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은 세계 각국에서 백신접종이 시작되어 집단면역이 형성되면 해소될 것이고, 그 이후 글로벌 항공시장은 2023년말 7,400억 달러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Forecast Int’l은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항공산업 시장은 민항기와 UAM(Urban Air Mobility/도심항공교통), MRO 시장을 중심으로 2030년도 약 9,462억 달러로 성장이 전망되고 있어 우리나라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한다면 다시 한번 도약 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위성 시대는 우주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다. 영상, 날씨 예측, 과학, 탐사 등으로 인공위성의 사용 목적이 다양해지고, 분야별로 수요가 고도화되고 있다. 상업적 비즈니스 모델도 확산되고 있다. 특히 6G 세상은 자율주행과 도심 항공 모빌리티 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선도하며 미래 성장을 이끌 전망이다. 우주산업의 시장 규모는 2040년 1조 1000억 달러(약 1,286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우주산업은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민간 업체들이 진입 가능한 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우리는 한·미 미사일지침 해제와 누리호 발사 등 우주산업 발전의 호기를 맞았다. 우리 정부도 우주개발 예산을 확대하고 민간의 혁신을 우주산업에 활용하기 위한 제도 마련과 환경 개선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항공우주산업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분석 정보자료를 토대를 정리하여 「항공우주산업 정책/기술개발 분석 -무인항공/인공위성/발사체/폐기물」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항공우주산업 분야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무인항공/인공위성/발사체/폐기물 산업의 기술 및 시장 전망과 생산사례, 산업 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Contents
제Ⅰ편 항공산업 동향
제1장 항공산업 정책 기술개발 현황
1. 항공산업 주요 현황 및 정책 분석
1) 항공산업의 특징 및 현황
(1) 항공산업의 특징
(2) 글로벌 이슈 및 항공산업 동향
가. 주요 글로벌 이슈
나. 시장 현황 및 전망
다. 공급사슬 동향
라. 기술 동향
2) 항공산업 정책전략 및 주요국 지원 현황
(1) 항공산업 지원 및 재도약 방안
가. 고용·금융·사업 지원
나. 항공사별 맞춤형 정책지원
다. 운항 등 일상 회복 지원
라. 글로벌 수준의 제도 개선
마. 중장기 경쟁력 강화
바. 기대효과 및 당부
(2) 글로벌 항공산업 주요국 지원 현황
3) 항공산업의 최근 동향과 전망
(1) 항공산업의 성과와 위기
(2) 항공산업 육성 정책
(3) 완제기 개발 의의
(4) 확실한 미래 新성장산업
4) 항공산업의 혁신 및 성장 사례 분석
(1) 항공산업의 혁신성장 정의
(2) 항공산업 내 혁신 사례
가. 저비용항공사(LCC, Low-Cost Carrier)
나. 기술 혁신
⒜ 콩코드 비행기
⒝ 차세대 고효율 항공기
⒞ VTOL 개발
(3) 분석결과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2. 항공산업 발전과 추진전략
1) 국내 항공산업 현황
