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방언사 탐색

$56.75
SKU
979115686066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4/09/18
Pages/Weight/Size 153*224*35mm
ISBN 9791156860662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이 책은 2010년 이후부터 지금까지 주로 국어 방언사의 일면을 염두에 두고 필자가 작성해 온 논문들을 약간의 수정을 거쳐 한 자리에 모은 논문집이다. 기본적으로 오늘날 지역 방언들이 보이는 공시적으로 역동적인 언어 현상들을 진행 중인 언어 변이와 변화의 사회언어학적 과정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역 방언들의 공시성은 앞 선 역사적 단계에서 수행하여 온 모든 변화들이 각각의 언어 층위에 축적되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Contents
?책머리에



제1부 근대국어 경상도의 지역?사회방언의 발달과 분화

제1장 19세기 전기 경북 사회방언 발달 과정에서의 개별성과 보편성-??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을 중심으로 …19

1. 서론 … 19

2. 한글편지 묶음의 자료적 성격과 역사 사회언어학적 방법 … 25

3. 한글편지 묶음에 반영된 19세기 전기 경북 사회방언의 개별성 … 35

4. 한글편지 묶음에 반영된 19세기 전기 경북 사회방언의 보편성 … 91

5. 결론 … 113

?참고문헌 … 116





제2장 17세기 후기 필사본 ??음식디미방??의 언어에 대한 이삭줍기-근대국어의 의미론과 형태?통사적 변화를 중심으로 … 123

1. 서론 … 123

2. 음식조리서 텍스트에서 ‘노외-∽뇌-’(反復, 重)에 수행된의미변화의 유형 … 127

3. 형태?통사적 특질과 변화의 방향 … 145

4. 결론과 논의 … 189

?참고문헌 … 202



제2부 음운현상의 통시성과 공시성의 만남

제3장 불규칙 활용의 규칙화와 ‘ㆆ’[?]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음운현상의 본질-192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음운론 기술을 중심으로 … 209

1. 서론 … 209

2. ‘ㆆ’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표기법으로의 출현 배경:金熙祥(1927)의 경우 … 215

3. 1920-1930년대 표기법에서 불규칙 활용에 대한표기의 규칙화 방안 … 228

4. 1940년대 후반 북한 <조선어 신철자법>의 형태주의 … 245

5. 1970년대 이후 국어 음운론에서 (기저)음소 ‘ㆆ’/?/의 재인식과 본질 … 254

6. ?에 대한 음운현상의 본질과 용언의 공시적 불규칙성 … 268

7. 결론과 논의 … 297

?참고문헌 … 305





제4장 국어 방언사에서 성문 마찰음 ‘ㅎ’의 개입과언어변화의 보상적 기능 … 311

1. 서론 … 311

2. 유령으로서의 h? … 315

3. 화자들의 의식적인 참여와 언어변화 … 323

4. 무조건적인 음성변화의 저지와 보상적 수단 … 339

5. ‘ㅎ’ 첨가와 확산 과정:19세기 후기 전라방언의 경우 … 350

6. ‘ㅎ’ 첨가와 용언어간의 재구조화:19세기 후기 중부방언의 경우 … 361

7. 결론:현대 지역방언에서 재구조화된 ‘ㅎ’ 어간말음의 형성 … 383

?참고문헌 … 390





제3부 역사화용론 시론

제5장 현대국어 시간?양태부사 ‘드디어’(遂)의 통시적 발달 과정 … 397

1. 서론 … 397

2. ‘드디어’(遂)와 부사형성의 통시성과 공시성 … 401

3. 구상 동사의 활용형 ‘드듸여’(踏)의 제1단계 발달:의미의 은유화 … 406

4. 동사의 활용형 ‘드듸여’(?)의 제2단계 발달:부사화 과정 … 419

5. ‘드듸여’의 문법화 입력 조건과 공시적 유의어 … 440

6. 동사어간 ‘드듸-’(踏)와 부사 ‘드듸여’(遂)의 형태 분화와 그 원리 … 452

7. 결론과 논의 … 469

?참고문헌 … 477





제4부 형태에서 기능으로

제6장 시간과 공간 표시 명사의 역사적 어휘화 과정과처소격 조사와의 상관성-‘올해’(今年)의 형성을 중심으로 … 485

1. 서론 … 485

2. 재분석과 어휘화의 해석 … 488

3. 중세와 근대국어에서 ‘올해’(今年)의 재분석을 거친 어휘화 과정 … 495

4. 현대국어 ‘올해’(今年)의 재해석과지역 방언형의 통시적 변화 방향 … 508

5. 언어변화의 진행과 처소격 조사의 역할 … 522

6. 결론 … 536

?참고문헌 … 540

제7장 지역방언 문헌자료에 반영된 언어 현상의 역사성-중세국어의 부사형어미 ‘-긔,-?>-게’의 반사체를 중심으로 … 543

1. 서론 … 543

2. 방언 자료 분포의 시대적 불균형과 단편적인 성격:여격조사 ‘-손디’의 경우 … 547

3. 중세국어 부사형어미 ‘-긔/게’에 대한 방언의 반사체와 그 변화 … 554

4. 중세국어의 보수적 부사형어미 ‘-긔’의 지속성 … 583

5. 결론과 논의 … 592

?참고문헌 … 600





제8장 음운현상의 적용 영역과 음운규칙의 기능-중세국어 관형격 조사의 음운론과 형태론을 중심으로 … 603

1. 서론 … 603

2. 관형격 조사의 이형태 ‘-ㅣ’의 생성과 표면적 특이성 … 608

3. 중세국어에서 모음 연결 규칙과 형태론적 범주 … 633

4. 체언과 용언에서의 음운규칙의 기능 … 646

5. 결론과 논의:음운변화/음운규칙의 기능론적 설명 … 664

?참고문헌 … 672



?찾아보기 677

Author
최정승