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민속학

$34.02
SKU
979115848898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03
Pages/Weight/Size 152*223*26mm
ISBN 9791158488987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일반적으로 민속을 민(民)의 습속으로 이해하고, 역사성을 지닌 전통문화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것은 현재 이전의 생활문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그 기준점이 시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다 보니 민속이 현재의 삶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 실천적이고 문화적 효용성의 측면에서 다소 소외된 경향이 있는 게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시간관념 또한 노동방식과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산업사회에 이르러서는 물질적인 시간관념으로 바뀌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민속의 개념 또한 직선형의 시간관념에만 근거할 것이 아니라 도리어 행위주체의 측면에서 관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민속을 민중의 생활습속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민족의 생활양식으로 볼 것인가에 따라 그 개념이 달라진다.

민속의 개념이 환경에 따라 달리한 것처럼 민속의 분류 또한 그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따라서 시의성을 반영하고 그 해석방식에 따라 학문 영역이 설정되어질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그것은 민속학을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로 연결시켜 주는 학문으로 인식하고, 그 실용적 기반의 지속성을 획득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초국가적이며 신자유주의와 신자본주의 국가정책 속에서 인간 삶의 문화적 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도 더욱 필요하다.

필자는 민속 연구자로서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 《남도 민속의 이해》(2007)를 엮어낸 바 있다. 그런데 이 책은 사례 중심의 내용이 많아 때로는 논지의 초점이 흐려지고 산만해지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남도민속학》(2010)에서는 사례를 대폭 줄이고 민속의 기본적인 이해에 주안점을 두었고, 민속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 전파론적인 연구와 축제적인 연구, 민속에 대한 감성적 이해 등을 담았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본 저서에서는 민속의 지속과 변화의 체험주의적인 해명을 통해 민속을 공시적이고 통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가족과 마을생활
제2장 가족공동체와 마을공동체의 변화
제3장 물질경제생활
제4장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제5장 시간민속의 지속과 변화
제6장 가택신앙
제7장 마을신앙
제8장 무속신앙
제9장 민속신앙의 지속과 변화
제10장 복(福)과 속신
제11장 일생의례
제12장 성장민속의 지속과 변화
제13장 민속예술
제14장 민속학의 새지평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표인주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대학교 박물관장을 역임했고, 광주광역시 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영산강 민속학』(민속원, 2013), 『남도민속학』(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축제민속학』(태학사, 2007), 『남도민속과 축제』(전남대학교출판부, 2005), 『광주칠석고싸움놀이』(피아, 2005), 『남도민속문화론』(민속원, 2002), 『남도설화문학연구』(민속원, 2000), 『공동체신앙과 당신화연구』(집문당, 1996)가 있고, 공저로는 『무등산과 고전문학』(2018), 『이주완 풍물굿과 이경화 예술세계』(2013), 『무등산권 굿당과 굿』(2011), 『무등산권 무속신앙의 공간』(2011), 『무등산권 무속인의 생애사』(2011), 『무등산권 점집과 점복의례』(2011), 『전쟁과 사람들』(2003), 『구림연구』(2003) 외 다수가 있다
전남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남대학교 박물관장을 역임했고, 광주광역시 문화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영산강 민속학』(민속원, 2013), 『남도민속학』(전남대학교출판부, 2010), 『축제민속학』(태학사, 2007), 『남도민속과 축제』(전남대학교출판부, 2005), 『광주칠석고싸움놀이』(피아, 2005), 『남도민속문화론』(민속원, 2002), 『남도설화문학연구』(민속원, 2000), 『공동체신앙과 당신화연구』(집문당, 1996)가 있고, 공저로는 『무등산과 고전문학』(2018), 『이주완 풍물굿과 이경화 예술세계』(2013), 『무등산권 굿당과 굿』(2011), 『무등산권 무속신앙의 공간』(2011), 『무등산권 무속인의 생애사』(2011), 『무등산권 점집과 점복의례』(2011), 『전쟁과 사람들』(2003), 『구림연구』(2003)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