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경집전 下

오서오경독본
$39.68
SKU
979115794211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7/15
Pages/Weight/Size 188*257*20mm
ISBN 9791157942114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동양고전총서의 21세기판, 오서오경독본五書五經讀本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설립 당시 광복光復 이후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의 기본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조차 제대로 된 번역서가 없어, 많은 학자들이 통탄을 금하지 못하였다. 본회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서삼경을 우선 번역하기로 하였다. 1990년 동양문화의 근간이자 한문교육의 기본원전 번역 사업인 동양고전국역총서 발간에 착수하여 1998년 『서경집전』과 『주역전의』를 끝으로 근 10년 동안의 노력에 마침내 방점을 찍었다.

당시에는 번역사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부족할 뿐 아니라 조급하게 번역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오류가 발견되었다. 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내외 연구 성과가 쌓임은 물론이고 동양학 열풍으로 높아진 독자의 지적호기심을 채우기에도 한계가 있었다. 마침내 2005년 개정증보판改訂增補版 사서四書를 발간하였으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8년 21세기판 동양고전번역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총서를 기획하였다. 이것이 바로 ‘오서오경독본’ 시리즈다. 오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소학小學』을, 오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 『예기禮記』, 『춘추春秋』를 가리킨다. 오서오경은 유학儒學과 동아시아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는 고전古典이다. 본회에서는 치밀한 준비와 연구를 거쳐 『논어집주』, 『대학 중용집주』에 이어 『시경집전』 세 권을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
Contents
·刊行辭 / 9
·凡 例 / 12
詩經集傳 卷之十七
生民之什 三之二 / 17
生民(생민) 17
行葦(행위) 26
旣醉(기취) 31
鳧?(부예) 35
假樂(가락) 37
公劉(공유) 40
泂酌(형작) 47
卷阿(권아) 49
民勞(민로) 55
板(판) 59
詩經集傳 卷之十八
蕩之什 三之三 / 67
蕩(탕) 67
抑(억) 73
桑柔(상유) 85
雲漢(운한) 97
崧高(숭고) 104
烝民(증민) 109
韓奕(한혁) 117
江漢(강한) 123
常武(상무) 128
瞻?(첨앙) 133
召旻(소민) 139
詩經集傳 卷之十九
頌 四
周頌 淸廟之什 四之一 / 145
淸廟(청묘) 145
維天之命(유천지명) 147
維淸(유청) 149
烈文(열문) 149
天作(천작) 152
昊天有成命(호천유성명) 152
我將(아장) 153
時邁(시매) 156
執競(집경) 158
思文(사문) 160
周頌 臣工之什 四之二 / 162
臣工(신공) 162
噫?(희희) 164
振鷺(진로) 165
?年(풍년) 167
有?(유고) 168
潛(잠) 170
?(옹) 170
載見(재현) 173
有客(유객) 175
武(무) 177
周頌 閔予小子之什 四之三 / 178
閔予小子(민여소자) 178
訪落(방락) 180
敬之(경지) 181
小毖(소비) 183
載芟(재삼) 184
良?(양사) 187
絲衣(사의) 190
酌(작) 192
桓(환) 193
??(뢰) 194
般(반) 195
詩經集傳 卷之二十
魯頌 四之四 / 197
?(경) 198
有?(유필) 201
泮水(반수) 203
?宮(비궁) 209
商頌 四之五 / 220
那(나) 220
烈祖(열조) 224
玄鳥(현조) 226
長發(장발) 229
殷武(은무) 236


