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도 삼략

$13.23
SKU
979115794089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12/10 - Mon 12/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12/5 - Mon 1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3/15
Pages/Weight/Size 105*148*20mm
ISBN 9791157940899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일곱 병법서兵法書에서 배우는 이기는 기술

‘무경칠서武經七書’란 전통시대 동아시아에서 군사학 분야의 경전經典으로 존숭했던 일곱 병법서를 총괄하여 이름붙인 것으로, ‘무학武學에 대한 일곱 경전經典’을 가리킨다. 무경칠서에 포함된 일곱 병법서는 ‘손자병법孫子兵法’이란 이름으로 더 유명한 ≪손무자孫武子≫와 ≪오자吳子≫·≪육도六韜≫·≪삼략三略≫·≪사마법司馬法≫·≪울료자尉?子≫·≪이위공문대李衛公問對≫ 등이 포함된다. 이 병법서들에는 전쟁에 대한 이념을 비롯하여 군사 운용 방법 및 무기 활용 방법 등의 실전 전략·전술까지 ‘적과 싸워 이기는 방법’에 대한 모든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무인武人들의 필독서였으며, 문인文人들 사이에서도 필수교양으로 널리 애독되었다. 오늘날에는 군사학 분야를 넘어 정치·인문·역사·경영·문학·자기계발·아동 분야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무경칠서에 담겨 있는 ‘이기는 기술’이 현대인들에게도 대단히 유용함을 반증해 준다.

‘무경칠서’를 통해, 전쟁 같은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동양 고대 병법서에 담긴 사상과 전략을 이해하여 ‘이기는 삶’을 향유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해본다.
Contents
간행사
이 책에 대하여
일러두기
육도六韜
Ⅰ.문도文韜
제1편 문왕文王의 스승[文師] / 17
제2편 인사人事의 성쇠[盈虛] / 22
제3편 치국治國의 요체[國務] / 25
제4편 군신君臣간의 예의禮儀[大禮] / 27
제5편 지극한 도道의 전수傳授[明傳] / 29
제6편 여섯 가지 지킴[六守] / 31
제7편 국토國土의 수비[守土] / 34
제8편 국가의 수호[守國] / 36
제9편 현자賢者에 대한 존중[上賢] / 38
제10편 인재의 등용[擧賢] / 42
제11편 신상필벌信賞必罰[賞罰] / 44
제12편 용병用兵의 대도大道[兵道] / 45
Ⅱ.무도武韜
제13편 백성을 구제救濟하는 방책의 계발[發啓] / 48
제14편 문덕文德에 의한 계도[文啓] / 52
제15편 문사文事에 의한 정벌[文伐] / 55
제16편 인심의 순응[順啓] / 59
제17편 세 가지 의심[三疑] / 60
Ⅲ.용도龍韜
제18편 제왕의 보좌[王翼] / 62
제19편 장수의 재질에 대한 논평[論將] / 66
제20편 장수의 선발[選將] / 68
제21편 대장의 임명[立將] / 70
제22편 장수의 위엄[將威] / 73
제23편 군대의 사기 진작[勵軍] / 74
제24편 은밀한 부절符節[陰符] / 76
제25편 은밀한 서신書信[陰書] / 78
제26편 군대의 형세[軍勢] / 79
제27편 기병奇兵의 운용[奇兵] / 82
제28편 오음五音의 활용[五音] / 86
제29편 승패勝敗의 징조[兵徵] / 88
제30편 농기農器와 병기兵器[農器] / 91

