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서사의 욕망과 상상력

여성 주체적 시각으로 읽는 고전 장편소설
$35.65
SKU
979115905767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28
Pages/Weight/Size 152*223*30mm
ISBN 9791159057670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고전 장편소설에는 당대의 사회상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군상의 구체적 숨결들이 담겨있으며, 이 소설들이 이루어낸 성취는 주류에 편입되지 못한 채 주변화되었던 소설이라는 문학 장르와 여성을 비롯한 타자들의 결합 덕분에 가능했던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러한 특성에 주목해 고전 장편소설들을 분석한 학술적 연구 결과물이지만 그 안에 담긴 문제의식은 시공의 경계를 넘어 현재 우리의 삶과도 소통되는 부분이 많다. 이에 우리 소설사의 중요한 대표 양식이면서도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고전 장편소설과 그 안에 담긴 고민들을 폭넓게 공유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Contents
책머리에 3

제1부 가부장제라는 이념과 욕망

제1장 긍정적 가부장의 형상화와 소설 담당층의 인식 11
1. 유교적 가족제도와 가부장의 상징성 11
2. 긍정적 가부장의 형상과 내적 분화 13
3. 가부장상에 투영된 소설 담당층의 인식 차이 27
4. 맺음말 41

제2장 가부장적 권위의 추락과 가치관의 변모 44
1. 조선 후기 가부장의 위상 변화 44
2. 가부장적 권위의 추락 47
3. 가족제도에 대한 인식 전환 63
4. 맺음말 70

제3장 여성 주체적 소설과 모성 이데올로기의 파기 72
1. 모성 신화에 대한 의문 72
2. 여성 주체적 소설에 드러난 모성 의무의 포기 75
3. ‘어머니 되기’에서 ‘자기 자신 되기’로 94
4. 모성의 재인식과 소설사적 의의 96
5. 맺음말 100

제4장 『소현성록』의 이중성에 내재된 욕망의 실체 103
1. 욕망의 주체에 대한 의문 103
2. 『소현성록』의 이중적 요소들 108
3. 이중성에 투영된 시선과 의미 123
4. 맺음말 132

제2부 전통적 가족관계의 균열과 위기

제5장 『천수석』의 독특한 가족관계와 현실 인식 137
1. 『천수석』의 문제적 성격 137
2. 가부장제의 모순과 가족관계의 동요 142
3. 가문 의식의 불안정성과 현실 인식 154
4. 맺음말 166

제6장 조선시대 이혼법과 『현씨양웅쌍린기』의 여성 의식 168
1. 부부의 불화와 이혼 168
2. 이혼을 요구하는 여성 172
3. 이혼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185
4. 『현씨양웅쌍린기』의 여성 의식 194
5. 맺음말 199

제7장 대하소설의 친동기간 선악 구도 202
1. 친동기간 갈등의 희소성 202
2. 친동기간의 갈등 양상 206
3. 가문 질서의 이면과 모순 215
4. 맺음말 227

제8장 동서同壻 갈등과 가족 서사의 확장 230
1. 여성 수난 서사와 동서 갈등 230
2. 동서 갈등의 전개 양상 232
3. 선악 구도와 여성의 욕망 240
4. 여성의 내면과 소설사적 의의 252
5. 맺음말 256

제3부 새로운 가족에 대한 상상력

제9장 상층 가문의 성 문화와 연애의 발견 261
1. 애정 서사의 제약 261
2. 『하진양문록』과 감성적 연애의 서사화 266
3. 연애의 발견과 소설사적 의의 280
4. 맺음말 288

제10장 욕망 주체의 발견과 자기애의 미덕 291
1. 『방한림전』 다시 읽기 291
2. 욕망의 주체 방관주 296
3. 운명론의 역설 309
4. 낙관적 주체와 젠더 인식의 전환 314

제11장 가부장제하 여성 연대와 새로운 가족의 상상 317
1. 『청백운』의 문제적 성격 317
2. 탈부계적 가족 서사의 성립 322
3. 새로운 가족의 상상 가능성 338
4. 맺음말 345

참고문헌 347
처음 실린 곳 359
Author
이지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여성 주체적 시각에서 조선 후기 장편소설을 재평가하는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 고전 『장화홍련전』, 『홍계월전』, 『금오신화』를 펴냈으며, 저서로 『옥원재합기연 연작 연구』가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여성 주체적 시각에서 조선 후기 장편소설을 재평가하는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우리 고전 『장화홍련전』, 『홍계월전』, 『금오신화』를 펴냈으며, 저서로 『옥원재합기연 연작 연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