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리부트 시대, 다시, 고정희

$51.84
SKU
979115905746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6/4 - Mon 06/1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Mon 06/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25
Pages/Weight/Size 152*223*35mm
ISBN 9791159057465
Categories 소설/시/희곡 > 비평/창작/이론
Description
페미니즘운동의 선구자이자 한국 문학사에서 여성주의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연 고정희(1948~1991) 시인의 추모 20주기, 30주기에 발표된 글들을 모아 실었다. 고정희의 시 텍스트 분석부터 시 창작 활동, 여성주의 문화운동 활동가로서의 면모까지 분석하여 생전 고정의 삶의 다양한 면면까지 들여다 볼 수 있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고정희와 여성적 글쓰기


고정희 시의 카니발적 상상력과 다성적 발화의 양식 | 김승희
1. 『여성해방 출사표』와 카니발적 상상력
2. 공간, 시간, 그리고 스타일의 카니발적인 것
3. 발화 주체의 자기 정체성 해체와 맥락, 코드의 충돌로 인한 카니발적 혼합
4. 나가며

시詩로 쓰는 여성의 역사 | 김진희
1. 서정의 확장과 역사의 시화
2. 여성의 언어-역사의 탐구
3. 중심 언어의 전복과 여성‘들’의 목소리
4. 이야기의 전달과 서사 전략
5. 여성, 미래 역사의 창조적 주체

고정희 시의 종교적 영성과 ‘어머니 하느님’ | 김문주
1. 기독교 문학과 고정희 시의 특이성
2. 수난의 영성과 민중
3. 수난을 사는 예수와 역사의식
4. 모성과 ‘어머니 하느님’, 그리고 구원의 비전
5. 나가면서

고정희 ‘굿시’에 나타난 기호적 코라의 특성-『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를 대상으로 | 김난희
1. 들어가며
2. 고정희 ‘굿시’에 나타난 기호적 코라와 언어적 실천
3. 나가며

고정희 시에 나타난 현실에 대한 재현적 발화 양상 연구-시적 발화를 통한 아이러니의 기호작용을 중심으로 | 윤인선
1. 현실에 대한 재현적 발화-모방을 넘어 커뮤니케이션으로
2. 현실에 ‘대해’ 수행된 시적 언어의 지표성과 발화수반력
3. 종교를 ‘통해’ 수행된 시적 언어의 상징성과 발화효과력
4. 현실에 대한 재현적 발화를 통해 형성되는 아이러니적 기호작용

고정희 연시戀詩의 창작 방식과 의미-『아름다운 사람 하나』를 중심으로 | 문혜원
1. 들어가며
2. 원작과 개작 비교를 통한 고정희 연시의 창작 방식과 기능
3. 연시 창작의 의미-공감의 확대와 타자성의 승인
4. 나가며

연작시 「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여성민중주의적 현실주의’와 문체혁명-「몸바쳐 밥을 사는 사람 내력 한마당」을 중심으로 | 이소희
1. 고정희와 민중, 그리고 여성
2. 틈새공간-『여성해방출사표』와 『광주의 눈물비』 사이
3. 연작시 「밥과 자본주의」-「몸바쳐 밥을 사는 사람 내력 한마당」
4. ‘여성민중주의적 현실주의’와 문체혁명

제2부
고정희와 여성시의 실천


고정희의 「밥과 자본주의」 연작시와 커먼즈 | 양경언
1. 들어가며
2. 밥, 비개성의 영역
3. 시, 재창조의 영역
4. 나가며-하나보다 더 좋은 백의 노래

고정희 시에 나타난 불화의 정치성-마당굿시를 중심으로 | 이은영
1. 들어가며
2. 마당굿시의 형식적인 특성에서의 불화의 가능성
3. 마당굿시의 내용적 특성에서 나타난 불화의 양상
4. 나가며

고정희 굿시의 재매개 양상 연구-『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를 대상으로 | 장서란
1. 들어가며
2. 굿시의 간매체성
3. 나가며

