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그동안 지은이가 써온 불교문학 관련 글 가운데 불교전기(傳記), 불교설화, 불교소설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엮었다. 사실 불교문학에 대한 시선은 그리 호의적이지 않았다. 불교문학이란 교리, 전교를 위한 기능적 담론에 불과하다는 시각과 무관하지 않은 현상일 것이다. 실상대로라면 불교문학으로 말미암아 우리 문학사가 한결 풍성해지고 다채로운 색채를 지니게 되었다고 해야 마땅한데도 그에 의의를 부여하려는 이는 드물었다.
불교문학에 대한 지은이의 관심은 우연히 접한 승전(僧傳)에서 비롯되었다. 승전연구를 계기로 빈약한 불교문학 연구의 실태를 확인한 셈인데 미력이나마 이쪽 연구에 힘을 보태야겠다는 결심으로 이어진 것이다. 30여 년의 연구생활을 요약하자면 불교문학 영역에 속하는 작품, 작가의 발굴, 소개, 그리고 한국 불교문학의 독자성, 미학의 발견을 위한 여정이었다 해도 될 듯하다. 이 때문에 불교문학의 개념, 문학사, 양식 분류 등 원론적인 문제들은 물론이요 개별단위의 작품, 작가들에 대한 성숙한 안내자 역을 기대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불교시가는 제대로 살필 겨를이 없었고 불교서사에 있어서도 깊이 있는 안목을 갖추었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책 간행에 나선 것은 한국 불교문학에 관심을 가진 이들, 특히 불교서사 전공자들에게 연구의 선행사례로 참고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다. 우선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수록된 글의 성격과 내용을 영역별로 간추려 제시해본다.
Contents
차례
머리말
제1부_ 한국 불교문학의 흐름과 갈래
제1장/ 불교문학에 다가서기
제2장/ 한국 불교문학의 사적 흐름
1. 신라의 불교문학 개관
2. 고려의 불교문학 개관
3. 조선의 불교문학 개관
제6장/ 청허淸虛 휴정休靜의 전기문학 연구
1. 들어가며
2. 『삼로행적』의 서술적 특성
1) 설화적 일화의 배제
2) 서사시간의 폭넓은 적용
3) 결말의 극적 형상화
3. 「삼몽록」의 서술적 특성
1) 가장家狀과 자전自傳의 기능적 결합
2) 몽유자적 과거 술회
4. 나가며
제7장/ 김유신 전기에 나타난 영웅화 방식과 유불儒佛사상의 개입
1. 들어가며
2. 영웅상의 시대적 추이와 김유신전
3. 『삼국사기』의 영웅화 방식
1) 신화소神話素의 수용과 새 영웅상의 모색
2) 충군보국忠君報國적 자기헌신
3) 제가齊家와 가문의 명예 현창
4. 『삼국유사』의 영웅화 방식
1) 삼생관三生觀의 적용과 업業의 제시
2) 호국 신격神格으로의 윤회
5. 나가며
제8장/ 중세 금석문 소재 불교설화의 통시적通時的 연구
1. 들어가며
2. 중세 불교금석문의 설화수용 특성과 논의대상
3. 핵심 모티브의 삽입과 통시적 변이양상
1) 태몽
2) 공주치유
3) 진화구중
4) 호랑이 호위
5) 축룡건사逐龍建寺
4. 불교금석문 소재 모티브의 서사적 의의
제3부_ 불교설화
제1장/ 당승唐僧 혜상의 채록으로 본 신라 불교설화
1. 들어가며
2. 혜상의 찬술활동과 설화인식
3. 채록 설화의 범위와 소재별 의미 검토
1) 『석문자경록』 소재 각편
2) 『홍찬법화전』 소재 각편
3) 『법화전기』 소재 각편
4. 나가며
제2장/ 해외문헌을 통해 본 삼국시대 승려의 인물전승 양상
1. 들어가며
2. 해외문헌 소재 전승의 범위와 대상
3. 승려 인물전승의 담당주체
4. 유통의 제 경로와 그 양상
1) 중국 내 전파
2) 중국에서 삼국으로의 전파
3) 삼국에서 중국으로의 전파
4) 일본 내 전파
5) 삼국에서 일본으로의 전파
5. 전승의 핵심적 모티브
1) 용궁강설 모티브
2) 방광 모티브
3) 치병治病 모티브
6. 전승자의 의식세계
7. 나가며
제3장/ 전승집단에 따른 기억의 투사양상
1. 들어가며
2. 진표전승의 범위와 전승자 집단
3. 불가, 존숭의 시선과 성적聖跡
4. 유가, 외도外道에서 발견한 효행
5. 속가, 민중 꿈의 실현과 좌절
6. 나가며
제4장/ 박연朴淵의 노힐부득 달달박박과 설화이주移住의 양상과 의미
1. 들어가며
2. 박연설화의 범위와 특성
3. 이성二聖설화의 이주와 부착양상
4. 이성설화의 광포화 현상과 그 원인
5. 나가며
제5장/ 도선-선사, 왕사, 풍수장이, 그 다면적 형상
1. 들어가며
2. 도선의 사실적 면모
3. 도선 전설의 출현배경
4. 감여술의 터득과 주변인
1) 일행一行
2) 당唐 황제
3) 이인
5. 고려창업과 도선
6. 조선창업과 도선형 인물
7. 민중의 도선 수용양상
1) 비범의 강조와 이상탄생
2) 도선의 보답과 민중의 욕구실현
3) 사대의식의 거부
4) 도선에 대한 회의와 부정적 형상
8.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