(1) 발전 과정
(2) 수급 현황
(3) 항공우주산업체 현황
(4) 코로나-19 국내 영향 분석
(5) 인력 및 기술력
2) 국내 항공산업 분석 및 시사점
(1) 항공산업 SWOT 분석
(2) 시사점 및 추진방향
가. 당면 현황 및 시사점
나. 추진 방향
3) 항공산업 비전 및 추진전략
(1) 산업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 인프라 강화
가. 코로나19 위기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제도 마련
나. 산업발전을 위한 법령 및 연관 제도 개선
⒜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 개정
⒝ 연관 제도 개선
⒞ 절충교역 활용 확대
다. 산업 생태계 경쟁력 제고 및 인프라 조성 지원
⒜ 항공산업 현장 밀착지원 및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프라 강화
⒝ 고용 선순환 구조 마련을 위한 분야별 전문인력 양성
라. 범부처 협력을 통한 항공산업 발전 추진정책 극대화
⒜ 국내 수요확대 및 수출 활성화를 위한 범부처 협의체 기능 강화
⒝ 군 완제기 개발과 연계한 항공산업 육성
(2) (기존항공) 시장 경쟁력 강화 및 부품산업 고도화
가. 완제기 경쟁력 제고로 시장 확대 지원
⒜ 수출용 완제기 경쟁력 강화 및 구성품 국산화
⒝ 전기/수소연료 추진 핵심기술 확보로 친환경 항공기 산업 육성
나. 핵심부품 경쟁력 확보를 통한 부품산업 고도화 지원
⒜ 국제공동개발(RSP) 참여 체계구축으로 부품산업 고도화
⒝ 스마트 캐빈 등 차별화된 항공전자 분야 진출
⒞ 생산/품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 메뉴팩쳐링 구축
다. 글로벌 고부가 MRO 분야 경쟁력 강화
(3) (미래항공) UAM/AAM 생태계 조성 및 산업융합 촉진
가. UAM/AAM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관련 부품산업 육성
⒜ UAM/AAM 핵심부품 개발 및 표준화 체계 마련
⒝ UAM/AAM 미래 핵심기술 확보 및 로드맵 수립
나. 미래 비행체 체계/부품 실증을 위한 시험평가 인프라 구축
다. 융합형 무인기 등 신시장 개척을 통한 미래먹거리 창출
⒜ 고성능·다기능 융합형 무인기 개발 추진
⒝ 유무인 복합운용체계 개발 추진
(4) (R&D) 항공 선진기술개발로 산업 고도화 기여
가. 미래 기술 선제적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 로드맵 수립
나. 부처별 협력 및 R&BD 강화로 성과 제고
3. 항공산업의 문제점과 공공적 재편방향 모색
1) 항공산업의 현황과 코로나19의 국내외 영향
(1) 항공운송사업과 지상조업 현황
가. 항공운송사업 현황
나. 항공기 지상조업사 현황
(2) 코로나19로 운항실적 악화와 더딘 회복
(3) 코로나19로 고용악화 현실화
(4) 항공사에 대한 구제금융 지원
2) 코로나19로 심화된 항공산업의 문제점과 정부대책 미흡
(1) 코로나19 피해를 전가 받는 다단계 하청 노동자들
(2) 재벌오너의 도덕적 해이와 부실경영
가. 재벌 오너의 자금줄 역할을 했던 항공사와 지상조업사들
나. 노동자 대량실직과 이상직 의원의 편법증여 의혹
(3) 저비용항공사 과잉에 대한 국토부 책임
(4) 기간산업안정기금 운영의 문제점
(5) 정부의 항공산업 추가지원 내용
3) 해외 항공산업의 사회적(정부) 규제 사례
(1) 공항(지역)별 (적정)임금 적용
(2) 유럽 지상조업에 대한 시장진입과 면허 규제
(3) 코로나19에 따른 공기업 전환과 정부지분 증가
(4) 항공산업의 기후위기 대응요구 강화
제2장 항공 운송/부품/정비 산업 실태
1. 항공 운송 산업 실태 및 시장 현황
1) 항공 운송 환경과 전략 요인
(1) 외부환경(Position)
가. 사회 경제 트렌드 변화
나. 항공운송산업 변화
(2) 내부요인(Perspective)
가. 국제기구 전망
⒜ 항공수요 및 실적 변화