Ⅳ.호도虎韜
제31편 군대의 장비[軍用] / 94
제32편 세 가지 진법陣法[三陳] / 102
제33편 신속한 전투[疾戰] / 103
제34편 탈출의 방법[必出] / 104
제35편 군대의 전략[軍略] / 107
제36편 국경에서의 대치[臨境] / 110
제37편 적의 동정動靜과 매복埋伏[動靜] / 112
제38편 전진前進과 후퇴後退의 명령[金鼓] / 114
제39편 군량수송로軍糧輸送路의 단절[絶道] / 116
제40편 적지敵地의 공략[略地] / 118
제41편 화공전술火攻戰術[火戰] / 121
제42편 적의 빈 보루[壘虛] / 124
Ⅴ.표도豹韜
제43편 산림山林 지역의 전투[林戰] / 126
제44편 돌격전突擊戰[突戰] / 128
제45편 강적强敵과의 전투[敵强] / 131
제46편 용맹한 적병과의 전투[敵武] / 133
제47편 산지山地의 오운진법烏雲陣法[烏雲山兵] / 135
제48편 습지濕地의 오운진법烏雲陣法[烏雲澤兵] / 137
제49편 적은 병력을 이용한 큰 적의 격퇴[少衆] / 140
제50편 험지險地에서의 분산대치分散對峙[分險] / 142
Ⅵ.견도犬韜
제51편 이합집산離合集散[分合] / 144
제52편 정예병을 활용한 공격[武鋒] / 146
제53편 병사의 선발과 훈련[練士] / 148
제54편 전술교육[敎戰] / 151
제55편 전차병과 기마병과 보병의 고른 배치[均兵] / 153
제56편 전차병의 선발[武車士] / 157
제57편 기마병의 선발[武騎士] / 158
제58편 전차를 이용한 전투[戰車] / 159
제59편 기마병을 이용한 전투[戰騎] / 162
제60편 보병을 이용한 전투[戰步] / 166
삼략三略
상략上略 / 171
중략中略 / 185
하략下略 / 190
Author
성백효
충남(忠南) 예산(禮山)에서 태어나셨다.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셨고,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으로부터 사사했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를 수료하였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역임 중이다.
사서집주(四書集註), 『시경집전(詩經集傳)』, 『서경집전(書經集傳)』, 『주역전의(周易傳義)』, 『고문
진보(古文眞寶)』,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심경부주(心經附註)』, 『통감절요(通鑑節要)』, 『당
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소식(蘇軾)』, 『고봉집(高峰集)』, 『독곡집(獨谷集)』,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약천집(藥泉集)』, 『양천세고(陽川世稿)』, ??우계집(牛溪集)??, 『여헌집(旅軒集)』, 『율곡전서(栗谷全書)』, 『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 『존재집(存齋集)』, 『퇴계전서(退溪全書)』, 『부안설 논어집주(附按說 論語集註)』, 『부안설 맹자집주(附按說 孟子集註)』, 『부 안설 대학·중용집주(附按說 大學·中庸集註)』, 『배우고 익히는 논어(전3권)』, 『최신판 논어집주(論語集註)』, 『최신판 맹자집주(孟子集註)』, 『최신판 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 『조선후기 한문비평(전2권)』 등을 번역하였다.
충남(忠南) 예산(禮山)에서 태어나셨다.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셨고,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으로부터 사사했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를 수료하였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역임 중이다.
사서집주(四書集註), 『시경집전(詩經集傳)』, 『서경집전(書經集傳)』, 『주역전의(周易傳義)』, 『고문
진보(古文眞寶)』,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심경부주(心經附註)』, 『통감절요(通鑑節要)』, 『당
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소식(蘇軾)』, 『고봉집(高峰集)』, 『독곡집(獨谷集)』,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약천집(藥泉集)』, 『양천세고(陽川世稿)』, ??우계집(牛溪集)??, 『여헌집(旅軒集)』, 『율곡전서(栗谷全書)』, 『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 『존재집(存齋集)』, 『퇴계전서(退溪全書)』, 『부안설 논어집주(附按說 論語集註)』, 『부안설 맹자집주(附按說 孟子集註)』, 『부 안설 대학·중용집주(附按說 大學·中庸集註)』, 『배우고 익히는 논어(전3권)』, 『최신판 논어집주(論語集註)』, 『최신판 맹자집주(孟子集註)』, 『최신판 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 『조선후기 한문비평(전2권)』 등을 번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