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으로 읽는 북간도 독립운동 이야기

$21.60
SKU
979115877365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1/30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5877365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북간도 독립운동과 교회의 역사. 홍범도 장군에 대한 정치권의 논란이 그동안 우리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북간도를 다시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때마침 쉽게 풀 수 없는 매듭이 꼬여 있는 것 같은 우리 근현대사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책이 나왔다. 이옥희의 『뜻으로 읽는 북간도 독립운동 이야기』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북간도 독립운동과 교회의 역사를 정면에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북간도 독립운동이 가진 뜻을 생생히 바라보고 기억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오늘의 독립운동이요, 북간도의 십자가를 계승하는 신앙을 북돋우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Contents
축사 _ 이원택
추천사 _ 조태영
작가의 글
헌사

1. 북관 조선인들의 대탈출

1869년, 기사년이 조선족 역사의 시작이다 | 간도에도 치열한 교육주도권 쟁탈이 있었네

2. 1919년 용정 3·13만세시위와 북간도 무장독립투쟁

용정 3·13만세시위를 일으킨 조선인디아스포라와 순국열사들 | 실패한 거사 철혈광복단의 15만원탈취사건 | 신민단, 도독부, 간도국민회, 대한독립단의 봉오동전투 | 청산리전투를 알면 궁금증이 생긴다 | 홍범도의 연합부대는 왜 청산리로 갔을까? | 1920년 간도대토벌과 경신대학살 참상

3. 숨겨진 무명의 지도자들

안중근 의사의 배후 지도자, 항일투사 김치보 연보 | 캐나다장로회선교부 파송 북간도 선교 개척자 김계안 조사 | 북간도 독립운동가 구춘선, 황병길, 이동춘의 연보와 공통점 | 자이니치 시무(時務)의 역사학자 강덕상 스토리

4. 캐나다장로회 교회와 북간도 독립운동

북간도 독립운동을 추동한 캐나다장로회 교회들과 설립자들 | 불령선인(不逞鮮人)의 책원지 장암동교회 | 조선독립운동을 지원한 용정 제창병원
Author
이옥희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파송, 남인도교단 에큐메니칼 코워커 및 실맛신학교 코디네이터로 24년째 달리트와 아디바시를 섬기고 있다. 인도 데칸고원 작은 마을에 에이즈고아원, <샨띠홈>을 설립하였으며, <믿음의 집>과 <뿌렘담고아원>, 네팔 <엔젤스홈>도 함께 돌보고 있다. 또한 <희망공동체>를 세워 교회와 교회학교, 어린이집과 공부방, 점심 나눔과 도시락 배달 등의 일을 하고 있다.

현재 남인도교단 에큐메니칼 코워커, 실맛신학교 코디네이터, 비전아시아 이사, 전주 YMCA 이사 및 평화와 통일을 위한 YMCA 만인회 공동대표이다.

[월간 아동문학]과 [계간 크리스챤문학]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시집 『비아돌로로사』, 『1894년 조선의 고통에 응답하다』, 『양식을 위한 기도』, 『나그네는 믿음으로 떠난다』와 수필집 『선교사는 거지다』, 『사랑만이 가슴에 남는다』의 저자이다.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파송, 남인도교단 에큐메니칼 코워커 및 실맛신학교 코디네이터로 24년째 달리트와 아디바시를 섬기고 있다. 인도 데칸고원 작은 마을에 에이즈고아원, <샨띠홈>을 설립하였으며, <믿음의 집>과 <뿌렘담고아원>, 네팔 <엔젤스홈>도 함께 돌보고 있다. 또한 <희망공동체>를 세워 교회와 교회학교, 어린이집과 공부방, 점심 나눔과 도시락 배달 등의 일을 하고 있다.

현재 남인도교단 에큐메니칼 코워커, 실맛신학교 코디네이터, 비전아시아 이사, 전주 YMCA 이사 및 평화와 통일을 위한 YMCA 만인회 공동대표이다.

[월간 아동문학]과 [계간 크리스챤문학]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하였다. 시집 『비아돌로로사』, 『1894년 조선의 고통에 응답하다』, 『양식을 위한 기도』, 『나그네는 믿음으로 떠난다』와 수필집 『선교사는 거지다』, 『사랑만이 가슴에 남는다』의 저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