⒝ 글로벌 항공수요 전망
나. 우리나라 국제선 단기 항공수요 전망
⒜ 지속적인 모니터링 필요
⒝ 수요회복에 대한 매커니즘 선제적 분석 필요
(3) 전략요인(Ploy)
가. 국내외 정책 동향
⒜ 코로나19 관련 국제기구 정책 동향
⒝ 타국가 정책 동향
⒞ 국내 정책 동향
나. 주요 요인의 변화
(4) 결론 및 정책 제언
2) 국내외 항공여객 시장 동향
(1) 국내 항공여객 동향
가. 여객운송 동향
⒜ 개요
⒝ 국제선 여객 실적
⒞ 국내선 여객 실적
나. 항공사별 실적 현황
⒜ 국제선 여객 실적
⒝ 국내선 여객 실적
⒞ 전체 여객 실적
(2) 글로벌 항공여객 동향
가. IATA 글로벌 항공운송동향(6월)
⒜ 국내선
⒝ 국제선
나. ACI 운항?여객 처리실적(5월)
⒜ 개요
⒝ 주요 공항 여객처리실적
⒞ 주요 공항 운항처리실적
다. ICAO 세계 항공 공급력(5월)
3) 국내외 항공화물 시장 동향
(1) 국내 항공화물 동향
가. 화물운송 동향
⒜ 개요
⒝ 국제선 화물
⒞ 국내선 화물
⒟ 공항별 국제선 화물 실적
나. 항공사별 실적 현황
⒜ 국제선 화물 실적
⒝ 국내선 화물 실적
⒞ 전체 화물 실적
다. 주요 공항별 화물실적
⒜ 인천공항
⒝ 김포공항
⒞ 김해공항
⒟ 제주공항
라. 품목별 화물실적
⒜ 개요
⒝ 수출
⒞ 수입
(2) 글로벌 항공화물 동향
가. IATA 글로벌 화물운송동향(6월)
나. ACI 화물 처리실적(5월)
⒜ 개요
⒝ 주요 공항 화물처리실적
2. 항공정비 산업 경쟁력 및 기술 현황
1) 항공정비 시장 현황
(1) 산업 개요
가. 항공정비(MRO)산업의 정의
나. 항공정비(MRO)산업 구조 및 특성
⒜ 구성품/부품 중정비 정의 및 분류
⒝ 구성품/부품 중정비 현황
⒞ 구성품/부품 중정비 정비수행 형태
⒟ 구성품/부품 중정비 비용 구조
⒠ 구성품/부품 중정비 부품공급망(supply chain)
⒡ 부품 등 제작자증명(PMA) 시장
다. 국내 항공정비(MRO)산업의 현주소
라. 항공정비(MRO)산업과 국가 인증체계
(2) 국내 시장현황
가. 국내 항공정비 시장 규모 및 전망
⒜ 국내 항공기 규모 및 증가율 현황
⒝ 국내 항공사 정비시장 현황 및 전망
나. 국내 착륙장치 및 복합재 시장
(3) 국외 시장현황
가. `17년 해외 시장현황
나. `25년 해외 시장전망
⒜ 일본 N/B 항공기 보유규모 증가전망
⒝ 중국 N/B 항공기 보유규모 증가전망
다. 항공기 착륙장치 부문 시장
2) 항공운송 기술동향 분석
(1) 관련 기술개발 동향
가. 글로벌 항공정비(MRO)산업 기술변화
나. 국내 항공정비(MRO)산업 참여업체 후보군 현황
다. 항공정비 산업분야 특허기술 경쟁력
⒜ 항공정비(MRO) 주요분야 및 부품 중정비 세부 분야 특허동향
⒝ 주요 선진국의 특허역점 분야
(2) 기술 수준 분석
가. 항공기 인증기술 수준
나. 항공정비(MRO) 기술수준 분석
⒜ 항공기 기체 분야 국내 기술수준 평가
⒝ 항공기 부품 분야 국내 기술수준 평가
3) MRO산업 육성방향과 추진방안
(1) MRO산업 육성방향
(2) MRO산업 추진방안
가. 국내 MRO 물량 확대 지원
나. 가격경쟁력 확보
다. 항공정비 기술역량 강화
라. MRO 산업 성장기반 강화
마. 기대 효과
4) 해외 주요 국가별 항공 MRO산업 현황 및 육성 사례
(1) 싱가포르
(2) 말레이시아
(3) 대 만
(4) 중 국
(5) 일 본
(6) 독 일
(7) 몽 골
(8) 해외사례 요약 및 국내 정책 시사점
제3장 무인항공산업 기술 정책 전략
1. 드론산업과 국내외 동향
1) 드론산업과 국내외 동향
(1) 드론산업의 개념
가. 정의 및 특성
나. 분류
(2) 해외 드론산업 동향
가. 정책 동향
⒜ 미국
⒝ 유럽연합(EU)
⒞ 일본
⒟ 중국
나. 주요 분야 시장 동향
⒜ 미국
⒝ 유럽(EU)
⒞ 일본
⒟ 중국
(3) 국내 드론산업 동향
가. 정책 동향
나. 주요 분야 시장 동향
2) 항공드론 시장?기술 동향
(1) 국내외 시장?기업 동향
가. 글로벌 시장 현황
나. 국내 시장 현황
다. 국내외 핵심기업 현황
⒜ 글로벌 핵심기업 현황
⒝ 국내 핵심기업 현황
(2) 국내외 기술 동향
가. 항공드론 핵심기술 분류
