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학회에서는 2012년 첫 단행본 『김유정의 귀환』을 시작으로 2020년 『김유정 문학 콘서트』까지 매년 김유정학회의 학술활동 결과를 모은 단행본을 출간해왔다. 이번에도 김유정 문학에 대한 논문 12편을 모아 춘천문화재단의 지원으로 10번째 학술서를 출간했다. 이번 책은 김유정과 동시대 문학에서 어떤 문화, 혹은 가치나 개념 등이 중첩되고 충돌하고 또 균열을 일으켜 서사를 추동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한 열 두 편의 글들이 수록되었다.
Contents
책머리에 3
제1부 김유정 연구의 길
전신재 속이고 속는 이야기의 두 유형-판소리와 김유정 소설 13
1. 머리말 13
2. 판소리 14
3. 김유정 소설 25
4. 맺음말 41
유인순 김유정을 만나다 47
1. 가을의 정경 47
2. 10ㆍ26사태 그리고 김유정과 만남 50
3. 김유정문학촌의 추억 53
4. 실레마을의 삽화 54
5. 김유정학회 설립의 전후 이야기 61
제2부 공동체와 경계, 문화 충돌
권경미 들병이와 유사가족 공동체 담론-김유정의 소설을 중심으로 71
1. 식민지 조선과 몸 파는/팔리는 여성 71
2. 근대적 가족과 가족공동체 75
3. 정착과 성 노동자로서의 여성 79
4. 법의 윤리와 밥의 현실 84
5. 나오며 89
김미지 농촌 유랑민의 도시 서사와 공생의 윤리-박태원과 이상의 도시소설과 겹쳐 읽은 김유정 소설 92
1. 들어가며 92
2. 행랑어멈, 안잠자기, 깍정이들의 전사前史 96
3. 기생과 공생 사이, 도시의 들병이 서사 103
4. 결론 115
박필현 경계에 서서 바라본 인간의 삶과 ‘위대한 사랑’-김유정의 문학관, 인생관으로서의 ‘위대한 사랑’에 대한 일 모색 121
1. 서론 121
2. 무기력한, 그리고 강건한 ‘만무방’들 124
3. 야누스의 얼굴을 한 공동체 130
4. ‘천체의 견연牽連’, 사랑 그 질서 134
5. 결론 141
표정옥 문명충돌 속 한국 근대 질병 상상력이 소설 구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김유정과 이상의 결핵을 중심으로 144
1. 들어가며 144
2. 공존하는 인간과 결별하는 인간 150
3. 조감된 우주적 공간과 해부된 폐쇄 공간 156
4. 순환적 현실의 시간과 전도된 환상의 시간 163
5. 나오며 169
홍기돈 김유정 소설의 아나키즘 면모 연구-원시적 인물 유형과 들병이 등장 작품을 중심으로 174
1. 김유정 소설과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 174
2. 아나키즘 예술론의 특징-공동체 지향과 예술가 축출론 178
3. 노란 동백꽃 속의 강원도 여성들-원시적 인물 유형과 공동체 184
4. 들병이의 윤리 그리고 공동체와의 갈등 190
5. 크로포트킨의 ‘가족의 기원’과 김유정의 가부장제 비판 197
제3부 영서嶺西의 로컬리티와 고향의식
이미림 김유정 소설의 로컬리티와 고향의식 205
1. 서론 205
2. 고향의식과 궁핍/유랑으로서의 30년대 삶 208
3. 강원도민의 질박한 심성과 숙명론적 가치관 217
4. 민요/민속, 미신을 통한 근대와 전근대의 혼효 222
5. 토착어, 구어, 감(청)각어로서의 로컬리티 언어 228
6. 결론 231
이현주 고향의 발견, 호명된 ‘영서嶺西’ -「봄ㆍ봄」, 「동백꽃」과 「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235
1. 들어가며 235
2. 소환된 고향 ‘영서’-1936년 『조광』의 ‘고향’ 기획 특집이 매개한 고향 풍경 240
3. 1936년, 『조광』, 김유정과 이효석의 농촌 배경 소설 249
4. 결론을 대신하여-남는 문제들 259
제4부 텍스트의 복원과 확장, 해석의 새 지평
김정화·문한별 김유정 소설 「소낙비」의 검열과 복원 265
1. 문제제기 265
2. 신문연재소설 「소낙비」 268
3. 「소낙비」의 검열 양상과 그 의미 273
4. 결론 288
양세라 김유정 소설 각색 연극 연구-오태석의 〈봄봄〉과 〈김유정 봄ㆍ봄〉을 중심으로 292
1. 머리말 292
2. 〈봄봄〉과 〈김유정 봄ㆍ봄〉 공연사에 나타난 문화적 기호로서 김유정 소설 294
3. 김유정 소설언어를 극작가의 극적 담화로 전유하기 303
4. 김유정 소설 해체와 인용을 통해 살펴본 오태석의 극작법(드라마트루그) 311
5. 연행적 매개체 ‘들병이’의 몸으로 축제를 재현하기 323
6. 결말 329
임보람 김유정의 「산골 나그네」에 나타난 소리의 수사학 333
1. 들어가며 333
2. 청각적 세계의 형성-‘물소리’ 336
3. 산골 나그네의 인물형상화-‘침묵’ 343
4. 청각적 공동체 지향-‘늑대소리’ 348
5. 나가며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