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노동법 책을 써야겠다고 결심한 것은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할 즈음이었다. 영국의 해고법제를 주제로 논문을 쓰기 위해서는 영국 노동법 일반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했는데 막상 관련 서적을 찾아보니 우리나라 저자가 쓴 책은 없었다. 여러 연구보고서에서 해당 주제에 관한 비교법적 논의를 할 때 일부 소개된 내용이 전부였다. 그리하여 시작된 것이 영국 노동법 공부였으니 지금으로부터 7년 전 이야기이다. 처음 공부를 시작하면서 영국 아마존에 들어가서 영국 노동법 책 몇 권을 구입한 후 가장 마음에 들게 편집된 책 한권을 선택하여 정독하고 이후 관련 논문과 참고 서적을 읽고 정리하면서 이해를 확장시켰다. 그 과정을 지금은 별일 아닌 것처럼 몇 줄로 정리하지만 당시에는 정말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는 작업이었다. 그러면서 결심하였다. 누군가 영국 노동법을 주제로 공부를 하고자 할 때 효율적으로 그 체계와 개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책을 한 권 쓰자. 물론, 또 하나의 이유도 있었다. 해고만을 주제로 학위논문을 쓰면서 생긴 영국 노동법의 다른 제도에 관한 개인적인 궁금증을 풀어보고 싶었다. 그렇게 해서 2년 동안 쓴 것이 이 책이다.
Contents
제1편 총 론
제1장 노동법의 역사
제2장 노동분쟁의 해결 기관
제2편 개별적 근로관계법
제1장 고용관계 규율의 기초
제2장 고용관계의 성립
제3장 고용관계의 전개
제4장 징계와 고용관계의 종료
제5장 해고의 구제와 고용보험
제3편 집단적 노사관계법
제1장 노동조합
제2장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제3장 노동쟁의의 조정
제4장 쟁의행위
제5장 근로자의 정보공개 및 협의권
사항색인
Author
전형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사법연수원 수료(제31기)
현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강원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