나. 국내외 논문 및 특허 현황
다. 국내 기술경쟁력
라. 최신 기술 이슈
⒜ 대형 드론(개인용 항공기, PAV)
⒝ 안티드론
3) 드론산업 정책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2.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산업과 미래 현황
1)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생태계와 스케일업 현황
(1)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생태계 동향
가. 등장 배경
나. UAM 생태계의 새로운 이동수단
⒜ 눈 앞으로 다가온 플라잉카(Flying Car) 시대
⒝ 개인용비행체(PAV)로 정립되는 UAM 이동수단
⒞ 전기동력수직이착륙기(eVTOL)로 수렴하는 PAV
다. UAM 생태계를 이끄는 기업들
⒜ 상용화 단계에 도달한 기체
⒝ 시험 비행, 선두에 선 스타트업
⒞ 초기 설계와 시제품 제작, 추격에 나선 항공ㆍ자동차 업계
⒟ 공중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의 패권을 노리는 플랫폼 기업
(2) UAM 시장의 잠재력과 스케일업(Scale-up) 과제
가. UAM 시장의 잠재력
⒜ UAM 시장 규모는 얼마나 커질까?
⒝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UAM을 이용할까?
나. UAM 생태계의 스케일업(Scale-up) 과제
⒜ 기술의 지속적인 개선과 융합
⒝ 제도와 법률의 정립
⒞ 새로운 인프라 구축
⒟ 사회적 수용성 증대
2)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산업 동향
(1) 도심항공 모빌리티 산업 동향
가. UAM 시장 전망
나. 전기동력 수직이착륙 항공(eVTOL) 글로벌 시장 현황
다. 주요국의 UAM 정책 동향
라.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수출 경쟁력
(2) 도심항공 모빌리티 실현을 위한 과제
가. 일관된 안전 성능 ⇒ 교통수단으로 신뢰성 확보
나. 이용 접근성(인프라) 개선 ⇒ 승객중심 편의 향상
다. 부품 기술 개선, 자율비행 실현 ⇒ UAM 경제성 확보
(3) 우리 UAM 산업에 대한 시사점
제Ⅱ편 우주산업 동향
제1장 우주산업 정책 기술개발 현황
1. 우주산업과 정책 지원 방안
1) 우주산업 주요 트렌드 변화
(1) 뉴 스페이스(new space) 시대, 국가간 경쟁 가속화
(2) 기술과 비용 혁신을 통한 성장기반 확보
(3) 위성산업의 수요 확대와 영역 확장
(4) 상업적 비즈니스 모델의 확산
(5) 우주기업에 대한 민간투자의 증가
2) 우주탐사 기술과 정책 분석
(1) 기술동향
가. 글로벌 기술동향
⒜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
⒠ 인도
⒡ 기타
⒢ 참고-국제우주정거장
나. 국내 기술동향
(2) 산업동향
가. 글로벌 산업동향
나. 국내 산업동향
(3) 정책동향
가. 글로벌 정책 동향
⒜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
나. 국내 정책 동향
(4) R&D 투자동향
가. 글로벌 R&D 투자동향
나. 국내 R&D 투자동향
3) 뉴스페이스의 등장과 우주산업 동향
(1) 우주개발의 상업화와 뉴스페이스의 등장
가. 뉴스페이스(New Space)의 정의
나. 뉴스페이스 등장의 역사적 배경
다. 올드 스페이스(Old Space)와 뉴스페이스(New Space)
(2) 우주산업 생태계의 변화와 주요국의 대응
가. 우주기술의 진보와 산업생태계의 변화
⒜ 재사용 로켓 개발에 따른 발사 비용의 감소
⒝ 소형위성군을 활용한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 확대
⒞ ICT 기술과 우주 산업의 융합 가속
⒟ 뉴스페이스의 등장과 기회의 확대
⒠ 뉴스페이스로의 투자 활발
나. 주요국의 뉴스페이스 관련 대응
