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쿨과 법학교육

$16.20
SKU
9791157309825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4/16 - Tue 04/2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1 - Tue 04/1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3/10
Pages/Weight/Size 176*248*20mm
ISBN 9791157309825
Categories 대학교재 > 법학계열
Contents
제1장

1. 법학전문대학원과 법학교육 개혁

2. 위기의 법학전문대학원과 법학교육

3. 이 책의 목적과 구성

제1부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

제2장 법학전문대학원 인가와 지역균형발전

Ⅰ. 서 론

Ⅱ. 규제의 필요성과 합리성

Ⅲ.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법학전문대학원 인가의 합리성

제2부 법학전문대학원의 운영

제3장 법학전문대학원의 인재상

Ⅰ. 서 론

Ⅱ. 인재상의 몇 가지 유형

Ⅲ.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학칙이 규정하는 이상적 인재상

Ⅳ.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현실적 인재상

제4장 법학전문대학원의 특성화

Ⅰ. 서 론

Ⅱ. 기본 구상

Ⅲ. 특성화 목표 구체화

Ⅳ. 인권 관련 교과목 편성의 방향

제5장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

Ⅰ. 서 론

Ⅱ.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과정 체계

제6장 법학전문대학원의 법학교육 방법

Ⅰ. 서 론

Ⅱ. 미국 로스쿨의 법학교육 방법

Ⅲ. 이상적인 법학전문대학원 교육 방법론

Ⅳ. 현실에 비추어 본 법학전문대학원 교육 방법

제3부 법학전문대학원을 둘러싼 논쟁과 해법

제7장 법학전문대학원과 평등

Ⅰ. 서 론

Ⅱ. 사법시험 존치를 둘러싼 논쟁

Ⅲ. 사법시험 존치를 둘러싼 논쟁 검토

Ⅳ. 변호사 시험과 평등

V. 몇 가지 제언

제8장 법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 법제 개선 방안

Ⅰ. 서 론

Ⅱ. 법학전문대학원 규제 거버넌스

Ⅲ. 법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의 이상과 현실

Ⅳ. 대응 방안

제9장 법률가 양성 체계의 개선 방향 모색

Ⅰ. 서 론

Ⅱ. 대륙법과 영미법의 법학방법

Ⅲ. 영국의 법률가 양성체계

Ⅳ. 독일의 법률가 양성체계

V. 우리 법학교육을 향한 시사점

제4부 법학전문대학원 입학과 변호사 시험

제10장 법학전문대학원 입학

Ⅰ. 서 론

Ⅱ. 법학전문대학원 입학시험 개관

Ⅲ. 법학적성시험의 의의와 구성

Ⅳ. 법학전문대학원 면접시험

제11장 변호사 시험과 답안작성

Ⅰ. 서 론

Ⅱ. 법학방법론의 시각에서 접근한 답안작성 방법

Ⅲ. 변호사 시험 답안 작성법

찾아보기
Author
양천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이상돈 교수의 지도로 법학석사를,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클라우스 귄터(Klaus Gnther) 교수의 지도로 법학박사를 취득하였다. 2006년 9월부터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및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기초법 전임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최근 세 가지 주제에 관심을기울이며 연구를 수행한다. 기초법학과 실정법학의 상호 연관성, 현대 과학기술이 법적 사고와 법체계에 미치는 영향 및 법의 진화, 우리 법학자의 법이론이 그것이다.
『부동산 명의신탁』(2010), 『서브프라임 금융위기와 법』(2011), 『법철학: 이론과 쟁점』(공저, 2012·2017·2022),
『민사법질서와 인권』(2013), 『빅데이터와 인권』(2016), 『법과 진화론』(공저, 2016), 『법해석학』(2017), 『현대 법사회학의 흐름』(공저,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법』(2017),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보보호』(공저, 2019), 『공학법제』(공저, 2020), 『유기천형법학연구: 유기천의 형법연구방법론(II)』(공저, 2020), 『인공지능 혁명과 법』(2021),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공저, 2021), 『삼단논법과 법학방법』(2021), 『데이터와 법』(공저, 2021) 등의 책을 쓰고 다수의 논문을 집필하였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이상돈 교수의 지도로 법학석사를,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클라우스 귄터(Klaus Gnther) 교수의 지도로 법학박사를 취득하였다. 2006년 9월부터 영남대학교 법과대학 및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기초법 전임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최근 세 가지 주제에 관심을기울이며 연구를 수행한다. 기초법학과 실정법학의 상호 연관성, 현대 과학기술이 법적 사고와 법체계에 미치는 영향 및 법의 진화, 우리 법학자의 법이론이 그것이다.
『부동산 명의신탁』(2010), 『서브프라임 금융위기와 법』(2011), 『법철학: 이론과 쟁점』(공저, 2012·2017·2022),
『민사법질서와 인권』(2013), 『빅데이터와 인권』(2016), 『법과 진화론』(공저, 2016), 『법해석학』(2017), 『현대 법사회학의 흐름』(공저, 2017), 『제4차 산업혁명과 법』(2017),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보보호』(공저, 2019), 『공학법제』(공저, 2020), 『유기천형법학연구: 유기천의 형법연구방법론(II)』(공저, 2020), 『인공지능 혁명과 법』(2021),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공저, 2021), 『삼단논법과 법학방법』(2021), 『데이터와 법』(공저, 2021) 등의 책을 쓰고 다수의 논문을 집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