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라이크 유니버스

만화로 보는 우주탐사 이야기
$23.76
SKU
97911578478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Wed 04/2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Wed 04/1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1/20
Pages/Weight/Size 152*225*19mm
ISBN 9791157847860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우주에 대한 근원적 의문에 우리는 만화로 답한다!
최신 이슈 중심의 고밀도 우주 지식 웹툰!

작가 ‘비둘기덮밥’은 우주의 재미에 빠져 급기야 천문학 전공자가 됐다. 그는 큰 목표를 가진 야심가다. 자신이 매일매일 느끼는 천문학의 매력을 더 많은 사람이 알게끔 만들고 싶다. 그래서 그때그때 재미있는 천문학 주제를 뽑아 만화를 그린다. 독자들의 응원이 이어졌다. 힘이 났다.

『우주 라이크 유니버스』는 블랙홀, 제임스 웹 등 최신의 우주 이슈들을 재미있게 그려낸 우주 만화다. 매일매일 우주를 공부하는 우주 덕후의 내공이 잔뜩 담긴 작품이다. ‘제임스 웹의 사진 뒤에는 우주의 어떤 신비가 숨어 있을까?’ ‘인류는 왜 자꾸 달에 가려는 걸까?’ ‘명왕성은 다시 행성으로 복귀할 수 있을까?’ 같은 주제들을 다룬다. 그냥 별을 좋아하는 독자들도 쉽게 볼 수 있게 수학이나 물리처럼 어려운 얘기는 걷어냈다. 패러디와 밈을 이용해 재미를 더했다. 과학커뮤니케이터 항성의 감수로 전문성을 보강했다. 이 책의 사명은 명료하다. 더 많은 사람들이 천문학의 재미를 알 수 있게 하자! 흥미로운 이야기로 사람들을 밤하늘 아래 불러 모으자! 오로지 그것뿐이다.
Contents
프롤로그

1화 뜯어봐요, 블랙홀

[잠깐상식] 영화 「인터스텔라」의 블랙홀

2화 찍어봐요, 블랙홀

[잠깐상식] 인공지능이 만든 블랙홀 사진

3화 '제임스 웹'이라고 합니다

[잠깐상식] 우주망원경도 A/S가 되나요?

4화 제임스 웹의 끝내주는 사진들

[잠깐상식] 우주망원경 패밀리

5화 ‘플라이 미 투 더 문’의 이야기

[잠깐상식] 블러드문, 블루문, 슈퍼문

6화 한국의 첫 달 궤도선, 다누리 이야기

[잠깐상식] 마주 보는 달

7화 인류는 왜 자꾸 달에 가려고 하는가?

[잠깐상식] 동양과 서양의 달

8화 행성이 되는 기준에 대하여

[잠깐상식] 명왕성의 행성 자격 박탈, 그리고 뒷이야기 1

9화 명왕성은 행성이 될 수 있을까?

[잠깐상식] 명왕성의 행성 자격 박탈, 그리고 뒷이야기 2

10화 지구를 지키는 과학자들

[잠깐상식] 전부 같은 돌은 아니라고요

11화 제임스 웹이 바라본 어린 우주

[잠깐상식] 제임스 웹과 현대 우주론

12화 언제쯤 화성에서 살 수 있을까?

[잠깐상식] 붉은 행성의 색다른 하늘

13화 골디락스 존은 외계 생명의 꿈을 꾸는가

[잠깐상식] 지구는 언제까지 생명의 터전으로 남을 수 있을까?

14화 얼어붙은 세계는 외계 생명의 꿈을 꾸는가

[잠깐상식] 자연이 선물한 극한의 실험실, 남극

15화 우주 라이크 유니버스

에필로그
인명 색인
참고문헌
Author
비둘기덮밥(이규동),강성주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 쭉 과학을 좋아하는 과학 애호가이자 천문학 애호가. 과학 만화가로도 활동 중이다. 열세 살 때 만난 천체물리학 대학원생에 의해 천문학의 낭만에 푹 빠진 후 우주과학과에 진학했고 천문학도로 거듭났다. 천문학 전공자의 절반은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둘 현실적인 진로를 찾는다고 하는데, 아직도 천문학 단일 전공을 포기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정신을 못 차린 듯하다. 천문학의 즐거움을 혼자만 아는 것이 아쉬워 직접 우주 만화를 그리며 천문학의 숨은 재미를 널리 알리는 중이다.
어릴 때부터 지금까지 쭉 과학을 좋아하는 과학 애호가이자 천문학 애호가. 과학 만화가로도 활동 중이다. 열세 살 때 만난 천체물리학 대학원생에 의해 천문학의 낭만에 푹 빠진 후 우주과학과에 진학했고 천문학도로 거듭났다. 천문학 전공자의 절반은 시간이 지나면서 하나둘 현실적인 진로를 찾는다고 하는데, 아직도 천문학 단일 전공을 포기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정신을 못 차린 듯하다. 천문학의 즐거움을 혼자만 아는 것이 아쉬워 직접 우주 만화를 그리며 천문학의 숨은 재미를 널리 알리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