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선비, 구곡에 노닐다

$21.60
SKU
979115854525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9/05
Pages/Weight/Size 150*220*30mm
ISBN 9791158545253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조선 선비를 통해 바라본
유학의 꽃이자 진수, 구곡문화

구곡을 기반으로 형성된 구곡문화는 당대 최고 지식인 집단인 유학자(성리학자)들이 오랜 세월을 통해 일군, 인간이 지향해야 할 삶의 도리와 가치관이 담긴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그들은 자연을 단순히 풍류의 대상으로만 삼은 것이 아니라, 천리를 깨닫고 올바른 심성을 기르는 철학적 공간으로 인식했다.

책에서는 주자의 무이구곡(중국 푸젠성)을 포함해 전국의 대표적 구곡 20여 군데를 답사해 그곳에 담긴 사연과 구곡시 등을 정리하고, 관련 사진과 구곡도를 함께 실었다. 풍부한 자료를 통해 성리학적 이상세계와 자연이 어우러져 탄생된 독특한 구곡문화가 유학의 꽃이자 진수이며 정신문화유산임을 보여준다.
Contents
구곡과 구곡문화

구곡문화의 유래 / 구곡문화의 전개

구곡문화 탄생지 무이구곡武夷九曲

무이산 / 주자와 무이구곡 / 칸트에 비유되는 주자

주자의 무이구곡가

무이구곡을 노래한 무이도가 / 조선 성리학자들의 무이도가 해석 / 중국 문인들의 무이도가 해석

무이구곡도

조선 선비들이 애장한 무이구곡도 / 민화로 확산된 무이구곡도

안동 도산구곡

이황과 도산구곡 / 이황의 무이도가 차운시/ 언제 누가 설정했는지 불명확한 도산구곡 / 이야순 도산구곡가

해주 고산구곡

이이의 고산구곡가 / 송시열 주도로 제작하기 시작한 고산구곡도 / 민화로도 그려진 고산구곡도 / 송시열 등 10명이 지은 고산구곡시

괴산 화양구곡

송시열 유적 중심으로 설정된 화양구곡 / 구곡 굽이마다 전서로 이름 새겨 / 1844년에 지은 화양구곡기 / 주자의 무이도가를 차운한 송달수의 화양구곡시

봉화 춘양구곡

선비들이 은거한 정자 중심으로 구곡 설정 / 이한응의 춘양구곡시 / 3곡은 풍대 홍석범이 학문 닦던 곳 / 5곡 창애정은 이중광이 은거하던 곳 / 권벌의 얼이 서린 8곡 한수정

경주 옥산구곡

회재 이언적 은거지에 설정 / 설정자 이가순의 옥산구곡시 / 5곡 관어대에 자리한 계정(溪亭) / 7곡은 마음을 깨끗이 하는 징심대

영천 횡계구곡

정만양 · 정규양 형제가 만든 구곡 / 3곡 태고와는 정규양이 1701년에 건립한 누각 / 구곡 중 중심 굽이인 5곡 와룡암 / 신선이 사는 곳에 비유한 채약동(採藥洞)

안동 하회구곡

상류에서 1곡이 시작되는 하회구곡 / 류건춘의 하회구곡시

안동 고산칠곡

이상정의 고산칠곡시

계룡산 갑사구곡

윤덕영이 1927년에 설정한 구곡 / 구곡 중심은 윤덕영의 별장 간성장 주변

계룡산 용산구곡

용을 주제로 설정한 용산구곡 / 용산구곡 중심은 5곡 황룡암

문경 선유구곡

정태진이 1947년에 설정한 구곡 / 정태진의 선유구곡시 / 손재 남한조 기리며 정한 6곡 탁청대 / 9곡 옥석대는 신선이 신발 남긴 곳

성주 무흘구곡

주자의 무이구곡을 동경한 정구 / 그림으로도 그려진 무흘구곡 / 정구의 구곡시 / 정각의 시로 보는 무흘구곡 / 한강 정구가 사랑한 2곡 한강대 / 7곡 만월담 아래 무흘정사 지어 은거

