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한국 사회에서는 가족의 급격한 변화와 대응책에 대한 많은 사회적, 정책적 담론이 확산되어왔다.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 결혼 감소, 이혼 증가, 맞벌이 가구 증가로 인한 성별 분업의 균열, 일·가족의 제도적 갈등, 사회적 양극화로 인한 가족 간 불평등 심화 등은 지금까지 당연하고 익숙했던 핵가족이 제도적 위기에 처했음을 말해준다. 미래 가족에 대한 불안과 우려가 증폭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 책은 후기산업사회, 즉 대략 1990년대부터 2020년대 현재까지 한국 가족의 변화를 여성, 젠더, 그리고 불평등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저자는 산업화 이후 한국 가족의 변화를 부계 가족주의와 핵가족이 결합한 ‘신가족주의’에서 개인화와 가족주의가 공존하는 ‘포스트가부장제’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한국 가족의 급격한 외형적, 내용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젠더 질서의 갈등이 발생하고, 가족주의적 요소가 지속되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저자는 ‘가부장제’를 넘어서는 미래 가족의 모습에 대해서도 전망과 제안을 제시한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21세기 한국 가족에 대해 어떤 질문이 적절하며 무엇을 문제로 볼 것인가, 또 대안은 어떠해야 하며, 미래의 가족은 어떤 모습(들)이어야 할까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프롤로그 한국 가족, 어디로 가고 있나?
1장 후기산업사회 가족과 젠더
1. 가족에 관한 기존 논의
2. 가족 변화와 젠더 구조
2장 가족 구성의 탈표준화
1. 가족의 구조적 변화
2. 가족 형성의 다양한 경로
3. 표준적 생애과정의 변화
3장 결혼의 변화와 지속
1. 근대 결혼의 쇠퇴: 이론적 설명
2. 통계로 본 결혼 동향
3. 결혼 규범과 인식의 변화
4. 갈등적 실천: 제도적 실리와 문화적 이상
4장 결혼 시장: 불평등의 재생산
1. 낭만적 결혼의 시장 논리
2. 결혼 시장과 계층
3. 계층화된 결혼의 의미: 20~30대 여성의 사례
5장 젠더 질서의 균열과 갈등
1. 일하는 아내·어머니
2. 일·가족 갈등: 성평등과 가부장적 현실
3. 젠더 협상 : 열망과 현실 사이에서
4. 가족과 노동의 경계를 넘어서
6장 여성의 노동 경로와 가족: 젠더·계층
1. 기혼 여성 노동과 계층
2. 여성 노동 생애 경로의 유형
3. 도덕적 딜레마: 이상적 노동자와 좋은 어머니
에필로그 가부장제 이후를 상상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재경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여성학회 회장, 한국가족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2003), 『여성학』(공저, 2007), 『국가와 젠더: 성 주류화의 이론과 실천』(공저, 2010), 『여성주의 역사쓰기: 구술사 연구방법』(공저, 2012), 『‘조국 근대화’의 젠더정치: 가족·노동·섹슈얼리티』(공저, 2015) 등이 있으며, 한국 가족과 여성 정책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한국여성학회 회장, 한국가족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가족의 이름으로: 한국 근대가족과 페미니즘』(2003), 『여성학』(공저, 2007), 『국가와 젠더: 성 주류화의 이론과 실천』(공저, 2010), 『여성주의 역사쓰기: 구술사 연구방법』(공저, 2012), 『‘조국 근대화’의 젠더정치: 가족·노동·섹슈얼리티』(공저, 2015) 등이 있으며, 한국 가족과 여성 정책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