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읽기를 이해하고, 읽기교육을 위한 몇 가지 다른 시각을 소개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읽기 교육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고, 읽기와 읽기 교육의 대안을 검토하였다. 현재 읽기 교육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으로 접근하기에 지금의 읽기 교육과 강조점이 다를 수 있지만 읽기 교육을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물꼬를 틀수도 있다.
이 책의 구성은 ’읽기 교육의 이해‘, ‘읽기 교육의 탐구’, ‘읽기교육의 도전’으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1부 읽기 교육의 이해에서는 현재 읽기교육의 교육 구조를 소개하고, 이 교육적 접근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그리고 읽기 교육의 접근을 고찰하고, 읽기 영역의 교과서와 읽기 평가문제를 검토한다.
2부 읽기 교육의 탐구에서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 활동과 관련하여 독자의 의미 표상의 방법, 읽기 부진 학생 코칭 방범을 살피고, 학교에서의 읽기 활동 측면에서 초등 독서문화를 비판적으로 살핀다.
3부 읽기교육의 도전에서는 차연적 읽기와 교육, 읽기 프레임과 교육, 거울 뉴런과 읽 교육, 영화 읽기와 교육에 대하여 살펴본다.
Contents
제1부 읽기 교육의 이해
제1장 읽기 교육의 구조
1. 문제 제기
2. 읽기 교육의 이론적 토대
3. 읽기 교육과정의 내용
4. 국어 교과서의 읽기 단원의 구성
5. 읽기 교육의 과제
제2장 읽기 교육의 비판
1. 문제 제기
2. 인지적 읽기 교육의 문제
3. 읽기 교육의 대안
4. 읽기 교육의 과제
제3장 읽기 교육의 관점
1. 들어가며
2. 텍스트 중심의 접근 관점
3. 독자 중심의 접근 관점
4. 사회적 상호작용 중심의 접근 관점
5. 문화 중심의 접근 관점
6. 읽기 교육의 과제
제4장 읽기 교육과 교과서
1. 문제 제기
2. 교과서의 기능
3. 읽기 활동 구성의 방향
4. 읽기 교육의 과제
제5장 문식성 교육과 평가
1. 문제 제기
2. 중학년 문식성 교육과 평가
3. 중학년 문식성 평가 방향
4. 문식성 평가의 과제
제2부 읽기 교육의 탐구
제1장 의미의 표상 방법
1. 문제 제기
2. 의미 표상 개념과 작용
3. 독자의 의미 표상 방법
4. 의미 표상의 과제
제2장 주체적 관념 구성
1. 문제 제기
2. 읽기 주체의 관념 구성 구조
3. 읽기 주체의 관념 구성 교육
4. 주체적 관념 구성의 과제
제3장 정서 함양 읽기
1. 문제 제기
2. 정서 작용 구조
3. 정서 함양 교육 방향
4. 정서 함양 읽기의 과제
제4장 읽기 부진 학생 코칭
1. 문제 제기
2. 읽기 학습 코칭의 특성
3. 읽기 학습 코칭의 교육적 접근
4. 읽기 부진 코칭의 과제
제5장 초등 독서 문화 비판
1. 문제 제기
2. 독서 문화의 비판적 검토
3. 학교의 독서 교육 검토
4. 독서 문화 개선 방향 탐색
5. 초등 독서 문화의 과제
제3부 읽기 교육의 도전
제1장 차연적 읽기와 교육
1. 문제제기
2. 차연과 텍스트 이해
3. 차연적 읽기의 교육
4. 읽기 교육의 과제
제2장 읽기 프레임과 교육
1. 문제 제기
2. 프레임의 의미역
3. 읽기 프레임의 특징
4. 읽기 교육의 과제
제3장 읽기 밈과 교육
1. 문제 제기
2. 밈과 읽기 밈
3. 읽기 밈과 교육 방향
4. 읽기 교육의 과제
제4장 거울 뉴런과 읽기 교육
1. 문제 제기
2. 거울 뉴런과 읽기
3. 읽기 과정 이해에 대한 시사점
4. 읽기 교육의 과제
제5장 영화 읽기와 교육
1. 문제 제기
2. 알리타: 욕망하는 기계
3. 알리타-기계의 욕망 흐름: -되기
4. 알리타-기계 존재의 함의: 탈주
5. 읽기 교육의 과제
◈ 색인
Author
김도남,여수현,김예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졸업
저서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외 다수
논문 독자의 탈기표체제 생성과 텍스트 이해(2021) 외 다수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졸업
저서 상호텍스트성과 텍스트 이해 교육 외 다수
논문 독자의 탈기표체제 생성과 텍스트 이해(2021)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