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韓流, The Korean Wave)’라는 이름의 한국 대중문화의 열풍은 1990년대 말부터 중국과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일기 시작했다. 오늘날 지구상 6개 대륙 가운데 어느 한 곳도 한류의 물길이 닿지 않은 곳이 없다. 지역적 확대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다양화 즉 영화·방송·음악·공연·게임·만화·패션·뷰티·음식·광고·관광 등 소비문화와 오락문화의 거의 전 영역에 걸쳐서 한류‘산업’이 세계화하고 있다. 이렇듯 한류는 20여 년의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오늘날 한류가 세계 곳곳으로 뻗어나간 만큼이나 역류(逆流)에도 부딪히고 있다. 한류가 각 나라의 문화, 민족 감정, 정부 정책 등과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한류의 수용과 거부의 사유와 정도는 국가마다 다르다. 한류가 세계문화의 하나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이러한 역류의 본질이 무엇인지, 그 흐름을 되돌리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이 책은 이와 같은 목적과 배경 그리고 문제의식하에 혐한류(嫌韓流) 형태의 역류가 극성기에 달한 일본, 역류가 ‘반감’과 ‘저항’이라는 정서적 차원의 반발을 넘어서 ‘한한령(限韓令)’의 제도적인 제약까지 내포하게 된 중국, ‘문화 코드의 상이성’으로 한류 정체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독일,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케이팝(K-pop)의 탈영토적 지구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영국 등을 중심으로 비교연구를 하고, 나아가 대한민국 외교 정책 속의 문화외교와 한류외교를 살폈다. 이를 통해 한류 재구성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안을 모색했다. 이 책의 발간은 한류와 역류의 제반 현상을 이해하고 한류 연구의 체계를 구축해나가는 또 다른 계기가 될 것이다.
Contents
문화의 글로컬라이제이션과 한류_김은기
1. 서론
2. 문화적 세계화
3. 한류의 등장
4. 한류의 소프트파워: 공공외교 자산
5. 일본과 중국의 소프트파워
6. 결론
일본의 한류와 혐한_조진구
1. 서론
2. 전후 한·일관계 전사(前史): 해방에서 국교정상화, 단절과 원형의 형성
3. 갈등과 협력의 한·일관계
4. 정체성과 내셔널리즘의 정치학
5. 결론
중국 반한류의 성격과 정치경제적 파장_김두진·조진구
1. 서론
2. 중국의 한류와 반한류
3. 중국의 한한령과 한·중관계의 정치경제
4. 결론
영국 내 케이팝의 위상: 코리안 인베이전의 가능성_김두진
1. 서론
2. 한류의 혼종화 이후 케이팝의 문화제국주의 지향성
3. 비틀즈 음악의 브리티시 인베이전과 영국 내 위상
4. 〈강남스타일〉의 월경(越境)과 신한류 전환기의 위상
5. 코리안 인베이전의 가능성과 한계
6. 결론
독일 미디어에 비친 한류: 대중문화 콘텐츠로서의 문제점과 가능성_이군호
1. 서론: 비(非)한류지역, 독일
2. 기존 연구 상황과 문제의 지평
3. 독일 미디어 분석: 긍정과 부정, 열광과 비판
4. 문화코드의 상이성
5. 문화혼종성의 가능성
6. 결론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캐나다 알버타대학교 사회학 학사, 토론토대학교 사회학 석사 및 박사 졸업. 현재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주요 논저로는 Korean Culture: Confucianism, Shamanism and Other Habits of the Heart(2022년 출간 예정), 『한류(韓流)와 역류(逆流): 문화외교의 가능성과 한계』(공저, 2020), “Minjung Theology in Contemporary Korea: Liberation Theology and a Reconsideration of Secularization Theory.” [Religions Vol.9, No.12(2018)] 등이 있음.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캐나다 알버타대학교 사회학 학사, 토론토대학교 사회학 석사 및 박사 졸업. 현재 고려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주요 논저로는 Korean Culture: Confucianism, Shamanism and Other Habits of the Heart(2022년 출간 예정), 『한류(韓流)와 역류(逆流): 문화외교의 가능성과 한계』(공저, 2020), “Minjung Theology in Contemporary Korea: Liberation Theology and a Reconsideration of Secularization Theory.” [Religions Vol.9, No.12(2018)]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