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판과 마찬가지로 이번 개정판에서도 노동분쟁의 실태에 조응하는 체제와 내용으로 구성하고자 했다. 새로운 제도와 변경된 판례 그리고 가급적 실무상 많이 사용되는 판례 법리를 우선적으로 싣고자 했다. 더불어 이 교재의 본질적 임무가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재라는 점을 감안하여 법률가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노동법의 기본 정신과 기초 지식도 함께 담으려고 노력했다. 그 결과 이번 개정판에서는 상당수의 대상판결이 변경되었다.
먼저 개별적 근로관계법 분야에서 새로 대상판결에 포함된 것은 남녀임금 차별사건에 관한 대법원 2003. 3. 14. 선고 2002도3883 판결, 사내하청관계에서 사업주 판단에 관한 대법원 2015. 2. 26. 선고 2010다106436 판결, 회사분할에서 근로관계의 승계에 관한 대법원 2013. 12.12. 선고 2011두4282 판결, 산업재해에서 회식 사고의 업무재해성에 관한 대법원 2017. 5. 30. 선고 2016두54589 판결, 반도체 사업장의 직업병에 관한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5두3867 판결 등이다.
다음으로 집단적 노사관계법 분야에서 새로이 대상판결로 된 것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노조법상 근로자성에 관한 대법원 2018. 6. 15.선고 2014두12598, 12604 판결, 산별노조의 기업별 지회에서 기업별 노조로의 조직형태변경에 관한 대법원 2016. 2. 19. 선고 2012다96120 전원합의체 판결, 공정대표의무에 관한 대법원 2018. 8. 30. 선고 2017다218642 판결 등이다.
이번 개정판을 내는 과정에서도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다. 오자나 탈자에서부터 책의 체계나 구성에 이르기까지 제3판에 대한 유익한 지적과 비판이 많았다. 필자들은 가능한 한 독자들의 조언을 이 책에 담고자 노력했다.
Contents
노동법 입문
제 1 부 개별적 근로관계법
제1강 기본원칙
제2강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제3강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와 근로계약
제4강 취업규칙(1)
제5강 취업규칙(2)
제6강 임 금(1)
제7강 임 금(2)
제8강 근로시간과 휴식
제9강 인 사
제10강 징 계
제11강 해고의 제한(1)
제12강 해고의 제한(2)
제13강 기타 근로관계 종료의 제한
제14강 기업변동과 근로관계
제15강 업무상 재해
제 2 부 집단적 노사관계법
※ 집단적 노사관계법 총론
제16강 노동조합법상 근로자
제17강 노동조합의 요건
제18강 노동조합의 조직
제19강 노동조합의 운영
제20강 단체교섭(1)
제21강 단체교섭(2)
제22강 단체협약(1)
제23강 단체협약(2)
제24강 쟁의행위(1)
제25강 쟁의행위(2)
제26강 쟁의행위(3)
제27강 부당노동행위(1)
제28강 부당노동행위(2)
제29강 부당노동행위(3)
제30강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과제
Author
이철수,김인재,강성태,김홍영,조용만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맡고 있다. 한국노동법학회 회장, 한국노사관계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김영삼 정부 이후 노동법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며 최고의 노동법 권위자로 꼽힌다. 현재는 경제사회발전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으로 이론과 현실을 접목하기 위해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맡고 있다. 한국노동법학회 회장, 한국노사관계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김영삼 정부 이후 노동법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며 최고의 노동법 권위자로 꼽힌다. 현재는 경제사회발전노동위원회 공익위원,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으로 이론과 현실을 접목하기 위해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