고정희 시의 청각적 지각과 소리 풍경 | 이경수
1. 들어가며
2. 안팎의 소리와 홀로 깨어 있는 주체의 귀
3. 울음과 비명, 혹은 소란과 침묵이 공존하는 시대의 소리 풍경
4. 타인의 말과 여성 주체의 말하기 형식
5. 나가며

1980년대 여성주의 출판문화운동의 네트워킹 행위자로서 고정희의 문화적 실천 | 김정은
1. 들어가며
2. 여성해방문학의 영웅적 ‘저자’의 이면
3. 네트워킹 행위자로서 고정희와 『여성신문』
4. 결론을 대신하여-여성과 여성을 잇는 페미니즘적 유산legacy으로서의 고정희

고정희 시의 섹슈얼리티와 ‘페미니즘의 급진성’ | 정혜진
1. 들어가며-급진성과 본질주의?
2. 고정희 시의 자매애의 재구성과 여성해방 주체로서의 ‘독신자’
3. 고정희의 급진주의 여성문학과 연대의 원리
4. 나가며-고정희 시의 섹슈얼리티와 ‘페미니즘의 급진성’

제3부
고정희와 문화 번역


신화·역사·여성성-이반 볼랜드와 고정희의 다시 쓰는 여성 이야기 | 박주영
1. 들어가는 말
2. 페미니즘 시각으로 다시 쓰는 여성 이야기
3. 여성 삶의 역사성 다시 찾기
4. 나가는 말

땅의 사람들을 기억하고 살리는 목소리-고정희와 조이 하조의 생태시학 | 정은귀
1. 들어가며
2. 대지의 언어와 조이 하조의 시
3. 고정희와 땅의 사람들
4. 또 다른 생태시학

민주화 세대 여성의 실천적 글쓰기와 80년대 여성문학비평-고정희의, 고정희에 대한 여성문학비평이 남긴 것 | 김양선
1. 들어가는 말-80년대의 고정희 읽기, 이천 년대의 고정희 읽기
2. 비평 담론에 의해 구성된 고정희 문학의 정체성
3. 여성해방문학론의 출발과 고정희 문학
4. 고정희의 여성문학비평 다시 읽기
5. 나가며-여성의 경험으로 고정희 시를 다시 읽다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으로서의 여성시-고정희 시인과 힐데 도민의 시를 사례로 | 채연숙
1. 고정희 시인과 힐데 도민을 읽으며
2. 문화적 기억과 문학적 기억으로서의 여성시
3. 시 텍스트에서의 문학적 기억과 문화적 기억 읽기
4. 두 여성시인에서 여성시의 존재 의미
5. ‘애상 기억’과 시대적 상흔에 대한 치유
6. 나가는 말

여성-민중, 선언-『또 하나의 문화』와 고정희 | 최가은
1. 선언의 언표와 실천 간 괴리
2. 80년대 균열의 표지, 고정희
3. ‘또 하나의 문화’와 ‘여성-민중’ 선언

참고문헌
수록 글 최초 발표 지면
필자 소개
Author
이소희,이경수
문학 박사, 미국 ADEC(Association for Death Education and Counselling)의 죽음 교육 수련 디렉터(FT). 2011년부터 서강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고려대학교(세종, 안암) 등에서 글쓰기 강의를 했다.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인문 교양 학부에서 글쓰기 강의를 맡고 있다. 저서로 『부정성의 시학과 한국 현대시』, 『한국 전후 문제시인 연구 6』(공저), 『삶의 성찰 죽음에게 묻다』(공저)가 있으며, 「1980년대 노동시의 헤테로크로닉 양상」, 「1980년대 모더니즘 시의 정치적 무의식」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문학 박사, 미국 ADEC(Association for Death Education and Counselling)의 죽음 교육 수련 디렉터(FT). 2011년부터 서강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고려대학교(세종, 안암) 등에서 글쓰기 강의를 했다.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인문 교양 학부에서 글쓰기 강의를 맡고 있다. 저서로 『부정성의 시학과 한국 현대시』, 『한국 전후 문제시인 연구 6』(공저), 『삶의 성찰 죽음에게 묻다』(공저)가 있으며, 「1980년대 노동시의 헤테로크로닉 양상」, 「1980년대 모더니즘 시의 정치적 무의식」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