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계 과학 이야기

하나 더하기 하나가 둘이 아닌 것들에 대한 이야기
$41.06
SKU
979115808461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01
Pages/Weight/Size 183*235*30mm
ISBN 9791158084615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필자는 1987년 KAIST에서 혼돈 현상, 프랙털, 비선형 동력학, 스미기 모형, 강자성 상전이 현상을 연구하면서 복잡계 연구에 첫발을 내디뎠다. 그때는 마침 미국에 산타페 연구소가 설립되어 복잡계 연구가 막 전 세계로 확산하였을 시기였다. 그렇다 보니 우리나라에는 아직 복잡계 연구자가 별로 없었고, 필자는 거의 독학으로 연구를 해야 했다. 1990년대부터는 통계물리학자, 사회학자, 경제학자 등이 자신의 분야에서 복잡계를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1998년에 왓츠와 스트로가츠가 좁은 세상망을 재발견하고, 1999년에 바라바시, 알버트, 정하웅이 축척 없는 네트워크 발견하면서 복잡계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통계물리학은 다체 시스템을 연구하는 분야이기에 복잡계 연구가 막 시작되었을 때부터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경제물리학은 1991년에 맨테그나가 밀란 주식시장의 수익률을 분석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관심이 증폭되었다. 필자도 1990년대부터 경제물리학 연구를 시작했으며, 다양한 논문을 발표해왔다. 행위자 기반 모형과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발전에 따라 사회 시스템에서 행위자 기반 모형을 적용하는 사회 물리학 연구자들이 속속 출현하였고, 덕분에 이제는 경제물리학, 사회 물리학 같은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0년대 초에는 복잡계 과학을 연구하는 통계물리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등이 삼성경제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연구모임을 시작하였고, 이 모임은 2012년 ‘한국 복잡계학회’로 발전하였다. 한국 복잡계학회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협력하는 학제적 연구 학회로, ‘복잡계 여름학교’를 운영하며 대중과 전문가들에게 복잡계를 재미있게 소개하고 있다.
Contents
1장 이머징

1.1 많으면 다르다!
1.2 멱함수 법칙
1.3 파레토의 법칙과 80-20 법칙
1.4 스케일 없는 도시
1.5 여섯 번째 대멸종
1.6 시장의 축척

2장 복잡계 과학의 역사

2.1 결정론에서 혼돈으로
2.2 시스템 다이내믹스와 행위자 기반 모형
2.3 몬테카를로 방법
2.4 산타페 연구소

3장 복잡계 네트워크

3.1 네트워크의 기초
3.2 무작위 네트워크
3.3 좁은 세상망
3.4 스케일 프리 네트워크
3.5 커뮤니티 구조
3.6 네트워크 중심성

4장 혼돈 이야기

4.1 기계론의 종말
4.2 나비효과
4.3 비선형 동력학
4.4 낙숫물과 혼돈
4.5 끌개 지형

5장 혼돈 길

5.1 빵 반죽 원리
5.2 갈래질
5.3 방식 고착화
5.4 간헐성과 파국
5.4 혼돈 현상은 복잡계가 아니다

6장 내 속엔 내가 너무도 많아

6.1 프랙털
6.2 프랙털을 사랑한 자연
6.3 프랙털 수학

7장 우리 곁의 프랙털

7.1 번개 프랙털
7.2 유한확산 응집체
7.3 프랙털 구조의 발현 원리
7.4 프랙털 시계열
7.5 프랙털 아트와 프랙털 음악
7.6 DNA 프랙털
7.7 프랙털은 복잡계인가?

8장 끓기 직전의 뇌

8.1 모래더미 패러다임
8.2 단속평형과 멸종
8.3 펄펄 끓는 뇌

9장 경제사회물리학

9.1 사회물리학의 탄생
9.2 경제물리학의 탄생
9.3 사회물리학
9.4 선거모형과 의견 동력학
9.5 부의 불평등
9.6 주식시장의 물리학

10장 행위자 기반 모형

10.1 행위자 기반 모형이란?
10.2 외부환경
10.3 시스템 공간
10.4 행위자
10.5 시뮬레이션
10.6 인종격리 모형

11장 시스템 다이내믹스

11.1 시스템 사고
11.2 인과 지도
11.3 시스템 사고의 원형

12장 도시 복잡계

12.1 도시의 스케일링
12.2 도시의 중력법칙
12.3 도시 네트워크
12.4 프랙털 도시
12.5 보행 동력학
12.6 알갱이 유체
12.7 교통흐름의 자기 조직화

13장 생태 복잡계

13.1 생태계 네트워크
13.2 인구 동력학 모형
13.3 메르스와 코로나-19
13.4 구획 감염병 모형
13.5 씽크와 무리지음

14장 엑스 이벤트

14.1 엑스 이벤트
14.2 엑스 이벤트의 특징
14.3 대한민국 엑스 이벤트 조망
14.4 엑스 이벤트 대비
14.5 초인공지능은 출현할까?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이재우
·현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전 한국복잡계학회 회장
·전 미래학회 회장

1992년에 KAIST에서 통계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복잡계 연구의 1세대로서 1980년 후반부터 프랙털, 혼돈 현상, 자기조직화 임계성, 생태 복잡계, 복잡계 네트워크, 사회물리학, 경제물리학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복잡계 연구를 확산하는 데 힘쓰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활과 과학 : 결정론적 세계관의 종말』(청문각), 『기초 통계열역학』(인하대 출판부), 『대학물리학』(인하대 출판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자연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복잡계로 설명하는 자연의 원리』가 있다.
·현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전 한국복잡계학회 회장
·전 미래학회 회장

1992년에 KAIST에서 통계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복잡계 연구의 1세대로서 1980년 후반부터 프랙털, 혼돈 현상, 자기조직화 임계성, 생태 복잡계, 복잡계 네트워크, 사회물리학, 경제물리학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복잡계 연구를 확산하는 데 힘쓰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생활과 과학 : 결정론적 세계관의 종말』(청문각), 『기초 통계열역학』(인하대 출판부), 『대학물리학』(인하대 출판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자연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복잡계로 설명하는 자연의 원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