附 錄
·詩序辨說 / 243
·英宗大王御製 / 344
·四庫全書 簡明目錄 經部三 詩類 / 346
·《詩經集傳 下》 도판 목록 / 368
·參考文獻 / 370
·用例 索引 / 375
·引用先儒姓氏表 / 382
·15國風地理圖 / 383
Author
주희,박소동
중국 남송시대 학자로 유학을 집대성하였다. 자는 원회(元晦),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노인(雲谷老人), 창주병수(滄洲病?), 둔옹(遯翁) 등으로 불렸으며,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복건성 우계에서 태어나 5세 때부터 문장 공부를 시작해 19세에 진사가 되었다. 21세부터 50대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현직에 있던 시기는 얼마 되지 않으며, 대부분 명예직이었다.
공자, 맹자의 학문을 공부했으며 주돈이, 정이, 정호의 사상을 이어받은 도학파의 일원이었다. 불교와 도교에 대항해 이(理)와 기(氣) 개념으로 합리적인 유학의 형이상학을 완성하였다. 그가 창시한 주자학(성리학)은 사대부 계층과 한족 중심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원, 명, 청대에 관학으로서 관원을 양성하는 기초 학문이 되었으며, 동아시아의 정치, 사상,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주희는 이기론 인간 내면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규명한 심성론,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여 사물의 이치를 구하는 학문 수양법인 거경궁리론을 주장하였으며, 향약과 사창법 등을 주창하여 민생 안정 등 현실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세론을 펼쳤다.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오경(『시경』·『서경』·『역경』·『예기』·『춘추』) 중심의 경학을 사서(『논어』·『맹자』·『대학』·『중용』) 중심으로 바꾸었으며, 『소학』을 집필하여 아동교육의 철학적 토대를 마련하고, 『주자가례』를 만들어 관혼상제의 일상생활 규범을 정초하였다. 이 외에도 여조겸과 함께 지은 『근사록』 등 80여 종의 책을 편찬하였다.
사후에는 문인들과 주고받은 문답을 모은 『주자어류』와 직접 쓴 글들을 모은 『주자문집』이 편찬되었다. 『주자대전』으로도 불리는 『주자문집』은 정집 100권, 속집 11권, 별집 10권, 부록 12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정집 24권부터 64권까지의 편지글[書]은 현실 정치에 대한 주희의 구체적인 활동과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주자 서한집: 첫째 권』은 『주자문집』 24, 25권에 실린 주희의 편지글을 번역한 것이다.
중국 남송시대 학자로 유학을 집대성하였다. 자는 원회(元晦), 중회(仲晦), 호는 회암(晦庵), 회옹(晦翁), 운곡노인(雲谷老人), 창주병수(滄洲病?), 둔옹(遯翁) 등으로 불렸으며, 시호는 문공(文公)이다. 복건성 우계에서 태어나 5세 때부터 문장 공부를 시작해 19세에 진사가 되었다. 21세부터 50대까지 여러 관직을 거쳤으나 현직에 있던 시기는 얼마 되지 않으며, 대부분 명예직이었다.
공자, 맹자의 학문을 공부했으며 주돈이, 정이, 정호의 사상을 이어받은 도학파의 일원이었다. 불교와 도교에 대항해 이(理)와 기(氣) 개념으로 합리적인 유학의 형이상학을 완성하였다. 그가 창시한 주자학(성리학)은 사대부 계층과 한족 중심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에도 원, 명, 청대에 관학으로서 관원을 양성하는 기초 학문이 되었으며, 동아시아의 정치, 사상,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주희는 이기론 인간 내면의 본질을 철학적으로 규명한 심성론,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여 사물의 이치를 구하는 학문 수양법인 거경궁리론을 주장하였으며, 향약과 사창법 등을 주창하여 민생 안정 등 현실적인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경세론을 펼쳤다.
『사서집주』를 저술하여 오경(『시경』·『서경』·『역경』·『예기』·『춘추』) 중심의 경학을 사서(『논어』·『맹자』·『대학』·『중용』) 중심으로 바꾸었으며, 『소학』을 집필하여 아동교육의 철학적 토대를 마련하고, 『주자가례』를 만들어 관혼상제의 일상생활 규범을 정초하였다. 이 외에도 여조겸과 함께 지은 『근사록』 등 80여 종의 책을 편찬하였다.
사후에는 문인들과 주고받은 문답을 모은 『주자어류』와 직접 쓴 글들을 모은 『주자문집』이 편찬되었다. 『주자대전』으로도 불리는 『주자문집』은 정집 100권, 속집 11권, 별집 10권, 부록 12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 정집 24권부터 64권까지의 편지글[書]은 현실 정치에 대한 주희의 구체적인 활동과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이다. 『주자 서한집: 첫째 권』은 『주자문집』 24, 25권에 실린 주희의 편지글을 번역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