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목적은 한국 현대소설의 주요 작품들을 통해 현재 우리 사회의 주체들이 언제 어떤 모습으로 이 땅에 등장했으며 그와 더불어 국가 사회의 상황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사회가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인간 집단 일반을 가리키는 이상, 사회의 특성이 그 구성원인 인간의 특성과 뗄 수 없이 관련된다는 것은 상식이자 보편적인 진실에 해당한다. 바로 이러한 지평에서 현대 한국인과 사회의 형성 과정을 검토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Contents
책머리에 3
서론 역사의 창으로서의 한국 현대문학 11
제1장 한국 현대문학의 뿌리 1900년대 애국계몽 문학과 신채호의 ??을지문덕??(1908) 25
제2장 이상주의적 개척자의 등장과 매판적 정치소설 이인직의 ??혈의 누??(1906)가 놓이는 자리 49
제3장 토론체 신소설의 문제적 성격 이해조의 ??자유종??(1910), 김필수의 ??경세종??(1908), 안국선의 ??금수회의록??(1908) 71
제4장 오락 문학의 시대 조중환의 ??장한몽??(1913, 1915) 91
제5장 무장독립운동의 꿈 신채호의 ?꿈하늘?(1916)과 ?용과 용의 대격전?(1928) 111
제6장 알 수 없는 근대를 향한 개인의 각성 이광수의 ??무정??(1917) 141
제7장 자율적 문학의 형성, 개인 내면의 등장 동인지 문학의 등장과 ?불놀이?(1919), ?약한 자의 슬픔?(1919) 173
제8장 식민지적 비참함과 낭만주의 1920년대 초기 문인의 상황 223
제9장 정관적 부르주아 주체의 등장과 식민지 현실의 인식 염상섭의 ??만세전??(1924) 251
제10장 하층민의 등장, 집단적 계급 주체의 형성 신경향파와 카프(1925~1935) 문학 271
제11장 부르주아 지식인의 자리 염상섭의 1920년대 장편소설들과 ??삼대??(1931) 309
제12장 민족개조론과 조선주의 그리고 1930년대 계몽주의 이광수의 1920년대 역사소설과 ??흙??(1933) 343
제13장 운명을 개척하는 민중 좌파 문학의 정점, 이기영의 ??고향??(1934)과 한설야의 ??황혼??(1936) 385
결론 주체의 탄생과 현대 사회의 형성 425
참고문헌 434
찾아보기 441
Author
박상준
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 「한국 신경향파 문학의 특성 연구: 비평과 소설의 상관성을 중심으로」(2000)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로서 미래의 과학기술계 리더들과 문학, 인문학 이야기를 하고 있다. 평론집으로 『소설의 숲에서 문학을 생각하다』와 『문학의 숲, 그 경계의 바리에떼』를, 인문학 교양서로 『꿈꾸는 리더의 인문학』과 『에세이 인문학』을, 전문학술서로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과 이상, 최재서』, 『형성기 한국 근대소설 텍스트의 시학』 등을 썼다. 그 외 다양한 주제로 30여 권의 공저를 냈다. 국내외의 문학작품을 통해 우리의 삶과 사회를 성찰하는 작업을 해 오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 「한국 신경향파 문학의 특성 연구: 비평과 소설의 상관성을 중심으로」(2000)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로서 미래의 과학기술계 리더들과 문학, 인문학 이야기를 하고 있다. 평론집으로 『소설의 숲에서 문학을 생각하다』와 『문학의 숲, 그 경계의 바리에떼』를, 인문학 교양서로 『꿈꾸는 리더의 인문학』과 『에세이 인문학』을, 전문학술서로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과 이상, 최재서』, 『형성기 한국 근대소설 텍스트의 시학』 등을 썼다. 그 외 다양한 주제로 30여 권의 공저를 냈다. 국내외의 문학작품을 통해 우리의 삶과 사회를 성찰하는 작업을 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