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71%를 차지하는 바다
그 바다의 93%를 차지하는 심해
지구 안의 외계, 심해를 탐험하는 과학자들의 이야기
지구의 생태계는 광합성으로부터 시작된다. 생산자인 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해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면 이 식물을 섭취하는 1차 소비자인 초식동물, 초식동물을 먹이로 삼는 2차 소비자인 육식동물이 살아갈 수 있게 되고 이들이 죽고 나면 세균이나 곰팡이 등 균류가 이들을 분해해 다시 자연으로 돌아가 식물의 양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순환이 일어나는 것이 생태계다. 즉 태양 에너지가 지구 생명의 근본이라는 것이 우리가 아는 상식이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왜 깊은 바다로 갔을까?』는 이 상식을 뒤집는 과학적 사실을 우리에게 소개한다. 바다는 200m만 들어가도 빛이 전혀 들어오지 못한다고 한다. 완전한 암흑의 세계다. 이런 곳에서는 당연히 식물도 자라지 못한다. 우리는 생태계의 생산자인 식물이 없으면 생태계가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카메라를 통해 깊은 바다를 들여다본 과학자들이 그곳에도 생태계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목격했다. 어떻게 태양 빛이 없는 곳에 생명이 존재할 수 있을까?
Contents
│시작하는 글 │깊은 바닷속 뜨거운 온천─김동성
part 1 심해가 지구 생명의 기원으로 주목받는 이유
빛이 없는 곳에도 생명이 존재한다─김동성
지구의 피부가 새로 태어나는 곳─이상묵
심해 열수분출공, 어디에 있고 어떻게 찾는가─김종욱
열수역 탐사 필수 장비 ‘잠수정’ 개발 이야기─민원기, 김동성
깊은 바닷속 무엇이 물을 뜨겁게 만들었을까─박정우, 최사랑
생명이 바다에서 시작되었다면 어떤 방식이었을까─심민섭
초임계유체를 찾아서─이희승
열수분출공을 화학의 눈으로 살펴보면─최기영
part 2 열수 생태계에서 살아가는 생물들의 비밀
광합성 대신 화학합성하는 생태계─민원기, 오제혁
심해저 생물들은 무엇을 먹고 살까─서연지, 주세종
열수생물이 섬 같은 열수지역을 이동하는 방법─원용진, 장숙진
심해 열수생물의 극한 환경 극복기─유옥환, 강수민
화려한 패셔니스트 열수생물─민원기, 노현수
열수 생태계의 숨은 조력자, 원생생물─김영옥, 최정민
저서생물 유생으로 알아보는 생존 전략─김민주, 강정훈
중형저서생물은 왜 중요한가─강태욱, 오제혁, 김동성
인도양 심해 열수역의 선형동물 종 다양성─노현수, 민원기, 김동성
part 3 심해에서 찾는 자원의 가능성
열수생물의 단단한 갑옷과 아이언맨의 꿈─김태원, 조붕호
열수분출공 주변 생물이 만드는 새로운 물질들─신희재 온누리
열수지역의 특징적 열수광물─김지훈, 임동일
심해 열수지역 미생물로 생명 기원을 추척하다─권개경, 김윤재
│맺는 글 │새로운 열수 생태계 발견의 여정─신아영, 김동성, 정민규
│찾아보기 │
Author
김동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일본 도쿄대학교 석·박사 |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교수 과기부 과학기술정책연구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초연구진행협의회 위원
해양수산부 제2, 3기 기술자문위원회 해양분야 자문위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일본 도쿄대학교 석·박사 | 해양과학기술전문대학원 교수 과기부 과학기술정책연구회 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기초연구진행협의회 위원
해양수산부 제2, 3기 기술자문위원회 해양분야 자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