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불통사회

위험과 과학의 민주화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접근
$38.35
SKU
979115890442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03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58904425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학
Description
위험 문제 해결은 시민의 힘을 필요로 한다.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19라는 거대한 위험 상황에 직면했고, 거의 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이 전대미문의 팬데믹 상황과 싸우고 있다. 비단 코로나19뿐만이 아니다. 점점 실감나기 시작하는 기후 변화 위기, 미세먼지 문제,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해마다 반복되는 각종 안전사고 등 그야말로 위험 전성시대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위험 문제를 처리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늘 사회적인 갈등과 불통이 계속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위험에 대한 불통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위험을 대하는 가부장적인 태도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위험 문제는 정부나 전문가의 손에 맡기고, 나는 그들이 하는 말을 잘 듣기만 하면 된다는 태도가 우리 사회의 위험 문제를 키우고, 위험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든다.

위험에 대한 불통은 위험 의사결정에서 전문가에게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향뿐 아니라, 위험 인식에서 주관성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맥락을 무시하는 행위, 위험 문제에서 공중의 참여가 필요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사고 등이 광범위하게 작용한 결과이다. 여기에 더해서 위험 문제가 점점 더 상업화되면서 개인적으로 위험 문제를 해결할 것을 설득하는 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위험을 사회적인 문제로 보지 않고 개인적인 문제로 치환하는 과정에서 위험은 단지 상품화의 문제로 전락한다.

이 책은 위험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의 위험 관련 논의에서 어떤 점들이 잘못되었는가를 주제별로 나누어 지적한다. 위험 인식의 주관성, 위험 문제의 사회적 확산성, 과도한 전문가 의존의 문제, 위험 메시지 효과의 자의적 특성, 위험 수치 표현의 문제점, 위험의 불확실성과 재귀성, 위험의 상업적 이용의 문제, 위험을 다루는 언론의 문제, 위험을 이용하는 정치 세력의 문제 등이 총 10개의 장에서 검토된다. 저자는 이런 문제점들을 다양한 학술적, 실증적 근거를 들어 세밀하게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위험 주체들이 각자의 이기심을 극복하고 한데 마음을 모아 위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그 방법론에 대해 논의한다. 저자는 특히 정부나 전문가 집단이 위계적인 커뮤니케이션에서 벗어나, 시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긴밀히 협력하는 것이 오늘날 위험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과정임을 강조한다. 독자들도 이 책을 통해 위험 문제가 나와 동떨어진 정부나 전문가, 언론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이고, 같이 힘을 합해 해결해야 할 우리의 일임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위험은 이기적으로 구성된다
1장 위험은 주관적으로 인식된다
2장 위험은 사회적으로 확산된다
3장 위험은 커뮤니케이션 문제이다
4장 위험에 대한 전문가 의존은 허구이고 과학도 민주화가 필요하다
5장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 효과는 자의적이다
6장 위험 수치 표현이 위험에 대한 오해를 부른다
7장 위험은 불확실하며 위험을 막으려는 행위가 오히려 위험으로 되돌아온다
8장 위험은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9장 위험은 대부분 언론에서 시작되고 증폭된다
10장 위험은 정치 성향으로 윤색된다
에필로그 위험은 시민의 힘을 필요로 한다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김영욱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석ㆍ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 협상연구소 풀브라이트교환교수, 벨기에 겐트대, 싱가포르 난양공대, 태국 출라롱콘대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단독 저서로 『위기관리의 이해』,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위험 커뮤니케이션』, 『갈등 해소와 대체적 분쟁 해결』 등이 있다. 또한 『한국사회의 소통 위기』 외 다수의 국내외 공저 및 번역서가 있고, 150여 편 이상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현재는 환경, 보건, 과학, 위기, 재난 분야의 광범위한 위험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기후변화, 수소충전소, 암예방, 금연 등 위험 이슈와 관련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컨설팅을 진행해왔다. 현재 한국언론학회 과학보건환경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회장, 환경정의 집행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장, 국가기후환경회의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ㆍ미디어학부 교수다.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석ㆍ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일리노이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 협상연구소 풀브라이트교환교수, 벨기에 겐트대, 싱가포르 난양공대, 태국 출라롱콘대 방문교수를 역임했다. 단독 저서로 『위기관리의 이해』,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위험 커뮤니케이션』, 『갈등 해소와 대체적 분쟁 해결』 등이 있다. 또한 『한국사회의 소통 위기』 외 다수의 국내외 공저 및 번역서가 있고, 150여 편 이상의 연구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현재는 환경, 보건, 과학, 위기, 재난 분야의 광범위한 위험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미세먼지, 기후변화, 수소충전소, 암예방, 금연 등 위험 이슈와 관련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컨설팅을 진행해왔다. 현재 한국언론학회 과학보건환경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회장, 환경정의 집행위원 등을 맡고 있으며,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장, 국가기후환경회의 전문위원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