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철학

그 주제적 지형도
$48.44
SKU
979115890168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7/13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91158901684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국 현대 철학: 그 주제적 지형도』는 대학에서 30년 넘게 언어철학, 심리철학, 형이상학을 가르치고 연구해온 저자의 오랜 탐구의 결과로서, 동시대 활동하는 거의 모든 한국 철학자의 성취를 총망라한 최초의 시도이다.

‘철학’이라는 이름의 학문은 1920년대 국내에 처음 유입되면서 기존의 것은 동양 철학으로, 새로 도입된 것은 서양 철학으로 분류되었는데, 양쪽 모두 기존의 중요 철학자 위주로 해석하는 것이 주된 학풍이었다. 이에 저자는 ‘철학하기’란 무엇이며 한국의 현대 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에 대한 본질적이고 유의미한 질문을 던진다. 천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책에는 현재 활동하는 500여 명의 한국 철학자들의 저서와 그들의 연구에 대한 애정 어린 점검이 담겼다. 40여 명의 철학자를 동시대 철학자들의 사유가 지닌 당대성과 논변성에 주목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고, 460여 명의 철학자들을 그 주제를 가능하게 한 배경, 또는 앞으로 발전 가능하게 하는 전망의 문맥에서 소개했다.
Contents
들어가는 말: 한국 현대 철학, 그 주제적 지형도

1장 한국 현대 철학 서설
1. 한국적 공간
2. 현대성: 주체의 새로운 자율성
3. 철학성: 주체의 개념적 사유
4. 책의 과제

실천 철학

1부 인간: 연대성


2장 인간 조건: 고통
1. 고통과 인간
2. 손봉호의 고통 철학
3. 함석헌의 씨알 민중론
4. 허라금의 여성주의

3장 인간 정체성: 사건과 몸
1. 인간 이해의 기초
2. 이기상의 사건적 존재
3. 김선희의 신체적 인격
4. 인간 이해의 전망

4장 철학으로서의 인문학
1. 인문학 논의의 과제
2. 강영안의 주체 인문학
3. 김상환의 내월 인문학
4. 인문학의 미래

5장 유학의 현대성
1. 유학 현대성의 과제
2. 한형조의 최소 유학
3. 이승환의 격물궁리 철학
4. 유학의 구체적 현대성

2부 윤리: 사회성

6장 인간 규범: 정의와 법
1. 윤리 언어와 윤리 내용
2. 황경식의 통합 윤리
3. 박은정의 인간학으로서의 법학
4. 인간 규범의 전망

7장 민주화 철학·산업화 철학
1. 민주화·산업화 갈등
2. 윤평중의 산업화 철학: 자유 인간론
3. 김상봉의 민주화 철학: 슬픔 인간론
4. 민주화·산업화 양립

8장 한반도 분단: 공존 언어의 문법
1. 한반도 분단의 언어
2. 송두율의 경계인 언어
3. 백낙청의 분단 체제
4. 남북 1단계 연합

9장 생태와 기술
1. 배경: 생태와 기술
2. 한면희의 생태 철학: 인도적 생태주의
3. 홍성욱의 기술 철학: 소통적 행위자 연결망 이론
4. 전망: 생태와 기술

3부 문화: 인간이 만드는 세계

10장 문화와 철학
1. 문화·자연·언어
2. 이종관의 현상학적 문화론
3. 이진우의 정치적 문화론
4. 철학 문화·한국 문화

11장 역사의 이해
1. 시간과 역사
2. 이한구의 역사 실재론
3. 김기봉의 역사 구성론
4. 역사와 이야기

12장 문학과 철학
1. 문학과 철학의 배경
2. 철학 문학: 정현종·김애란·이주향
3. 문학 철학: 김현
4. 문학과 철학의 전망

13장 예술: 구체적 보편성
1. 예술 철학의 배경
2. 박이문의 양상 예술 철학
3. 오종환의 현대 미학
4. 예술 철학의 전망

이론 철학

4부 언어: 공동체적 실재성


14장 언어: 의미와 소통
1. 언어적 전회
2. 일상 언어 철학
3. 소통 행위 철학
4. 언어 전회의 확장

15장 지식과 과학
1. 지식론의 과제
2. 김기현의 지식 자연화
3. 장회익의 과학적 지식
4. 지식의 규범성과 자연성

16장 이성과 합리성
1. 이성 논의의 역사적 배경
2. 김우창의 심미적 이성
3. 남경희의 정치적 이성
4. 이성 논의의 전망

17장 철학사의 철학성
1. 철학사와 철학
2. 백종현 칸트의 철학성
3. 이남인 후설의 철학성
4. 철학사 이해의 방향

5부 존재: 그래도 이것을

18장 실재: 물리주의와 보편주의
1. 실재: 이론과 인과
2. 김재권의 환원적 물리주의
3. 이좌용의 보편자 실재론
4. 물리주의와 자연주의

19장 직관 논리와 수리 철학
1. 논리의 의미
2. 정인교의 직관주의 논리
3. 김준걸의 부사적 수리 철학
4. 인식적 논리

20장 양상 철학: 필연과 반사실
1. 양상 철학의 배경
2. 최성호의 성향 철학
3. 선우환의 양상 철학
4. 철학의 양상적 전회

21장 비우는 마음·헤아리는 마음
1. 마음 문제
2. 한자경의 불교 철학: 비우는 마음
3. 김영정의 인지 철학: 헤아리는 마음
4. 깨달음과 자기 지식

나오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정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