영주 죽계구곡

두 개의 죽계구곡 / 순흥지 죽계구곡

청도 운문구곡

무오사화 등을 겪으며 은거를 택한 박하담 / 박하담의 소요당일고 / 박하담의 운문구곡가 / 내원암 입구에 5곡

화천 곡운구곡

김수증이 은둔지를 찾아 설정한 구곡 / 조세걸의 곡운구곡도는 진경산수화의 토대 / 곡운구곡의 중심 6곡에는 농수정사

봉화 대명산구곡

강필효가 운곡천과 낙동강 20km에 설정한 구곡 / 할머니가 난을 피해 살던 곳인 1곡 마고 / 3곡은 산고월소(山高月小)의 조대(釣臺) / 5곡은 이황이 사랑한 청량산

문경 석문구곡

채헌이 18세기에 금천과 대하천에 설정한 구곡 / 배 모양의 바위 주암이 2곡 / 채헌이 많은 시를 남긴 9곡 석문정

괴산 갈은구곡

전덕호가 이상향 꿈꾸며 설정 / 굽이마다 명칭과 구곡시 새겨

성주 포천구곡

이원조가 주자를 본받아 가야산 계곡에 설정한 포천구곡 / 이원조의 포천구곡시 / 베를 말리는 듯한 4곡 포천 / 9곡 홍개동에 만귀정 지어 은거

괴산 선유구곡

1곡은 선유동문(仙遊洞門) / 거대한 바위들이 몰려 있는 7곡~9곡 / 정태진의 시 외선유구경(外仙遊九景)

대구 운림구곡

우성규가 금호강에 설정한 구곡 / 1곡은 금호강 낙동강 합쳐지는 용산 / 6곡 연재는 강창교 부근 이락서당
Author
김봉규
칼럼니스트, 1959년생. 경북대 법학과 졸업 후 삼성생명, 한국조폐공사 등을 거쳐 1990년 〈영남일보〉 논설위원으로 입사. 입사 후 편집국 기자·부장과 논설위원 등을 거쳐 문화전문기자로 2023년 2월에 퇴사했다. 그동안 문화부 기자로 오래 근무하며 불교와 선비 문화를 중심으로 많은 기획 연재 기사를 썼다. 퇴사 후 여러 매체에 글을 쓰는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길따라 숲찾아』, 『한국의 혼 누정』(공저), 『조선의 선비들, 인문학을 말하다』, 『머리카락 짚신』(칼럼집), 『조선 선비들의 행복콘서트』, 『석재 서병오』, 『현판기행』, 『조선의 선비들, 사랑에 빠지다』, 『요리책 쓰는 선비, 술 빚는 사대부』, 『절집의 미학』, 『수류화개, 물 흐르고 꽃 피다』 등 저서 20권(비매품 5권)을 출간했다.
칼럼니스트, 1959년생. 경북대 법학과 졸업 후 삼성생명, 한국조폐공사 등을 거쳐 1990년 〈영남일보〉 논설위원으로 입사. 입사 후 편집국 기자·부장과 논설위원 등을 거쳐 문화전문기자로 2023년 2월에 퇴사했다. 그동안 문화부 기자로 오래 근무하며 불교와 선비 문화를 중심으로 많은 기획 연재 기사를 썼다. 퇴사 후 여러 매체에 글을 쓰는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길따라 숲찾아』, 『한국의 혼 누정』(공저), 『조선의 선비들, 인문학을 말하다』, 『머리카락 짚신』(칼럼집), 『조선 선비들의 행복콘서트』, 『석재 서병오』, 『현판기행』, 『조선의 선비들, 사랑에 빠지다』, 『요리책 쓰는 선비, 술 빚는 사대부』, 『절집의 미학』, 『수류화개, 물 흐르고 꽃 피다』 등 저서 20권(비매품 5권)을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