⒜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
(3) 정책적 시사점
가. 뉴스페이스로의 진입을 위한 정책적 노력 필요
나. 뉴스페이스 기업 및 뉴스페이스 시장 창출 필요
다. 산업체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지원과 글로벌 우주산업 도전 기회
4) 우주산업 패러다임의 전환, 재사용 로켓
(1) 재사용 로켓의 경제성 분석
(2) 재사용 로켓의 완전체로 가기 위한 과제
2. 우주기술 산업과 기술 동향
1) 세계 우주기술 산업시장
(1) 우주기술산업 구조
가. 우주기술산업의 정의
나. 우주기술산업 구조
(2) 우주기술산업 시장동향
가. 우주분야 정부예산
나. 위성산업
(3) 우주기술 주요 기업
2) 국내 우주기술 산업시장
(1) 시장 동향
가. 시장규모
나. 우주분야 기업체
다. 국내 우주산업의 내수 및 수출입현황
(2) 국내 우주기술동향
가. 우주산업 기술수준
나. 국내 우주기술개발 체계
3) 우주기술 정책동향
(1) 해외 우주기술 정책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ESA)
라. 러시아
마. 중국
바. 프랑스
사. 영국
(2) 국내 우주기술 정책 동향
(3) 우주기술 발전을 위한 시사점
3. 2021년도 우주개발 주요 추진 현황
1) 2020년도 주요 추진 실적
(1) 우주발사체 기술자립
(2) 인공위성 활용 서비스 및 개발 고도화
(3) 우주탐사 시작(우주위험 감시?대응 포함)
(4) 국가 위성항법시스템(KPS ) 구축
(5)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6)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
2) 2021년도 분야별 주요사업 및 투자 계획
(1)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2) 인공위성 활용 서비스 및 개발 고도화?다양화
(3) 우주탐사 시작
(4)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구축
(5)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
(6)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
4. 우주산업 경쟁력과 민관협력 확대 방안
1) 우주분야 민관협력 작동기제
(1) 민관협력의 개념과 유형
(2) 우주분야 민관협력 방식
2) 해외 위성개발 민관협력 사례 분석
(1) 유럽
가. 독일
나. 프랑스
(2) 캐나다
(3) 일본
(4) 해외 우주분야 민관협력의 시사점
3) 국내 우주분야 민관협력 현황과 한계
(1) 국내 우주분야 민관협력 사례
가.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
나.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
(2) 국내 우주분야 민관협력의 제도적 한계
제2장 국내외 우주개발 연구동향
1. 세계 우주개발 동향
1) 세계 우주경제 규모
(1) 상업용 우주시장
가. 우주기기 제작
⒜ 위성체 제작
⒝ 발사체 제작 및 발사 서비스
⒞ 지상장비
나. 위성활용 서비스
⒜ 위성방송통신(Consumer Services)
⒝ 원격탐사(Remote sensing, 지구관측)
(2) 국가별 정부 우주예산
가. 미국
나. 중국
다. 유럽우주국 (ESA)
라. 유럽연합(EU)
마. 프랑스
바. 독일
사. 인도
아. 이탈리아
자. 일본
차. 러시아
2) 우주분야별 연구개발 현황
(1) 우주기기 제작
가. 위성체 제작
나. 발사체 제작 및 발사서비스
(2)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가. 위성방송통신
나. 위성항법
⒜ BeiDou(중국)
⒝ Galileo(유럽)
⒞ NavIC(Navigation with Indian Costellation, 인도)
⒟ QZSS(Quasi-Zenith Satellite System, 일본)
