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에는 강(江)과 산(山)이 없다. 强(강), 力(력), 間(간), 犬(견), 客(객)도 없다. 한자 입문 교재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천자문에는 기초 한자 가운데 빠진 글자가 의외로 많다. 이 책은 누구나 알지만 잘 알지는 못하는 오래된 고전 천자문에 얽힌 이야기를 전한다. 한자 학습서로, 서체 교본으로 널리 사용된 천자문이라는 책의 역사, 천자문을 보완하고자 만들어졌으나 천자문을 넘어서지 못한 교재들, 천자문에 담긴 글자와 문화지식, 왕실에서 만든 천자문의 아름다움과 쓰임 등 우리 생활문화 깊숙이 자리하고 있던 천자문의 다양한 흔적들을 이 책에서 만나볼 수 있다.
Contents
1. 천자문의 문화/ 손희하
2. 일천 자를 넘어 이천 자 학습서/ 옥영정
3. 내가 읽은 『천자문』/ 김건곤
4. 초학서 『천자문』 학습에 얽힌 이야기/ 신익철
5. 천자문으로 배우는 역사 인물/ 조융희
6. 돌잡이에서 『천자문』을 쥔 아이의 출세 이야기/ 주영하
7. 왕실에서 만든 『천자문』/ 박용만
8. 천자문으로 시작하는 왕세자 교육/ 육수화
9. 왕실 천자문에 보이는 특이한 훈/ 황문환,박부자
10. 천자문에 남아 있는 사라진 우리말/ 이현주
참고문헌
Author
황문환,옥영정,김건곤,신익철,조융희,주영하,박용만,육수화,박부자,이현주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후,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하였고,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이다. 대표 논저로는『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태학사, 2002), 『역주 오륜행식도』(서울대출판부, 2006) 등이 있다.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후,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선임연구원 역임하였고, 현재는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교수이다. 대표 논저로는『16, 17세기 언간의 상대경어법』(태학사, 2002), 『역주 오륜행식도』(서울대출판부, 2006)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