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문제에서 중세와 구분되는 근대 사회의 가장 큰 특징을 꼽는다면 각 민족국가가 라틴어나 고전 한문과 같은 중세적 보편 문어 대신 자신의 세속어(vernacular)를 글쓰기의 영역에 전면적으로 도입하게 된다는 점일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베네딕트 앤더슨은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민족국가라는 ‘상상의 공동체’가 형성되었다고 설명한다. 그런데 앤더슨이 민족국가를 ‘상상의 공동체’라고 하는 것은 그 단위나 경계의 문제 때문만이 아니다. 즉, “보편화되어 있을지 모르는 실질적인 불평등과 수탈에도 불구하고 민족은 언제나 심오한 수평적 동료의식으로 상상된다”는 점에서 민족국가는 ‘상상의 공동체’라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를 동질적으로 느끼는 그러한 ‘상상’에 현실적인 감각을 제공하는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우리가 매일매일 하고 있는 말하기, 글쓰기라는 행위이다.
물론 말하기와 글쓰기를 통해 서로가 서로를 동질적인 구성원으로 느끼기 위해서는 온갖 변이와 변종에도 불구하고 민족국가의 구성원들이 모두 ‘하나의 언어’를 말하고 있다는 또 하나의 ‘상상’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언어학은 바로 그러한 상상을 가능하게 하는 담론/제도이다. 실제로 불어학, 독어학, 일본어학, 중국어학, 한국어학과 같이 민족국가 단위로 설정되어 있는 개별 언어학은 그 언어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공유하는 ‘하나의 문법’을 가정한고 그에 입각하여 ‘국어문법’을 기술한다.
도처에서 경험하는 차별과 불평등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느끼는 수평적 동료 의식을 설명하는 데는 따라서 각 민족국가의 ‘국어’, 그리고 단일한 ‘국어’라는 그 ‘상상’의 존재를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그 실체를 ‘실증’해 내고야마는 언어학보다 더 중요한 것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 그런 이유에서 각 민족국가의 ‘국어’를 연구하는 개별 언어학, 즉 ‘국어학’은 (‘국문학’과 ‘국사’가 그렇듯이) 근대 국민국가라면 반드시 갖추어야 할 국가장치의 하나라고 해야 할지도 모른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근대언어학으로서의 ‘국어학’의 기본 가정이나 전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으로서 국내 학계에서 이러한 시도는 최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Contents
머리말 3
제1부 근대 한국어학의 지적 기반 성찰
제1장 들리지 않는 소리, 혹은 발설되지 않는 말과 ‘국어’의 구상-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분석
1. 들어가는 말-‘대상’에 선행하는 ‘관점’의 문제 19
2. 균질화와 국민화-근대의 포획 장치 22
3. 소리의 특권화와 ‘국문’의 재발견 29
4. 말의 새로운 층위와 ‘국어’의 구상 37
5. 나가는 말-언어의 ‘자연성’이라는 문제 50
제2장 근대계몽기 한자 훈독식 표기에 대한 문제
1. 들어가는 말 52
2. 한자 훈독식 표기의 제안 55
3. 한자 훈독식 표기의 실제 66
4. 한자 훈독식 표기에 대한 평가 81
5. 나가는 말 88
제3장 ‘음성 중심주의’와 ‘과학주의’에 대하여 -「한글마춤법통일안」(1933) ‘총론’ 재론
1. 들어가는 말 91
2.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는 것-표음주의라는 문제 96
3.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형태주의라는 문제 105
4. ‘언어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메타언어학이라는 관점 115
5. 나가는 말-균질적 단일언어 사회와 근대적 표기 규범의 관계 124
제4장 초기 ‘국어문법’ 성립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하여 -품사 분류와 ‘보조어간’ 설정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128
2. 김두봉의 『조선말본』(1916)과 ‘겻’의 갈래 131
3. 최현배의 「조선어의 품사분류론」(1930)과 ‘보조어간’ 137
4. 박승빈의 『조선어학강의요지』(1931)와 ‘조용사’ 146
5. 나가는 말-‘보조어간’ 문제의 현재적 의의 153
제5장 분열된 근대 한국어학의 발자취-북한의 규범문법 성립 과정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157
2. 현재 북한 문법에서의 ‘토’의 분류 161
3. 『조선어문법』 1(1960)과 ‘토-형태조성의 접사’라는 체계 166
4. 『조선어문법』 1(1960)에 대한 문제제기와 ‘자리토-끼움토’ 체계의 성립 177
5. 나가는 말 188
제2부 언어적 근대의 극복이라는 문제
제1장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이라는 난점-1930년대 홍기문의 언어 연구 검토
1. 들어가는 말-‘가갸날’ 기념과 그 이견 197
2. 1930년대 ‘조선학운동’의 안과 밖 202
3. 분열된 ‘과학’, 혹은 이중 기준 207
4. ‘과학’, 아직 오지 않은 그러나 지체될 수 없는 217
5. 나가는 말-‘새로운 시대’의 언어학을 위하여 224
제2장 ‘국어학’이라는 사상-근대언어학의 정치적 함의에 대하여
1. 들어가는 말-칸트 미학과 근대언어학의 ‘순수한 시선’ 231
2. 자연에서 사회로, 혹은 ‘하나의 언어’와 ‘균질적 언어공동체’의 (불)가능성 237
3. ‘국어’ 없는 ‘국어학’-주시경의 『국문문법』(1905)의 경우 246
4. 식민지 사회와 과학, 혹은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이라는 난점 253
5. 나가는 말 265
제3장 ‘국어의 사상’을 넘어선다는 것에 대하여-『겨레말큰사전』의 경우
1. 들어가는 말 267
2. ‘국어의 사상’과 언어적 근대 270
3. 균질적 주체의 형성과 근대적 산문 문체-중립적 매체라는 신화 276
4. 무표화되지 않는 변종들의 공존-『겨레말큰사전』에서의 남북 언어 통합 284
5. ‘국어문법’에서의 ‘국가연합’ 혹은 ‘연방제’라는 문제 292
6. 나가는 말-새로운 언어학에 대한 요청 300
제4장 언어적 근대의 극복을 위하여-가스야 게스케의 『언어?헤게모니?권력』 서평
1. 촘스키와 푸코, 그리고 가스야의 일반문법-일반문법의 정치학 303
2. 근대의 새로운 권력 양식과 언어의 문제-언어와 헤게모니 312
3. ‘국어’의 사상과 언어의 존재론이라는 문제-전체론적 언어상의 형성 320
4. 언어적 근대의 극복을 위하여 329
제5장 등가교환의 의사소통 모델 넘어서기
1. 야콥슨의 의사소통 모형과 근대언어학 341
2. 교환양식과 의사소통이라는 문제 346
3. ‘언어’라는 대상에 선행하는 ‘관점’의 문제 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