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드림즈

한국계 미국인과 로스앤젤레스 폭동
$20.52
SKU
979115905412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Wed 05/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28 - Wed 04/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7/15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59054129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이 책은 한국계 미국인에 대한 초국가적 접근을 통해 1992년의 LA 폭동, 한인 디아스포라 그리고 미국 이데올로기에 대한 재해석을 담고 있다. 저자는 LA 폭동의 배경과 한인 사회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로스앤젤레스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함께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 미국 정착의 배경, 고국과의 관계를 기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폭동 피해자를 비롯한 사회·경제적으로 다양한 계층의 한국계 미국인과의 인터뷰를 통해, 주요 언론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이야기를 함께 기록하였다.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장 로스앤젤레스 폭동, 그리고 한국계 미국인들의 이야기

LA 폭동의 배경과 이해
폭동과 흑백 갈등
한국계 미국인의 사회적 역할

제2장 폭동을 통한 한국계 미국인 이해

폭동에 대한 초국가적 서술
한국의 역사를 통한 이해
디아스포라 논의 I-코리아타운, 한국의 민족주의 그리고 미국적 민족성
디아스포라 논의 II-산산이 부서진 미국의 약속

제3장 디아스포라의 형성-현대성과 사회 이동성

디아스포라 유산
식민시대 이민의 시련, 1900∼1945
해방 이후 I-미군과의 만남
해방 이후 II-물질과 미디어와의 만남
한국의 베트남전쟁 참전
1965년 이후의 이민 I-배경
1965년 이후의 이민 II-계급과 계급의 의미
1970년대와 1980년대-경향과 통계
한국과 미국의 재개념화

제4장 로스앤젤레스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

‘백인’의 로스앤젤레스
경제적 재구성과 계급 분열
로스앤젤레스 사우스 센트럴의 변화
다민족의 코리아타운
계급의식과 민족 연대

제5장 한인들의 기업 활동

한국계 미국인에 대한 고정관념
자수성가한 한인들
한인 사업 활동의 세 가지 원천
로스앤젤레스 사우스 센트럴에서의 한인 사업
한인 상인들과 규정하기 힘든 아메리칸 드림

제6장 시험대에 오른 미국 이데올로기

‘한-흑 갈등’의 구조 아래의 한국계 미국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인종 간 갈등의 구체화
정반대의 특징을 가진 소수민족
한인과 모범 소수민족
도시 최하층계급-비-모범 소수민족
아메리칸 드림-자본주의, 인종, 그리고 지역사회

결론
2차 미디어의 한국계 미국인 프레이밍
LA 폭동 이후
미국 이데올로기에 대한 평결
블루 드림즈 I
블루 드림즈 II

참고문헌
본문 주석
감수자 해설
역자 후기
찾아보기
Author
낸시 에이벨만,존 리,오인규,이주윤
일리노이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캠퍼스 인류학과 교수. 인류학, 아시아계 미국인 연구, 동아시아 언어문화학을 가르쳤다. Blue Dreams(Harvard, 1995), Echoes of the Past, Epics of Dissent(University of California, 1996), The Melodrama of Mobility(University of Hawaii, 2003), South Korean Golden Age Melodrama(Wayne State University, 2005), The Intimate University(Duke, 2009) 등의 저서를 집필했다. 한국학 연구에 크게 공헌한 그녀는 2016년 1월 사망했다.
일리노이대학교 어배너-섐페인 캠퍼스 인류학과 교수. 인류학, 아시아계 미국인 연구, 동아시아 언어문화학을 가르쳤다. Blue Dreams(Harvard, 1995), Echoes of the Past, Epics of Dissent(University of California, 1996), The Melodrama of Mobility(University of Hawaii, 2003), South Korean Golden Age Melodrama(Wayne State University, 2005), The Intimate University(Duke, 2009) 등의 저서를 집필했다. 한국학 연구에 크게 공헌한 그녀는 2016년 1월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