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거시경제이론을 핵심 거시경제변수(key macro variables)를 중심으로 시간대(time horizon)에 따라 구성하였다. 먼저, 가격변수가 신축적인 장기(long-run)를 기준점(a reference point)으로 삼아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살펴보고, 가격이 경직적인 단기(short-run)에서는 이 기준점을 중심으로 어떻게 변동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최장기(very long-run)에서는 기준점 자체가 어떻게 성장해 나가는지를 고찰하였다.거시경제이론은 실용 학문으로, 거시정책이나 수요와 공급의 충격 등 경제 여건의 변화가 경제성과에 미치는 효과의 분석을 중시한다. 이에 따라 본서는 모든 경제모형에서 정책 변화와 경제 여건 등 외생 변수의 변화가 총생산(성장률), 실업률, 물가(인플레이션율) 등 주요 내생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다룬다.내 가족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Contents
제1부 서론
제1장 거시경제학은 무엇인가?
1.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2. 거시경제학의 방법론
3. 이 책의 구성
제2장 거시경제의 순환구조 및 주요 거시경제변수
1. 거시경제의 순환구조
2. 주요 거시경제변수
3. 거시경제변수의 관계
제2부 장기의 경제: 고전학파이론을 중심으로
제3장 실물부문: 총생산, 고용 등 실질변수
1. 장기 경제모형의 주요 가정
2. 재화시장(생산물시장)
3. 대부자금시장: 저축과 투자
4. 생산요소시장: 생산량(소득)의 분배
5. 정부지출 증가의 효과 분석
제4장 화폐부문: 통화량, 물가, 인플레이션율
1. 화폐의 공급
2. 화폐의 수요
3. 화폐시장의 균형과 물가수준의 결정
4. 화폐수량설
5. 피셔방정식: 인플레이션과 명목이자율
6.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사회적 비용
7. 고전적 이분성과 정책적 시사점
제3부 단기의 경제: 케인즈이론의 IS-LM모형을 중심으로
제5장 재화시장: 케인지언 크로스
1. 총수요의 구성
2. 총수요가 총생산을 결정: 케인지언 크로스
3. 독립적 지출의 승수효과
4. 경기변동 및 재정정책
제6장 화폐시장: 유동성선호이론
1. 유동성선호이론이란?
2. 화폐시장의 균형 및 명목이자율 결정
3. 통화량과 균형 명목이자율
4. 소득과 균형 명목이자율
제8장 총수요와 총공급의 모형(AD-AS모형)
1. 총생산과 물가의 상호작용
2. 총수요(AD, Aggregate Demand)
3. 총공급(AS, Aggregate Supply)
4. 총수요 및 총공급의 균형(AD-AS모형)
5. 거시정책과 경제적 충격의 효과 분석
제9장 총수요 및 총공급의 발전된 모형(AAD-AAS모형)
1. 총생산갭과 인플레이션율의 상호작용
2. 발전된 형태의 총수요곡선(AAD곡선)
3. 발전된 형태의 총공급곡선(AAS곡선)
4. 발전된 형태의 총수요와 총공급의 균형(AAD-AAS모형)
5. 정책의 변화 및 외생적 충격의 효과 분석
6. 인플레이션율 안정 vs. 총생산 안정
현) 한양대 정책과학대학 정책학과 교수
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원장
한양대 정책과학대학 학장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
OECD 정보경제분과위 부의장
행정고시(5급 공채) 2차 경제학 출제위원
입법고시 2차 경제학 출제위원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경제학박사
행정고시 30회(재경직) 합격
현) 한양대 정책과학대학 정책학과 교수
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원장
한양대 정책과학대학 학장
청와대 경제수석실 행정관
OECD 정보경제분과위 부의장
행정고시(5급 공채) 2차 경제학 출제위원
입법고시 2차 경제학 출제위원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경제학박사
행정고시 30회(재경직) 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