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고고학

$30.24
SKU
979115905117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12/30
Pages/Weight/Size 152*223*30mm
ISBN 9791159051173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국 근대 학문의 기원을 찾아서

근대 계몽기 서구 문명 수용과정에서 전통 학술 용어나 개념은 외래학문을 번역 소개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됐다. 철학도 수용 초기 전통 학술용어에 의지해서만 의미를 전달할 수 있었고 서양 철학에 대한 이해도 전통 사유방식 안에서 이루어졌다. 오늘날과 달리 근대 이전 우리의 지식체계에 ‘철학’이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1900년대 이전 ‘철학’은 보편학이라기보다는 서양의 특수한 학술 가운데 하나로 간주되어 왔고, 한국에서 유교를 철학 즉 근대 분과학문의 하나이자 근대 지식체계의 일환으로서 사유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을 전후해서이다. 『학문의 고고학』(소명출판, 2016)은 바로 그 시기를 조망하고 있다. 서양 철학이 근대 전통 ‘유교’ 사회 속에 어떤 식으로 뿌리를 내리고 발화했는지 한국 근대 철학의 수용 및 형성 과정을 집요하게 추적하고 탐색한다.

Contents
책머리에
서설

제1부_전통 학문의굴절과새로운지식체계의태동
제1장_ 학문 개념의 근대적 변환
1. 인간학과 자연학
2. 전통 학문의 본질-천도와 인도의 일치
3. 격치와 궁리의 방법
4. 학문 개념의 충돌-동도와 서기
5. 구학문과 신학문
6. 학문 개념의 전이-번역과 의미의 균열
7. 개념의 전이와 변용
8. 근대 학문의 영축

제2장_ 신구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체계의 변형
1. ‘언어혁명’과 ‘역사적 시간’
2. 동양의 시간관과 ‘신구’ 관념의 기원
3. 근대 계몽기 ‘신구’ 관념의 의미장
4. 신구 관념의 대립과 교차
5. 유교와 불교의 개신
6. 지나간 미래

제3장_ 한국 근대 ‘철학’ 개념의 역사적 의미론
1. ‘철학’ 이전의 개념군
2. ‘철학’과 전통지식체계
3. ‘철학’과 ‘과학’
4. ‘철학’과 지식체계의 탈구축

제2부_‘철학’ 개념의 수용과 지식체계의 탈구축
제1장_ 번역어 ‘철학’의 경쟁과 언어횡단적 실천
1. ‘철학’의 부침과 비동일성
2. 철학과 리학의 경쟁-『백일신론』, 『철학자휘』
3. 이중어사전의 철학 번역
4. 이정직과 이인재의 서양철학 이해
5. 철학 관련 담론들
6. 학지로서의 철학과 교육제도
7. 철학을 되묻다

제2장_ 양건식의 칸트철학 번역과 선택적 전유
1. 근대의 분기와 경계에 선 지식인
2. 불교운동과 칸트 번역
3. 개념과 담론의 전유
4. 식민지 지성사의 새로운 발견

제3장_ 강인택과 동양 지식체계의 계보화
1. 춘산 강인택
2. 천도교 문화운동과 세계 인식
3. 동양의 위기, 도학의 우위
4. 도학 개념의 변용과 철학사의 재구성
5. 한국 근대 철학의 모색

제4장_ 안확의 ‘조선’ 인식과 ‘조선철학’의 탄생
1. 일제 강점과 조선 연구
2. ‘조선’의 발견과 지식의 재구성
3. 조선철학의 탄생
4. 조선 철학의 근원과 발전
5. 전통과 근대의 간극

제3부_‘도학’?‘도덕’?‘종교’의 굴절과 지식체계의 (불)연속
제1장_근대 전환기 유교 담론과 도학 개념
1. 중국의 부상과 유교
2. 유교의 계보화와 도학
3. 도학의 경쟁과 재조명
4. 흔들리는 개념들
5. 문명과 유교의 도적
6. 역사적 전환과 개념 운동

제2장_수신?윤리교과서와 도덕 개념
1. 비동일성의 동일화
2. 도덕의 기원과 수신의 의미장
3. 도덕교육의 위상과 수신의 의미장 변화
4. 지나간 수신과 도덕의 미래
5. 불완전한 국가와 국민의 기로
6. 도덕 개념의 연속과 단절

제3장_문명론 수용과 종교 담론의 대두
1. 계몽과 구원의 빛
2. 역사인식과 문명론
3. 정치와 종교의 관계
4. 의병선유와 정교관
5. 『성산명경』의 종교 변증
6. 타자의 내면화와 주체의 재구성

제4장_최병헌의 ‘종교’개념 수용과 유교 인식
1. 종교 개념과 기독교 수용
2. ‘종교’ 개념의 역사적 의미론
3. 『만종일련』의 비교종교학적 체계
4. 『성해연원』의 영향과 『만종일련』의 유교 인식
5. ‘종교’ 개념 수용의 의의와 한계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행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