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교사상

실천적 지성인 혹은 지성적 실천가의 사상
$42.26
SKU
979115848850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31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91158488505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붓다는 중도를 깨우치고 연기를 발견하였다. 그의 중도는 실천적 지성으로 그의 연기는 지성적 실천으로 꽃피워졌다. 불교를 받아들인 동아시아 불교인들은 붓다의 중도 자비와 연기 지혜를 통섭하여 ‘실천적 지성인’ 또는 ‘지성적 실천가’로 태어났다. 인도와 중국을 거쳐 들어온 소승과 대승의 불학으로 이루어진 한국불교는 한국철학사 상사의 한 축을 형성하였다. 고대에 이 땅에 먼저 들어온 한국불교는 그 깊이와 넓이의 면에서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괄목할만한 금자탑을 세웠다. 한국의 불교사상에는 인도 서역에서 흘러와서 동아시아 권역 속에서 형성된 새로운 사유체계들이 스며들어 있다. 여기에는 불도유 삼교와 문사철 삼학 및 계정혜 삼론이 어우러져 있다. 이 때문에 한국불교사상사는 이 땅에서 착근하고 성장해간 불도유 삼교와 문사철 삼학과 계정혜 삼론에 대한 인식이 전제되어야만 온전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Contents
제1부
한국불학사 교재의 구성 목차와 수록 내용: 김동화?박종홍?조명기?고익진
『한국불교사상』 관련 저술의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신라 원측(圓測) 유식과 당대 규기(窺基) 유식의 동처와 부동처

분황 원효의 기신사상(起信思想): 일심(一心)과 본각(本覺)의
접점과 통로

부석 의상의 화엄은 성기사상이 아닌가?:
‘의상 화엄사상의 성기적 이해에 대한 재검토’의 비판적 고찰


제2부
신라 중대의 선법 전래와 나말 려초의 구산선문 형성:
북종과 남종의 전래와 안착

보조 지눌 사상의 고유성과 독특성: ‘중층적 인식 구조’의 확립과
‘통합적 이해 체계’의 확보와 관련하여

한국 간화선의 정통성 문제:
한국의 간화선은 보조선인가 임제선인가

일연 『삼국유사』「의해」편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향가(鄕歌)’ 계승 의지와 ‘찬시(讚詩)’ 창작 수록과 관련하여

제3부
청허 휴정(淸虛 休靜)의 선교(禪敎) 이해

벽암 각성의 생애와 사상:
李景奭 撰 「華嚴寺 碧巖堂 覺性大師碑文」을 중심으로

경허 성우의 실천성과 지성성: 종교적 삶과 철학적 앎

용성 진종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


제4부
영호당 박한영과 상현거사 이능화의 학문태도와 연구방법

한암 중원의 조계종사 인식과 조계종의 회복:
퇴경의 「조계종」과 한암의 「해동초조에 대하야」와 관련하여

만해 한용운의 일본 체류 체험과 근대 유럽 인식의 지형:
‘자유사상’의 확립과 ‘평화사상’의 확보

퇴옹 성철의 실천성과 지성성:
‘산속의 육신’과 ‘현실의 원력’의 중층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색인
Author
고영섭
한국불교사 및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동국대학교 석사, 박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저서로는 『한국불학사』(1-3책), 『한국사상사』,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1-2책), 『분황 원효』, 『원효, 한국불교의 새벽』, 『한국의 사상가 10인, 원효』,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한국불교사 및 동아시아불교사상사 전공. 동국대학교 석사, 박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회장 겸 이사장.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소장.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저서로는 『한국불학사』(1-3책), 『한국사상사』, 『한국불교사연구』, 『한국불교사탐구』, 『한국불교사궁구』(1-2책), 『분황 원효』, 『원효, 한국불교의 새벽』, 『한국의 사상가 10인, 원효』,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