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철학: 그 주제적 지형도』는 대학에서 30년 넘게 언어철학, 심리철학, 형이상학을 가르치고 연구해온 저자의 오랜 탐구의 결과로서, 동시대 활동하는 거의 모든 한국 철학자의 성취를 총망라한 최초의 시도이다.
‘철학’이라는 이름의 학문은 1920년대 국내에 처음 유입되면서 기존의 것은 동양 철학으로, 새로 도입된 것은 서양 철학으로 분류되었는데, 양쪽 모두 기존의 중요 철학자 위주로 해석하는 것이 주된 학풍이었다. 이에 저자는 ‘철학하기’란 무엇이며 한국의 현대 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이고 유의미한 질문을 던진다. 천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책에는 현재 활동하는 500여 명의 한국 철학자들의 저서와 그들의 연구에 대한 애정 어린 점검이 담겼다. 40여 명의 철학자를 동시대 철학자들의 사유가 지닌 당대성과 논변성에 주목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고, 460여 명의 철학자들을 그 주제를 가능하게 한 배경, 또는 앞으로 발전 가능하게 하는 전망의 문맥에서 소개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한국 현대 철학, 그 주제적 지형도
1장 한국 현대 철학 서설
1. 한국적 공간
2. 현대성: 주체의 새로운 자율성
3. 철학성: 주체의 개념적 사유
4. 책의 과제
실천 철학
1부 인간: 연대성
2장 인간 조건: 고통
1. 고통과 인간
2. 손봉호의 고통 철학
3. 함석헌의 씨알 민중론
4. 허라금의 여성주의
3장 인간 정체성: 사건과 몸
1. 인간 이해의 기초
2. 이기상의 사건적 존재
3. 김선희의 신체적 인격
4. 인간 이해의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