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아편의 시대, 아편쟁이의 시대-현경준의 [유맹]에 대한 몇 가지 고찰
1. 몰락의 풍속
2. 조선인ㆍ아편ㆍ만주
3. 심금心琴의 곡조曲調
4. 신종 아편 ‘왕도낙토’
4장 벙커의 건축학, 외부의 실내장식-이태준의 〈별은 창마다〉에 대한 일고찰
1. 별과 유리창
2. 자살과 놀이
3. 풍경의 정복, 내면의 점령
4. 실내장식의 사회학
5. ‘가외가街外街’의 흰 국화, 결론을 대신하여
5장 박태원의 소설에 대한 몇 가지 주석
1. 아쿠타가와의 ‘벗’ 박태원
2. 수염 난 행인
3. 동경의 고현학, 경성의 경제학
4. 우울한 가정법, 명랑한 전망
3부
1장 〈창조〉와 실연
1. 감옥살이와 소설
2. [운명]의 모델 이일
3. 실연ㆍ동정ㆍ여성혐오
4. 김환의 자연
5. 경찰과 여행자
6. 낙오 의사 이광수, 결론을 대신하여
2장 〈조선문단〉과 이광수
1. 〈창조〉의 타자 이광수
2. 이광수 주재와 〈조선문단〉 동인
3. 신인 추천ㆍ문사 투표ㆍ공개장
4. 이희철과 소
5. 합평회의 의미
6. 창간 일주년 전후의 일들
7. 최서해라는 결론
3장 원한의 화자 이광수
1. 노부꼬의 조선어
2. 여성ㆍ자연ㆍ식민지
3. 조선인 여성과 일본인 남성
4. 소녀의 원한, 그들의 보복
5. 동성애의 기억
4장 전쟁의 산수화-이광수의 근대적 전망과 그 쇄신에 대하여
1. 새 아이의 엑스빛
2. 농민ㆍ민족ㆍ하느님
3. 코닥 카메라와 부처님
4. 무명無明의 진화론
5장 첫사랑의 기억, 혼혈아의 내선일체-이광수와 야마사키 도시오
1. “미스터 리”의 추억
2. 동경ㆍ경성ㆍ나라
3. 두 크리스마스
4. 이보경과 가야마 미츠로
4부
1장 이상, 이십세기의 스포츠맨
1. 형의 죽음, 노옹의 죽음
2. 무브먼트movement와 스포츠sports
3. 체육선생 이상의 스포츠
2장 박제의 조감도-이상의 [날개]에 대한 일고찰
1. 미쓰코시 옥상의 설계도
2. 시각과 촉각의 변증법
3. 환자의 엑스빛
3장 소설가 이상 씨MONSIEUR LICHAN의 글쓰기-[지도의 암실]을 중심으로
1. 근대 주체와 작가
2. 텍스트로서의 사소설
3. 환자의 에크리튀르
4. 찢어진 French Letter
4장 이상의 [一九三一年(作品 第一番)]에 대한 몇 가지 주석
1. 텍스트와 읽기 모드
2. 방정식方程式과 불요불굴不繞不屈
3. 삼차각三次角과 13+1=12
4. 1931년과 12월 12일
색인
간행사
Author
이경훈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광수의 친일문학 연구』(1998), 『어떤 백년, 즐거운 신생』(1999), 『이상, 철천의 수사학』(2000), 『오빠의 탄생』(2003), 『대합실의 추억』(2007) 등을 썼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광수의 친일문학 연구』(1998), 『어떤 백년, 즐거운 신생』(1999), 『이상, 철천의 수사학』(2000), 『오빠의 탄생』(2003), 『대합실의 추억』(2007) 등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