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정신과 분야 20년 연구의 결정판
“회복탄력성은 부모가 만들어 줄 수 있는
최고의 정신적 재산이다!”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가 발견한
삶의 파도를 유연하게 넘는 아이들의 비밀
소아정신과 의사는 각종 이유로 좌절하고 실망해 마음을 다치고 그 상처를 혼자 힘으로 치유하지 못한 채 악화된 아이들을 많이 접한다. 그리고 동시에 치료 과정을 통해 아이의 생각과 감정, 자기상과 세계관, 태도와 행동이 서서히 변하면서 상처가 치유되고, 아이 스스로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모습을 눈앞에서 관찰하게 된다. 저자 최미지 원장은 아이들이 마음을 다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나아지는 과정에서 보이는 변화와 치유에 도움이 되는 조건은 공통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위기와 역경에서 일어나는 아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결정적 조건에 대해 직접 관찰하고 연구한 결과를 한 권의 책으로 정리했다.
이 책의 장점은 아이에게 회복탄력성을 키워주려면 ‘정서적 자원’과 ‘인지적 자원’이라는 두 기둥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이것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생생한 사례와 함께 나이별, 상황별, 기질별로 쉽고 구체적으로 알려준다는 점이다. 이 두 기둥이 모두 필요한 이유는 ‘정서적 자원’만 있으면 아이가 안정적이고 긍정적이나 현실에 안주할 가능성이 높고, ‘인지적 자원’만 있으면 성공할 수 있으나 불안하고 행복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어릴 때 반드시 이 두 기둥이 함께 구축되어야 좌절을 딛고 일어서서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아이는 성장하면서 크고 작은 파도를 만나게 될 것이다. 수많은 파도를 유연하게 넘고, 원하는 것을 끝까지 해낼 수 있게 만들어주는 회복탄력성은 부모가 아이에게 남겨줄 수 있는 최고의 정신적 재산이다. 이 재산은 한번 만들어지면 아이 안에 영원히 간직되는 것으로 어느 누구도 뺏어갈 수 없는 보물이다. 이 책을 통해 아이에게 회복탄력성을 길러주는 핵심 방법들을 배우고 일상에 적용해보자. 아이의 마음속에 깊이 뿌리 내린 회복탄력성은 인생에서 그 어떤 어려움도 헤쳐 나갈 수 있는 힘이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한눈에 보는 회복탄력성 로드맵
Step 1 뇌과학으로 이해하는 회복탄력성의 비밀
Chapter 1 긍정화의 함정
긍정적으로 생각하려고 노력할수록 회복은 느려질 수 있다 | 나의 고통이 남 의 고통보다 크게 느껴지는 이유 | ‘감정소화력’이란?
Chapter 2 우리 몸과 마음의 자기조절 리듬
생존 모드 vs. 이완 모드 | 전학 간 아이의 생존 모드와 이완 모드 | 아동기에 회복탄력성을 길러야 하는 이유
Chapter 3 부정적 감정 소화하기
감정소화 레시피 | 부정적 감정을 소화하는 과정
Chapter 4 로드맵으로 보는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의 두 기둥: 정서와 인지 | 정서 기둥: 따뜻한 기억의 힘 | 인지 기 둥: 도전과 실패에서 찾는 아이의 자존감
Step 2 아이의 ‘감정조절력’을 결정하는 정서적 자원 만들기
Chapter 5 안정된 애착과 신뢰를 만드는 9가지 방법
무조건적인 사랑과 신뢰의 중요성 | 애착 위기 극복하기 | 80퍼센트 일관성 원칙 | 부모가 감정조절에 실패하는 이유 | 적절한 제한과 훈육은 아이에게 안 전한 느낌을 준다 | 훈육에 관한 오해 | 언제 받아주고 언제 끊을까? | 아이의 발달 시기별 제한 요령 | 화풀이로 아이를 처벌하지 마라
Chapter 6 마음속 안전기지가 감정조절력을 만든다
안아주는 부모란? | 아이의 발달 시기별 지지와 수용
Chapter 7 아이의 감정소화력을 키워주려면
아이를 관찰하고 반응해주기 | 내적 탐색 질문으로 감정대화하기 | 기꺼이 관 여하고 기다리기
Step 3 아이의 ‘인내와 끈기’를 기르는 인지적 자원 만들기
Chapter 8 인지적 유연함이 문제를 해결한다
소크라테스식 문답 | 아이 질문에 성의껏 답하기 | 메타인지 연습 | 경험을 통 해 다양한 맥락 만들어주기
Chapter 9 무엇이든 끝까지 해내게 하는 힘
아이 마음에 불을 지피는 가치 찾기 | 원하는 삶으로 가는 지름길 | 작은 성공 경험의 가치
Step 4 아이 기질별 회복탄력성 키우기
Chapter 10 흥미추구형
끈기 있게 성취하게 하려면 | 다른 아이는 다 하는데 우리 아이만 못한다면 | 사 회성을 길러주려면 | 공감력을 키워주려면
Chapter 11 위험회피형
새로운 시도를 불안해한다면 | 실수나 실패를 곱씹는다면 |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면 | 거절을 두려워한다면
Chapter 12 낙관주의형
실망하지 않는다면 | 능력에 비해 성취 수준이 낮다면 | 너무 순진하다면
Chapter 13 관계중심형
친구에게 휩쓸린다면 | 갈등을 피하려고 한다면
Chapter 14 경직형
새로운 것을 거부하고 회피한다면 | 인지적 유연성이 낮다면
Author
최미지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두 아들의 엄마이다. 한림대 의대를 졸업하고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에서 공중보건학 석사(Master of Public Health)를 마쳤다. 현재 ‘더마음의원’을 운영하면서 마음을 다친 아이들이 멋지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것을 삶의 큰 낙으로 삼고 있다.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두 아들의 엄마이다. 한림대 의대를 졸업하고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에서 공중보건학 석사(Master of Public Health)를 마쳤다. 현재 ‘더마음의원’을 운영하면서 마음을 다친 아이들이 멋지게 성장하는 모습을 보는 것을 삶의 큰 낙으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