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문학의 기원에 관한 오독_116
1. 모방의 오독_116
2. 문예의 노동기원설 탄생과 논쟁_123
3. “노동이 미를 창조했다”는 미학 관점의 명제가 아니다_131
4. “노동이 인간을 창조했다”는 문학 관점의 명제가 아니다_137
5. 노동은 예술의 기원이 아니다_143
제4장 문학과 문예 개념의 모호성_153
1. 문학과 문예의 역사에 관한 논변_153
2. 20세기 초부터 1920년대까지 문예 개념의 출현과 사용_165
3. 문예의 최초 정의와 연원_179
4. 문예 함의의 혼용과 문예학의 문제_186
제5장 문학윤리학비평의 도덕전통_209
1. 문학윤리학비평과 문학윤리학_209
2. 문학비평의 도덕책임_214
3. 문학윤리학비평의 도덕전통_220
4.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학비평_227
5. 중세의 문학비평_236
6. 문예부흥부터 18세기까지의 문학비평_241
7. 19세기 이래 문학비평_251
제6장 문학윤리학비평과 도덕비평_257
1. 고대 그리스의 윤리문학_257
2.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학비평_262
3. 정전 문학의 사례 분석_270
제7장 문학정전의 독서, 해석, 가치의 발견_283
1. 문학정전에 관하여_283
2. 문학정전이 왜 필요한가?_288
3. 문학의 정전화 과정_290
4. 문학정전의 가치 발견_295
제8장 서양문학의 윤리비평: 발전과 변천_307
1. 문학윤리학비평의 서양 기원_307
2. 문학윤리학의 두 가지 경향_312
3. 문학윤리학연구에서 문학의 윤리비평으로_316
4. 포스너와 부스의 논쟁_320
제9장 중국에서 문학윤리학비평의 전파와 수용, 융성_326
1. 중국에서 문학윤리학비평의 전파_326
2. 중국에서 문학윤리학비평의 수용_331
3. 중국에서 문학윤리학비평의 발흥_336
4. 중국에서 문학윤리학비평의 연구 활용_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