌력 지식과 역산학의 확대
4. 『역상고성』 체제로의 전환과 혼란
5. 『역상고성후편』과 오성 계산법의 습득

2절 정조시대 시헌력 운용 체제의 완성
1. 시헌력 중심 국가천문학의 완성
2. 천문학의 교양지식화
3. 미완의 본국력(本國曆)


제6장 19세기 전통천문학의 정점

1절 남병길과 국가천문학의 정점
1. 시헌력의 역산 매뉴얼 완성
2. 역산학과 천문학의 결합
3. 지식인의 지적 탐구와 천문학

2절 남병철과 학문으로서의 천문학
1. 천문학적 논의와 증거주의
2. 청조 고증학과의 연관
3. 서양 과학과 천문학의 지위


제7장 전통천문학의 단절과 근대천문학의 유입

1절 국가천문학으로서의 역산천문학의 단절
1. 역산천문학의 단절
2. 일본인 천문학자의 역할

2절 서양 근대천문학의 유입과 정착
1. 근대천문학 관련 서적의 유입
2. 한성순보와 한성주보의 천문학 소개
3. 천문학 교과서의 출현


제8장 결론: 한국천문학사의 한국적 특징

1절 한국 천문학사의 보편성과 지역성
1. 천문(天文), 관측과 기록
2. 역법(曆法), 시간규범의 수립과 실행

2절 한국 천문학사의 특징
1. 천문학적 실행을 위한 확인 관측
2. 전천 항성관측치의 부재
3. 시간과 시계 사용의 독창성


주석
표 및 도판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
Author
전용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