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대에 대하여

$20.52
SKU
979115783298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10
Pages/Weight/Size 130*213*20mm
ISBN 9791157832989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자크 데리다와 안 뒤푸르망텔의 『환대에 대하여』는 그 시작부터 환대의 주고받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환대’를 주제로 하는 데리다의 연속 세미나에 참여한 뒤푸르망텔은 그 세미나들 가운데 4강과 5강을 자신의 초대사와 함께 책으로 펴낼 것을 제안함으로써 데리다를 다시 한번 초대하고, 데리다는 그에 응답한다. 이렇게 세상에 나오게 된 이 책은 ‘이방인을 환대하기’, 즉 타자에 대한 맞아들임을 사유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데리다는 고발당해 스스로를 변론하는 소크라테스, 눈먼 오이디푸스와 애도를 박탈당항 안티고네 등 고대 그리스의 고전에서부터 출발하여 인터넷과 국가권력, 이민자와 시민권의 문제 등 현대의 시의적 난점들에 이르기까지 시공간을 가로지르며 이방인과 환대가 문제되는 장면들을 발견한다. 나아가 ‘환대의 아포리아’라는 자신 고유의 문제틀로 그 장면들에 물음을 제기하며, 우리를 환대의 역설, 즉 법을 넘어선 환대를 위한 법을 과연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사유에 참여시킨다.

한편 뒤푸르망텔의 글은 단순히 데리다가 한 세미나의 요약분석이 아니라 데리다의 작업방식에 대해 자신만의 정신분석적 해석을 시도하면서 데리다의 텍스트와 공명하는 초대사로서, 데리다의 글을 독자들의 이해의 자리로 이끌어낸다. 이는 이번의 새로운 한국어판을 만들면서 더해진 텍스트들도 마찬가지로, 번역자 이보경의 세심한 역주가 추가된 새 번역과 진태원 교수의 해제로 데리다의 중요한 개념 중 하나인 '환대'에 대한 사유를 지금의 우리에게 적실하게, 다시 한번 만날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자크 데리다
이방인의 물음: 이방인으로부터 온 물음
환대의 발걸음

안 뒤푸르망텔
초대

옮긴이 후기
해제(진태원)
Author
자크 데리다,안 뒤푸르망텔,이보경
1930~2004년. 알제리 출신의 유대인계 프랑스 철학자. 1949년 프랑스로 건너가 1952년 고등사범학교ENS 입학 후 『후설 철학에서 발생의 문제』 논문으로 초기 후설 연구의 기반을 닦았다(이후 후설의 사유에 관해 『기하학의 기원』 (1962), 『목소리와 현상』 (1967)을 썼다). 1957년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해 1960~1964년 소르본에서, 1965~1984년 모교인 고등사범학교에서, 1984~1999년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1968년 보수정권에 반기를 들고 철학에 대한 억압정책에 저항해 1974년 철학교육연구그룹GREPH을 결성했다. 1960년대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푸코 등 대표적인 구조주의 사상가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서 출발해 특히 미국의 예일대, 캘리포니아대 등에서 강의하며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 넘어가는 흐름을 이끌었고, 오늘날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로 자리매김했다. 1983년 미테랑 정권 당시 국제철학학교 설립에 참여해 1985년까지 책임자로 있었다. 서유럽의 형이상학 전통을 비판하며 문학(주네, 말라르메, 퐁주, 조이스 등)과 철학(플라톤, 루소, 헤겔, 후설, 하이데거 등) 텍스트뿐만 아니라 건축이론, 정치제도 등 다방면에서 자신의 철학 개념인 ‘탈구축deconstruction’을 통해 서구사상 전반을 해체하는 새로운 해석 작업에 몰두했다. 대표 저서로 1967년에 발표한 『글쓰기와 차이』 『목소리와 현상』 『그라마톨로지』 등을 비롯해, 『철학의 여백』(1972), 『우편엽서』(1980), 『마르크스의 유령들』(1993), 『우정의 정치들』(1994), 『법의 힘』(1994), 『타자의 단일언어』(1996) 등이 있다.
1930~2004년. 알제리 출신의 유대인계 프랑스 철학자. 1949년 프랑스로 건너가 1952년 고등사범학교ENS 입학 후 『후설 철학에서 발생의 문제』 논문으로 초기 후설 연구의 기반을 닦았다(이후 후설의 사유에 관해 『기하학의 기원』 (1962), 『목소리와 현상』 (1967)을 썼다). 1957년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해 1960~1964년 소르본에서, 1965~1984년 모교인 고등사범학교에서, 1984~1999년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1968년 보수정권에 반기를 들고 철학에 대한 억압정책에 저항해 1974년 철학교육연구그룹GREPH을 결성했다. 1960년대 소쉬르, 레비스트로스, 푸코 등 대표적인 구조주의 사상가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서 출발해 특히 미국의 예일대, 캘리포니아대 등에서 강의하며 구조주의에서 포스트구조주의로 넘어가는 흐름을 이끌었고, 오늘날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로 자리매김했다. 1983년 미테랑 정권 당시 국제철학학교 설립에 참여해 1985년까지 책임자로 있었다. 서유럽의 형이상학 전통을 비판하며 문학(주네, 말라르메, 퐁주, 조이스 등)과 철학(플라톤, 루소, 헤겔, 후설, 하이데거 등) 텍스트뿐만 아니라 건축이론, 정치제도 등 다방면에서 자신의 철학 개념인 ‘탈구축deconstruction’을 통해 서구사상 전반을 해체하는 새로운 해석 작업에 몰두했다. 대표 저서로 1967년에 발표한 『글쓰기와 차이』 『목소리와 현상』 『그라마톨로지』 등을 비롯해, 『철학의 여백』(1972), 『우편엽서』(1980), 『마르크스의 유령들』(1993), 『우정의 정치들』(1994), 『법의 힘』(1994), 『타자의 단일언어』(1996)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