⒠ GLONASS(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러시아)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미국)
다. 지구관측(원격탐사)
3) 우주 인력 현황
(1) 미국
(2) 유럽
(3) 일본
(4) 인도
2. 국내 우주개발 동향
1) 우리나라 우주개발 예산
2) 국내 연구 개발 및 정책 동향
(1) 위성체 제작
가. 정지궤도복합위성(GEO-KOMSAT)
나. 다목적실용위성(KOMPSAT)
다. 차세대중형위성(CAS500)
라. 차세대소형위성
마. 초소형위성
(2) 발사체 제작
가. 한국형발사체(KSLV-2)
나. 소형발사체
(3) 위성활용 서비스 및 장비
(4) 우주탐사
가. 달 탐사
나. 우주감시
다. 우주탐사?과학연구
(5) 우주 생태계 조성
(6) 우주산업 육성
제3장 우주산업 분야별 기술개발 현황
1. 인공위성 산업과 기술발전 동향
1) 국내 위성산업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 전략
(1) 뉴스페이스와 우주산업 생태계 변화
(2) 위성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
가.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
나. 글로벌 위성기업들의 뉴스페이스 대응 동향
(3)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분석
가. 국내 우주산업 분석 개요
나. 국내 우주산업 거래구조
⒜ 위성체 제작
⒝ 위성정보 활용
(4) 위성분야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을 위한 정책제안
가. 글로벌 가치사슬 편입을 위한 Alliance Pool 구축
나.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기술 및 가격 경쟁력 제고를 위한 다각적 지원 필요
다. 위성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 투자 및 기업육성
라. 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시장 확대
2)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 현황
(1) 추진 배경
(2) 산업 현황 및 문제점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현황 및 문제점
다. 시사점
(3) 추진 과제
가. 공공수요 확대를 통한 시장 조성 추진 경과
나. 초소형위성 기업 성장 지원
⒜ 우주 헤리티지 확보 지원
⒝ 기업 글로벌 역량 강화
다. 정책 협의 추진체계 마련
⒜ 민·관 협의체 구축
⒝ 범부처 초소형위성 개발 추진체계 마련
3) 인공위성 전문인력 양성 추진방안
(1) 추진 배경
(2) 국내 현황
(3) 문제점
(4) 우주산업 전문인력 양성 추진방안
가. 우주산업 신규인력 공급을 위한 대상별 인력양성
나. 우주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존인력 재교육 지원
다. 우주분야 청소년·여성 인재 양성 및 지원
라. 효과적인 우주 인력양성을 위한 기반마련
4) 6G 시대를 준비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
(1) 위성통신 산업 및 기술 동향
가. 추진배경
나. 산업 동향
다. 기술동향
(2) 현황진단 및 대응방향
(3) 세부 추진과제
가.『6G 위성』 글로벌 산업ㆍ시장 선도를 위한 민관 협력 생태계 구축
⒜ 위성통신-지상통신이 통합된 주요 서비스
⒝ 위성통신-지상통신 통합 위성망 구축
⒞ 위성통신-지상통신 통합 기술
나. 5G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 역량 확보
⒜ 저궤도 통신위성을 활용한 주요 서비스
⒝ 저궤도 위성통신망 구축
