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와 윌리엄 제임스의 실용주의에 대한 저자의 연구 결과를 모아 엮은 것이다. 먼저,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으로 대표되는 공리주의의 창시자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은 인간학, 언어학, 심리학, 윤리학, 역사, 종교, 교육, 정치, 법학 등 다양한 분야를 섭렵한 철학자이다.
그의 공리주의는 당시 영국의 정치적 문제들, 예를 들면 계층 간의 편견, 가난, 정치인들의 전문성 부족, 법체계의 문제들, 법적 허구성, 법관들의 부도덕성, 사례비 관행 등에 대한 개혁운동이었다. 그는 그것을 정의justice의 문제로 보았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시의적절한 문제인 것 같다.
벤담Bentham의 목적은 윤리학倫理學의 과학화科學化였다. 그는 자연세계自然世界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신세계精神世界에도 어떤 법칙이 있어서 그것이 사회, 제도, 법, 도덕 등에 적용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 법칙을 벤담은 유용성有用性의 원리原理라고 했다. 유용성의 원 리란 최대다수最大多數의 최대행복最大幸福의 원리原理이며 그 기본 바탕은 쾌락주의快樂主義이다. 벤담의 쾌락은 일반적이고 막연한 쾌락이 아니라 구체적인 행복, 유쾌함 등이다. 그는 쾌락의 의미를 특별히 정의하지 않는 대신에 여러 가지 모양으로 쾌락의 종류를 분류해 놓았다.
한편, 실용주의는 현대의, 특히 미국의 철학이다. 그러나 그것은 그 근원을 옛날 그리스 철학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의 말대로 “실용주의적 방법에는 전혀 새로운 것은 없다. 어떤 의미에서 소크라테스도 그의 교육방법으로 실용주의적 방법론을 적용하였고 아리스토텔레스도 그것을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실용주의가 현대철학의 전반적인 흐름에 따라서 미국이라는 새로운 사회에서의 요청으로 만들어진 사상임에는 틀림없으나 여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이론은 다윈C.R. Darwin의 진화론과 영국의 공리주의 사상이다.
Contents
PART 1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
제레미 벤담의 생애
Ⅰ. 머리말
Ⅱ. 벤담의 쾌락주의
1. 쾌락과 선
1) 쾌락의 의미
2) 행위의 동기로서의 쾌락
3) 실재적인 것과 가상적인 것
2. 이기적 쾌락주의와 공중적 쾌락주의
1) 자연적 조화
2) 제재
Ⅲ. 쾌락의 측정
1. 쾌락측정의 기초
1) 쾌락의 측정가능성
2) 쾌락의 측정기준-무의식
3) 쾌락의 단위-최소가지차이
2. 쾌락계산에 따르는 실제적 문제들
1) 쾌락의 범위
2) 쾌락측정의 수단-화폐
Ⅳ.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1.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서의 쾌락
1) 유용성의 원리
2) 선도덕 개념
3) 입법의 원리
2. 최대행복의 의미
1) 자유와 평등과 분배
2) 사회적 의사결정의 방법
Ⅴ. 결론
Ⅵ. 벤담 이후
1. 벤담과 밀
2. 밀의 공리주의
3. 흄은 공리주의자인가?
PART 2
윌리엄 제임스의 실용주의
윌리엄 제임스의 생애
Ⅰ. 머리말
1. 모사설 또는 상응설
2. 연관설
Ⅱ. 실용주의에 대한 일반적 고찰
1. 현대 철학에서의 위치
2. 신대륙의 사회적 요청
3. 실용주의 철학의 특성
Ⅲ. 실용주의 철학의 배경
1. 진화론의 영향
2. 근본적 경험주의
Ⅳ. 실용주의 진리관
1. 상대성
1) 신념의 문제
2) 대상과의 관계
2. 실용성
1) 진리의 실제성
2) 창조의 과정
3) 생활도구로서의 사고
Author
피세진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학교 대학원 철학박사이며, 건국대학교 철학과 교수, 문과대학장, 인문과학연구소장, 건대 신문 편집인 겸 주간, 영국 헐(Hull)대학교 교환교수 등을 역임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 『벤담과 밀』, 『프로이트의 도덕론』, 『A Pragmatic Concept of Good』, 『가치·규범·의사결정의 논리 연구』, 『인식의 한계와 가능』, 『Mill의 자유론』 등이 있다.
현재 건국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학교 대학원 철학박사이며, 건국대학교 철학과 교수, 문과대학장, 인문과학연구소장, 건대 신문 편집인 겸 주간, 영국 헐(Hull)대학교 교환교수 등을 역임했다.
저서 및 논문으로는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 『벤담과 밀』, 『프로이트의 도덕론』, 『A Pragmatic Concept of Good』, 『가치·규범·의사결정의 논리 연구』, 『인식의 한계와 가능』, 『Mill의 자유론』 등이 있다.
현재 건국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재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