⒞ 저궤도 위성통신을 위한 기술개발
다. 정지궤도 위성통신 분야 경쟁력 강화
⒜ 정지궤도 위성을 활용한 주요 서비스
⒝ 정지궤도 위성서비스를 위한 위성망 구축
⒞ 정지궤도 위성통신을 위한 기술개발
라. 기술자립을 위한 위성통신 성장 생태계 조성
⒜ 위성통신 인력 양성 및 산업 활성화 체계 구축
⒝ 글로벌 대응력 강화를 위한 위성통신 국제 협력 추진
(4) 추진체계 및 소요예산
(5) 기대효과
5) 국내 위성보험 현황과 시사점
2. 우주발사체 산업과 기술개발 동향
1) 우주발사체 산업과 정책 현황
(1) 산업 개요
가. 배경 및 필요성
나. 기술의 정의 및 범위
(2) 산업동향
(3) 정책동향
가. 해외 정책동향
⒜ 미국
⒝ 유럽
⒞ 중국
⒟ 일본
나. 국내 정책동향
(4) R&D 투자동향
가. 글로벌 R&D 투자동향
나. 국내 R&D 투자동향
2) 우주발사체 기술개발 현황
(1) 국내외 기술동향
가. 미국
나. 유럽연합국(European Space Agency, ESA)
다. 러시아
라. 중국
마. 일본
바. 국내 기술동향
(2) 소형발사체 개발 및 최신 기술 동향
가. 국외 소형발사체 개발 동향
나. 소형발사체 최신 기술 동향
⒜ 전기 펌프 사이클 엔진
⒝ 적층 제조 기술 적용
⒞ 레이저 점화기
3)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의 의의와 향후 과제
(1) 누리호 개발사업의 추진 경과 및 의의
가. 누리호 개발사업의 추진 경과
나. 누리호 개발의 의의
(2) 글로벌 우주 개발 및 산업 동향
가. 우주 개발 참여 확대
나. 우주 전략기술의 자립 추진
다. 우주자산을 활용한 공공수요 대응 강화
라. 우주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
(3) 우리나라 우주 정책 추진의 향후 과제
가. 우주 개발 및 산업 지원을 위한 투자 확대
나. 법·제도의 정비
3. 우주폐기물 회수 및 재사용 개발현황
1) 우주폐기물 실태
(1) 우주 쓰레기, 급증하는 현황
(2) 우주쓰레기 경감 가이드라인 동향과 전망
가. 국제 가이드라인 동향
⒜ UN 가이드라인
⒝ IADC 가이드라인
⒞ ISO 가이드라인
⒟ ITU 가이드라인
나. 해외 국가 별 가이드라인 동향
⒜ 미국(NASA)
⒝ 유럽우주청(ESA)
⒞ 일본(JAXA)
⒟ 프랑스(CNES)
⒠ 독일(DLR)
⒡ 러시아(ROSCOSMOS)
⒢ 그 외 국가
⒣ 기타 민간 사례
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전망
⒜ 국내 현황
⒝ 가이드라인 예시
⒞ 향후 전망
(3) 우주폐기물 관련 기업 동향
2) 우주발사체 회수 및 재사용 기술
(1) 국외 재사용 우주발사체 개발동향
가. 부스터 회수형태
나. 궤도선 형태
다. 복합사이클 엔진 형태
(2) 부스터형 재사용 우주발사체 기술
가. 회수운용 개념
나. 그리드핀(Grid Fin)
다. 초음속 역추진
라. 유도제어기술
⒜ 추력조절 및 제어기술
⒝ 유도 알고리즘기술
마. 발사체 신뢰도 증진기술
⒜ 결함 극복 시스템(Fault tolerant system) 구현
⒝ 건전성 진단(Health monitoring) 및 사고방지 기술
바. 재사용을 위한 추진기관 기술
⒜ 추진제탱크 과냉각 기술
⒝ 추진제탱크 가압 기술
⒞ 메탄 엔진기술
⒟ 재점화 기술
사. 정비 기술
⒜ 정비용이 설계 기술
⒝ 저비용 유지보수
(3) 궤도선 및 복합사이클 추진기관 사용 재사용 우주발사체 기술
가. 궤도선 회수 기술
나. 복합사이클 추진기관 사용 회수 기술
(4) 기타 재사용 우주발사체 기술
가. 최적화 기술
나. 3D 프린팅 기술
3) 우주상황인식을 위한 인공우주물체 추락 예측 소프트웨어 개발
(1) 인공우주물체 추락 예측 소프트웨어
(2) 인공우주물체 추락 예측 결과
가. 그레이스 1호(GRACE-1)와 그레이스 2호(GRACE -2) 위성 추락 예측
나. 톈궁 1호(Tiangong-1) 위성 추락 예측
다. Chang-Zheng 5B 로켓 잔해 추락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